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에 관하여 ㅣ 클래식 라이브러리 14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김현정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10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월에도 '체홉읽기'는 계속 진행중이다.
참 많은 출판사에서 체홉의 단편집이 나와 있지만,출판사마다 개성이 보이지는 않는다. 거의 비슷한 작품들의 향현.. '피고인' 이란 제목은 처음 들어본 제목이라 'arte' 출판사의 <사랑에 관하여> 단편집을 골랐다. '피고인'이 눈에 들어 올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있고, 조금은 예상되는 이야기일거라 생각하면서도 읽었다. '피고인'에 집중된 이야기일지 '판사'에 집중된 이야기일지... 정의로운 판사 보다, 억울한 피고인이 소설에는 더 많이 등장하지만, 현실에서는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아서 체홉이 그려낸 '피고인'이 궁금했다. 아주아주 짧은 소설이다. 길었다면 피곤했을지도 모르겠다. 정의롭지 않은 판결에 구구절절 서사를 담아낼 필요가 있을까 싶어서..
"(...) 잘 알고 나서 판결을 하셔야지,제대로 체벌을 준다 하더라도 그러려면 양심적으로다...."/17쪽
그런데 체홉의 '피고인'은 정의롭지 못한 판사와 구질구질한 피고인이 등장한다는 것이 매력포인트가 아닌가 싶다.피고인이 모두 억울하지는 않다는 사실을 탄핵의 시간을 지나면서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절도는 문제되는 것이 아니며, 판사는 '양심'적으로 판결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그러니까 판사 입장에서는 억울(?) 할 수 있다고 항변 할 수도 있겠다. 철도 사고가 났는데, '너트'가 빠진 것이 이유인 것 같고, 마침 데니스의 집을 압수수색했더니 '너트'가 발견되었다.문제는,증거가 아니라, 정황이 그렇다는 거다. 자신은 너트를 세몬의 아들에게서 받았고, 낚시하는 이들이 더 많은 너트를 필요로 한다고 말한다. 판사는 단호하게 '거짓말' 이라고 말한다. 가택수사를 하고도 황금폰을 찾아가지 않았다는 방송을 봤다. 뭐 이런식의 열거는 수없이 많다. 그냥 궁금하다. 판사(대부분은 아니겠지만)들은 '양심'에 따라 판결하는 것이 도대체 왜 어려운 걸까... 그건 자신의 잘못을 모른채 판사에게 모든 화살을 돌리려고 하는 피고인도 마찬가지다. 체홉이 놀라운 건 '피고인' 이란 제목으로 뭔가 정의롭지 못한 세상을 이야기하려고 한 것이 아니란 점이다.(독자의 오독일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얼마나 '양심'에 위배되는 행동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역자의 후기에서 '피고인' 이란 작품이 '체호프의 유머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실렸다는 설명을 읽었다. 러시아 학생들의 생각이 궁금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