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손이(?) 갔다. 그러나 이말은 반은 맞고.반은....어쩌면..^^ 츠바이크의 소설 두 권을 연달아 읽고 보니.자연스럽게 츠바이크가 쓴 <모든 운동은 책에 기초한다>로 시선이 갈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책을 펼치고 손이 간 이유가..뭔가 작용(?)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 혼자..소름돋는 기분을 경험했다.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이 보였다. 츠바이크가 읽은 책들에 대한 리뷰가 궁금했고, 운동과 책이란 표현이 매력적이다 싶어 구입했던 책. 그러나 정작 읽은 책보다 읽지 않은 책이 더 많아서... 소개된 책들을 읽게 될때마다 찾아 오겠다고 다짐..을 했더랬다.. 정말 '다짐' 만 굳건히.... 그런데 다음주에 프로이트를 주제로 한 영화를 볼 계획이라..약간이라도 프로이트선생을 만나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프로이트가 보인 거다.^^
400페이지가 넘는 책을 읽을 자신(?)은 여전히 없다. 그런데 목차의 면면이 유혹한다..'전쟁과 죽음에 대한 고찰' 그런데.. 츠바이크선생의 리뷰에는 '문명적 성도덕과 현대인의 신경병'관한 부분에 관해 이야기 해 주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인간의 기본 욕구는 수백년이 지나는 동안 인류 전체의 역사와 함께 끊임없이 점점 더 큰 한계에 부딪혀 왔다.이전에는 양성애뿐 아니라 다성애까지도 포용되었던 성적 지향의 문제도 근친상간이 금지된 것처럼 여러 제한을 받아들여야만 해서 자신과 다른 성을 가진 단 한 명의 대상과 혼인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대일의 성관계만이 허용되고 나머지는 점진적으로 정치적 종교적 테두리 바깥으로 밀려났다.인류는 공격 충동 같은 다른 기본적인 충동도 소위 도덕이라 불리는 종교적 규제에 의해 빼앗겼다"/56쪽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을 읽지 않았으니, 어디까지나 츠바이크의 시선(?)일수도 있겠지만 조심스럽게 동의하고 싶은 마음이 든 건.. <증오의 시대, 광기의 사랑>에서 마주한 '사랑'들 과 마주했기 때문이다. '도덕적'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 자체가 애초에 불가능 하지 않을까..예술가들은 뭔가 다르다는 것 인정해야 할 것 같은..'면죄부' 라는 말은 좋아하지 않지만..무튼 프로이트와 츠바이크의 시선으로 보자면 '충동 억제에 의한 행복상실'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받아 들였고, 예술가들은 기꺼이 싸웠(?)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이런 근거의 출발점과 고민..등이 시작되고 연구되는 과정들까지야 속속들이 알 수 없었지만..애초에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을 수도 있다는..사실. 400페이지의 압박에 도전해 보고 싶은 마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