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는 혼자 하는 거라 생각하던 때도 있었지만..이제는 나와 다른 의견을 만나고, 같은 느낌을 공유하는 것도 기쁨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책은 도끼다>와 <전복적 소설 읽기> 와 같은 책이 그렇다. 지금까지도 '칠레의 밤'과 '왼손잡이 여인'은 읽지 못했다. 카프카와 프루스트 이야기가 흥미로워 물개박수를 쳤던 기억은 여전하고..그런데 <이방인>도 소개되어 있는 줄..모르고 있었는데..우연히 다른 책을 검색하다 발견.. 해서 <이방인>을 읽자마자 '전복적 소설 읽기' <이방인> 편을 찾아 읽었다.
"자유와 행복의 증거였던 냄새와 밤하늘의 별들이 새롭지는 않습니다. 뫼르소는 이미 그 공간에 살고 있었어요.다만 그때는 '나'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어른이 아니었다는 뜻이죠.그런데 뫼르소가 감옥에서 '나'를 인식하고 아름다운 '세계'와 마주치는 축복을 경험합니다.이 만족과 행복은 곧 축제죠.이 축제에서 어떻게 혼자 있겠습니까? 축제를 즐기고 싶어서 내가 죽는 날 아침에 많은 사람이 와 주면 좋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존재를 발견하는 축제, 제가 읽기로는 그렇습니다"/245~246쪽
"참으로 오랜만에 엄마 생각이 났다.엄마가 왜 일생의 막바지에 '약혼자를 얻었는지 왜 다시 삶을 시작해보려고 모험했는지 이해할 듯했다. 그곳,생명이 꺼져가는 양로원 그것 주변에서도 저녁은 아쉬움이 섞인 평온함 같았다.(....)나는 처음으로 세계의 애정어린 무관심에 자신을 열어줬다.그 세계가 꼭 나와 똑같고 형제 같다는 깨달음에 이르자 나는 전에도 행복했었고 여전히 행복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모든 것이 종언을 고하고 내가 덜 외롭기 위해 남은 단 하나의 바람은 내 처형식 날 숱한 사람들이 와서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달라는 것이었다"/145쪽 휴머니스트에서 기획된 '날씨와 생활'의 시선이 아닌 '존재를 발견' 하는 시선으로도 이방인을 읽어낼 수 있다는 사실..죽음에 임박한 순간 비로소 엄마를 이해하는 마음을 갖게 된 사실에만 주목했던것 같다. 사형이란 형식앞에 축제..라는 말을 선뜻 할 자신은 없지만..뫼르소가 자신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는 이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