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자신의 말을 들어 주지도 않을 거고 또 이해하지도  못할 거라고 판단한 표정으로 조급하게 머리를 흔들고 다시 걷기 시작한다.하지만 곧 다시 말하고 싶다는 욕망이 그 어떤 판단보다 앞서, 내키는 대로 격정적으로 열변을 토한다.그의 이야기는 헛소리처럼 무질서하고 들떠 있으며 돌발적이어서 전혀 이해 할 수 없지만(...)그가 말할 때 당신은 그의 안에 미치광이와 정상적인 인간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65쪽


"사람들을 판단할 때 그는 백과 흑,두 가지 색으로만 칠할 뿐 그 어떤 중간색도 인정하지 않았다.인류는 정직한 부류와 비열한 부류로 나뉠 뿐 그 중간이란 없다는 것이다.(...)"/67쪽


"온갖 폭력이 사회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필연으로 받아들여지고,무죄 판결과 같이 자비로운 모든 행동에 불만과 복수의 감정이 폭발하는 속에서 정의를 생각하는 것은 우습지 않은가?"/69쪽












오랜만에 체홉의 소설을 다시 찾아 읽고 있다. 처음 읽는 단편도 있고, 예전에 읽었던 단편도 다시 읽고 있다. '6호병동' 은 재미나게 읽었던 걸로 기억하지만..언제나 그렇듯 지난번 읽었을 때와 너무 다른 느낌이라 기분이 묘하다. 탄핵의 시간을 지나고 있는 탓이지 않은 가 싶다. 두려움에 사로잡혀 절규하는 남자의 고백이...전혀 다른 인물로 교차되는 순간이라니...미치광이와 정상적인 인간이 공존할 수 있다는 말에 공감했던 것 같은데..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우겨보고 싶어지는 마음.두려움으로 몸부림 쳤던 이반 드미뜨리치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던 때도 있었는데...아이러니하다. 다시 '미치광이와 인간이 공존한다'는 체홉의 말을 곱씹어 보게 된다. 정상적인 인간은 애초에 없다는 말일까? 누구도 언제든 미치광이가 될 수 있다는 말이였을까? 우리안에 이성이 온전하게 작동하지 않는다는 건 그래서 위험하다는 경고였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