코끼리를 만지면 엄정순의 예술 수업
엄정순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펼치는 순간 이렇게 경이로울 수가...흥분되는 마음을 진정시킬..수 가 없었다. 이것 또한 나의 깊은 편견이 만들어낸 감정의 결과라는 것도 알고 있다.시각장애인으로 산다는 것이 답답할 거라 생각했다.보고 싶은 걸 마음껏 보지 못하니까. 그런데 만지는 것으로도 코끼리를 그려낼 수 있다는 사실이 짜릿했다. 무엇보다 이런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된 저자의 글이 정신 번쩍 들게 했다.


"불경 <<열반경>>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옛날에 어느 왕이 맹인들을 불러 모으고는 코끼리를 만져 보게 했습니다. 그 뒤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물어보았지요.(..) 왕은 "코끼리는 하나이거나 늘 각자 자기가 아는 것만으로 말한다. 진리도 그와 같으니라"라고 말했다고 하지요. 이 이야기는 맹인 비하가 아니라 자기가 아는 세계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어리석음을 이야기합니다"/ 작가의 말 부분



보지 못하니까 그릴수도 없다고 생각했다.만져 본 느낌으로도 충분히 상상할 수도 있고,그릴 수도 있는데.눈으로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만 생각했던 거다. 만지는 것도 보는 것에 대한 또 다른 방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들만의 시선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아이들은 못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고유한 시야로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 작가의 말 부분 코끼리라는 걸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상상으로 그려진 그림이 코끼리로 보여진 것일수도 있겠지만, 코끼리에 대한 질문과 상상,그리고 직접 만져본 끝에 그려진 코끼리는..코끼리였다.눈을 크게 뜨고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생각하면, 우리가 진짜 무언가를 제대로 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가 생각하게 된다. 상상으로 그려졌던 코끼리와,직접 만져보고 그려진 코끼리는 달라 있었다. 본다는 것에 대한 의미가 책 덕분에 확장 될 수 있어 좋았다. 무엇보다 이런 아이디어를 찾아낸 작가님이 멋지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