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 년 전 아침, 부엌 식탁에서 사과를 깎는데 곁에서 커피를 내리던 헌수가 '러브 허츠'를 틀었다"/9쪽
음악이 주인(?)공인 소설이니까..'러브 허츠' 제목을 읽는 순간, 바로 음악을 찾아 들었다. 마법처럼 끌리는 목소리를 들으며 뭔가 이상한 기분이 느껴지는 그 순간이 있었다 '안녕' 내가 잘못 들은 거겠지 생각하는 순간.. 소설 속 대화를 다시 찾아 읽어야 했다.
"방금 들었어/ 뭘?/ 안녕이라 하잖아/ 누가? " /11쪽
팝송에 '안녕' 이란 말이 언급될 리가 없다. 그렇지만 또 요즘은 시대가 또 다르니까.어느 가수는 '고요한밤 거룩한 밤'이란 노래를 대략 20개가 넘는 언어로 불렀다는 걸 지난해 클래식라디오방송에서 들었던 기억도 있다, 그러니깐, '안녕' 만큼은 한국어로 불렀을 수도 있지 않을까.그러나 어디까지나 '안녕이라 그랬어'를 재미있게 풀어갈 출발점이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다만) 반복해서 들어도 '안녕'이라 들리는 묘한 마법. 누군가에게 '안녕'이란 안부를 묻고 싶은 마음이 소설 속 인물에게 있었던 건 아닐까. 무심코 했던 '안녕'이란 말에 또 다른 의미들이 있다는 것도 알지 못했으니까.무심코 '안녕' 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을 텐데, 누군가는 상대방이 '안녕' 이라고 말해주길 바랄수도 있구나..그리고 차마 '안녕' 이란 말 속에 담지 못할,바람이 담긴 인사도 있을 수 있다는 걸 알았다. 아주 짧은 이야기였고, 말랑말랑한 이야기도 아니었지만, 킴 딜이랑 로버트 폴러드의 특별출연(?)덕분에 유쾌하게 읽어낼 수 있었다. 상투적인 인사도 때론 필요할 수 있겠구나. 나는 그냥 무심코 '안녕' 이라고 인사했을 뿐이지만, 상대방은 그 '인사'에 많은 의미를 담을수도 있겠구나.마치..아주 특별한 관심을 받은 것 같은 그런 기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