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짜..를 완독하지 못했으면서, 사촌..을 구입했다. 그리고 골동품..까지
<고리오영감>을 재미나게 읽었으나 정작 다른 책들은 잘 읽혀지지 않는다. 골짜기..가 힘들수 있다고 헨리 제임스의 위로를 받았지만"전성기의 전반기 작품이 전체적으로 후반기 작품보다 우월하긴 하지만 두세 작품은 그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여야 한다. 1835년 출간된 <골짜기의 백합>은 (...)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이다"/35쪽 '아주 가느다란 명주실로 짜낸' 나는 헨리제임스가 아니다. 어찌어찌 <샤베르 대령>과 녹색광선 출판사에서 나온 단편집을 읽었지만 아주 흡족하게 읽어내지는 못한 것 같다. 읽을 책도 많은데, 굳이 읽혀지지 않는 발자크를 붙잡고 있을 필요는 없겠는데, <고리오 영감>만 읽는 건 못내 아쉽지 않은가 싶다. 츠바이크의 '발자크 평전'도 읽어 보고 싶은데..그럴려면 발자크 소설을 읽어야 하지 않을까.
제목을 보는 순간 반가웠고, 책을 받자마자 쓰나미같은 후회가 밀려왔다. '인문학 그래픽 노블' 에 대한 개념을 내가 잘못 이해한(?) 탓이 크다. 발자크 작품에 관한 분석, 혹은 작가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 담겨 있을 줄 알았다.바람은 읽고 나서 발자크의 다른 책들이 마구마구 읽어 보고 싶어질 수 있기를 바랐던 거다.그런데 투렌 지방을 부대로 우스꽝스럽고 외설적이며 노골적인 이야기였다. 설명을 자세히 읽었다면, 고르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노골적으로 외설 스러운 장면들이라,글 몰입도가 더 방해되는 기분이었다.물론 아포리즘 같은 문장들이 보이는 순간이 있긴 하다. 그러나 왜 '인문학 그래픽 노블'이란 부제가 달렸는지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발자크와 일부러 친해지려고 하지 말아야겠다. 그냥 자연스럽게 읽혀지는 날이 오면 그때 읽어볼 생각이다. 이것이 내가 인문학적으로 배운 교훈이다. 모두 극찬하는 발자크라고 해도,잘 읽혀지지 않는 책을 억지로 부여잡고 있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을 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