꽤 오래 전 즐겨듣던 라디오 프로에서 '파리의 노트르담'에 관한 내용을 소개해 준 걸 기억한다.방송을 듣기 전까지만 해도 나는 '파리의 노트르담' 하면 종지기 카지모도 밖에는 딱히 생각나는 것이 없었기에 당시 카지모도와 에스메랄다 그리고 클로드 신부의 숙명적인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퍽 흥미롭게 다가왔다.이건 그야말로 숙명이 아닌가? 불구의 종지기는 아름다운 집시 여인을 사랑했고,집시 여인은 또 다른 장교를 사랑했고,가장 잔인한 숙명은 신부로 살아가고자 하는 이에게 속세의 사랑의 감정을 품어야 한다는 그 잔인한 숙명까지...그런데 막상 책을 읽기 시작했을때는 쉬이 넘어 가질 않았다.그렇게 오랜 시간 '파리의 노트르담'은 내게서 거리를 두고 있었던 것.다시 읽기 시작하면서 알았다. 이 소설은 그저 카지모도와 에스메랄다 그리고 클로드 신부의 사랑이야기가 아니였다는 것을.15세기의 파리 혹은 19세기의 파리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역사를 파리의 노트르담이 지켜 보고 있었다는 것을.그러니까 종지기 카지모도 도 클로드 신부도 이 소설의 주인공은 아니였던 거였다.다만 읽는 이가 누구에게 애정을 품는가에 따라 조금 크게 부각되어지는 것이였을 뿐. 그래서일까? 나는 숙명 앞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괴로워 한 클로드 신부에게로 시선이 갔다. 이 소설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다룬 탓도 있지만 클로드 신부를 보면서 오래전 보았던 우리나라 영화 '아제아제바라아제'가 생각났기 때문이다. 신을 따른다는 것이 숙명인 자에게 속세의 사랑을 찾아 나서는 것은 과연 숙명을 저버리게 되는 것일까? 만약이란 가정법은 무의미하지만 클로드 신부가 자신의 신부로서 숙명을 벗어 던질수 있었다면 ,숙명이란 것이 오로지 하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면...에스메랄다에 대해 그토록 무서운 집착을 갖지는 않았을 텐데...그런점에서 보면 에스메랄다 나 카지모도는 얼마나 자유로운 인물들인가? 자신을 구원해 준 이를 위해 사랑할 숙명을 기꺼이 받아 들였으니까 말이다.그래서 나는 클로드 신부가 행복에 관한 생각을 읇조릴때 마음이 스산하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보바리 씨도 그랬지만, 노트르담에서도 콰지모도에 관한 이야기라 흥미롭게 읽혔다. 오래전 읽은 나의 노트르담..을 살펴봐도 '추함'에 대해 크게 의미를 두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 그러니까 망겔 선생의 시선으로 소설 속 인물과 만나는 시간은 즐거웠다. 노트르담성당의 아름다움을 위해 추한 콰지모도가 필요했다는 설정..이라니 무엇보다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한 이야기는 흥미로웠고, 던져진 질문은 놀라웠다. "카지모도는 겉보기와 정반대의 내면을 지닌 사람이다. 그는 질항아리에 예쁜 꽃들을 담아 에스메랄다에게 보여줌으로써 세공된 크리스틸 화병에 꽂힌 시든 꽃들과 비교하게끔하는데,이처럼 자신의 아름다움은 내면에 있으나 아무도 그걸 들여다보려고 노력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다정하고 관대하고 용감하게 행동할 수 있고 감사를 표할 수도 있으며 사랑에 빠질 수도 있다.그런데 이 모든 것이 아무 소용도 없다.이 소설의 제목에 이름을 내준 건물이 그 어마어마한 아름다움으로 규정되듯,그는 괴물처럼 흉측한 외모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위험한 관점으로서 이면에 감춰진 진실을 우리에게 시사하고 있다. 등이 구부정하고 이가 들쑥날쑥하고 눈이 비뚤어진 카지모도가 실상 훌륭한 사람이라면 정교하게 세공된 석제와 스테인드클라스로 이루어진 노트르담 이면의 실상은 과연 무엇일까?"/ 202쪽  소설을 읽을 때는 잘 보이(?)지 않았는데, 뮤지컬을 보면서..는 카지모도에게도 사랑에 대한 욕망이 있다고 생각했다. 해서 신부가 더 애잔하게 느껴지기도 했는데, '숙명'이란 화두가 그런 시선으로 보게 했던 걸까.. 아니면 내 무의식에 카지모도의 추함...이 작용한 걸까.. 오리지널 내한 팀이 다시 국내에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그때는 카지모도의 마음으로 읽어봐야 겠다.^^



"내면과 외면 또는 보이는 것과 감춰진 것 사이의 괴리는 문학에서 흔히 다뤄지는데도 우리는 현실에서 이런 괴리를 맞닥뜨리면 어김없이 속아 넘어간다. 부드러운 눈빛을 지닌 사람인 줄만 알았는데 실은 클라우스 바르비(나치치하 게슈타포 책임자)였다거나, 근엄하게 인상을 찌푸리고 심술궂은 입매를 한 사람의 사진이 알고 보면 테레사 수녀의 것이라거나(...)우리는 도통 깨우치지 못한다. 얼굴이 카지모도처럼 생긴 사람에게는 좋은 구석이 있을 수가 없다고 자꾸만 믿어버린다"/2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