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27/pimg_7470901454445394.jpg)
추리소설 초큼 찾아 읽었다고 자신감이 붙었는지... 평소라면 관심 두지 않을 두 권의 책이 나를 유혹했다.호러와 미스터리와 추리는 또 다를텐데...추리 카테고리 안에 호러와 미스터리를 함께 넣어 생각했던 모양이다. 무튼 목차에 얼마전 읽은 에도가와 란포의 <인간의자>가 있다는 것만으로 읽어보고 싶었던 <호러, 이 좋은 걸 이제 알았다니>...정말 딱 거기까지였다.^^
호러물을 좋아하지도 않으면서 <인간의자>가 있어 고른것이 이유의 전부가 되었다. 여전히 호러에 대해서는 깊은 애정으로 바라볼 자신이.. 사실 란포의 <인간의자>를 읽으면서도 미스터리하다는 생각은 했지만 호러에 가까운 느낌은 받지 못했다. 미스터리와 호러를 구분하기가 참 어렵지만..무튼 느낌적으로 그렇다는 말이다.게다가 <인간의자>는 미스터리하게 이야기를 끌고 가다가 깜찍(?)반전을 주지 않았던가..이 지점에서 미스터리를 애정하는 이들이라면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일수도 있겠지만..그 싱거운 반전이 마음에 들었다.오히려 등골이 더 오삭해지는 기분....해서 <인간의자>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들은 건 아닌데... 함께 소개된 <고구마벌레>가 궁금해졌고,처음 들어본(그러니까 나는 아직도 본격적으로 미스터리 장르에 빠져 있는 사람이 아닌거다^^) 우타노 쇼고가 란포의 작품을 오마주한 작품들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물론 언제 읽게 될지 장담할..수는 없겠지만 "우타노 쇼고는 란포의 작품을 오마주한 <D의살인사건,실로 무서운 것은>이라는 책을 출간했다.이 책에는 <인간의자><오시에와 여행하는 남자><붉은방><음울한 짐승>등 7편의 작품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단편이 실려 있다"/149쪽
책을 펼쳐 보았다가 놀라서 바로 덮어버렸다. 읽은 책이 한 권도 없어서..스포일러를 보게 되면 안될 것 같아서... 이것으로 내가 미스터리에 점점 빠져 들고 있다는 마음만 확인^^ 해서 이 책의 마지막 부분 인터뷰..를 읽었을 뿐이다."장르로서의 미스터리를 읽을 때 우리가 처음 마주하는 것은 혼돈과 공포로 뒤엉킨 세상과 사건,사람들입니다.대부분 미스터리 소설은 누군가가 죽거나 사라지는 사건으로 시작하지요(..)소설을 읽으며 우리는 단서를 찾기 위해 탐구하게 되죠"/209쪽 '탐구' 로서의 매력에 공감.. 물론 결이 조금은 다르다. 나는 범인이 누구인가를 찾는것이 처음에는 궁금했는데..어느 순간 부터, 미스터리소설 만큼 인간의 적나라함을 드러내는 장르가 있나 싶은 생각을.. 어떻게 보면 결말은 언제나 비슷하게 정해져 있다고 보면 매력이 있을까 싶은데... 있다는 사실. 결말이 다소 싱거워도.. 사건이 발생하고.진행되는 과정의 긴장감은...놀라울 때가 많았다. 해서 이 글을 쓴 저자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오르한 파묵의 <검은 책>을 읽어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