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대학 의학부에 다닐 때 폐결핵을 앓은 체호프는 사할린에서 다녀온 뒤 건강이 더욱 악화됐습니다.결국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약 65킬로미터 떨어진 멜리호보에 단층집을 구해 부모님,여동생과 함께 살았습니다.서재 창가에 책상을 두고 자신이 사랑하는 정원과 사과나무들과 허브 정원을 내다보곤 했죠"/185쪽










체홉의 책을 몇 편 이어 읽고 났더니 <작가의 방>으로 시선이 갔다. 체홉의 방도 당연히 소개되어 있을 거란 확신(?)으로... '벚꽃동산'을 읽으면서도 작품 속에 나무들이 언급될때도 딱히 궁금해 하지 않았던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나무를 직접 심고, 정원사가 되길 소망하기도 했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았다.


"이사하고 2년 뒤에는 집에서 가까운 벚꽃 동산에 작은 별채를 지었습니다.테라스에서 정원이 내려다보이는 곳이었죠.체호프는 이 별채 위층 방에서 희곡<갈매기>와 <바냐 아저씨>를 완성했어요"/187쪽


"<갈매기>원고를 보면 가장자리에 구근들과 식물들의 이름이 적혀 있답니다.그의 다른 작품들에서처럼 등장인물들의 대사에 꽃과 정원이 끊임없이 나오고요.<바냐 아저씨>의 의사 아스트로프는 숲이 천연자원으로서 얼마나 중요한지 굳게 믿은 인물이며,유실수의 파멸은 <벚꽃 동산>의 핵심 요소입니다"/1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