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그렇지만 그녀는 밤에 우는 애라면 질색이었다.애를 기꺼이 죽일 용의마저 있었다.헤티 소렐처럼 애를 질식시켜 땅에 묻어 버릴 수도 있었다. 헤티 소렐의 아기는 분명 밤중에 울어 댔던 거다-그 아서 도나손의 아기는 분명히 그랬을 거다, 하-이 세상의 아서 도니손 같은 남자들 제럴드 같은 남자들 낮엔 그렇게 남자답다가 밤만 되면 그렇게 내내 울어 대는 아기들(....)"/756쪽  조지 엘리엇의 소설 <아담 비드>라는 사실을 알았으니, 앞서 읽었던 리뷰를 찾아봐야 겠다. 주인공의 이름도 기억나지 않지만 저 스토리도 기억나지 않으니..지난해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스스로가 행실을 결정하는 것처럼 행실은 우리의 운명을 결정짓는다.어떤 사람이 왜 그런 행동을 했으며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그 사람의 행동과 속마음을 모두 알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그 사람의 인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74쪽   오래전 부터 읽으려고 생각했던 작가 중심으로  읽고 있다.플로스 강..도 그랬고, <아담 비드> 역시 1권 보다 2부가 흥미롭게 읽혔다. 1부만 읽다 포기했으면 큰일날 뻔 했다.^^ <아담 비드>의 1부는 종교적인 주제가 전면에 자주 보여 부담스럽기도 했고.. 수많은 인물들의 개략적인 스케치만 그려진 탓에.. 2부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끌어 가게 될지 내심 궁금했다. 동시에 나름 이성적이라 생각했던 아담 조차.. 사랑에 있어서만큼은 이성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는데.. 2부의 문을 열면서..독자들이 그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듯 그럴수 밖에 없는 이유들을 설명하고 있어 놀랐다."공명정대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라도 사랑과 질투에 사로잡힌다면 그 순간 아량을 완전히 잃을 것이다"/92쪽 조금은 느리게 흘러간 1권과 달리 2권은 엄청난 속도로 흘러간다. 한 여인을 둘러싼 아서와 아담의 관계가..폭발할 것 같은 전운.. 그러나 생각과 다른 방향으로 강력하게 흘러가서 놀랐다. 지금 시대가 배경이 아닌걸 감안해서 더 그렇게 느낀걸 수 도 있겠지만... 아서와 아담의 직접적인 싸움의 방식도 놀라웠고, 헤티가 아담과 결혼을 약속하는 과정도.. 그리고 이후 그녀가 갑자기 아담을 떠난 이후 그녀에게 찾아온 극한의 고통은..솔직히 상상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충격이 컸다. 싸움과 가짜 행복 그리고 찾아온 저마다의 고통이 정신없이 흘러가는 순간이 놀라웠다. 더 놀라운 건..그 시간을 겪으면서 아담이 성숙해지고 있다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졌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마음속에서 슬픔을 완저히 없애버리지 못하는 대신 다른 형태로 바꾸는 힘이 있다. 슬픔뿐만 아니라 어떤 감정이라도 마찬가지다. 고통을 공감으로 바꾸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359쪽 페미니즘의 고전이라고 했지만 지나치게 억눌린 여성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느낌은 받지 않았다. 오히려, 타인을 평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나의 고통이, 공감으로 이어질때 비로소 타인을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비로소 참 사랑이 눈에 보이게 되는 것처럼...(세스 비드가 가장 안타까웠는데..어떠면 그가 가장 현자였을지도 모르겠다.^^) 보통 리뷰를 남길때 인물의 이름은 잘 거론하지 않는 편인데..고맙(?)게도 아담과 헤티를 언급한 덕분에..로렌스의 소설에서 언급된 부분을 기억해 낼 수 있었다. 질투로 시작된 사랑에서 행복한 결말을 끌어내기란 드라마에서나 가능한 모양이다..질투의 화신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