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성을 추구하는 글이 많지만 카프카 같은 사람은 드물죠.아무리 읽어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는 정답이 없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정답이 많은 것이겠죠.카프카의 문학은 불투명성의 투명성이 있어요.다 맞는 것 같은데 실제로는 전혀 안 맞는,맞추면 맞출수록 안 맞는 것이 분명하거나 그것만으로는 다 열리지 않는 경우죠."/58쪽
소개된 8 권의 책들과 저마다 인연(?)이 있어 반가웠다.소개된 책 가운데 특히 궁금했던 유일하게 읽지 않은 책 '칠레의 밤' 그런데 정작 <변신>을 가장 먼저 읽게 되었고.'전복적'이란 시선에 맞게 내가 변신을 읽을 때 느꼈던 시선과 비슷한 지점을 만나게 되어서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왠지 읽지 못한 책들을 다 읽어낼 수 있을 것 만 같은 기분이 든다고 해야 할까.
처음 <변신>을 읽었을 때는 곤충으로 변한 그레고르에게 온전히 집중하지 못했다.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끼는 지점과 달랐는데..그 다름의 간극을 뾰족히 설명할 길이 없었던 거다..그런데 2017년 다시 <변신>을 읽을 때 그레고르가..곤충으로 변한 자신의 모습을 통해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는 걸 느꼈다.그러나 한편으로는 지나친 비약은 아닐지.오독하는 맛도 독서의 매력 중 하나일텐지만 대부분 소외라고 보는 시선에서 나는 어쩌자고 탈출의 증후가 보인다고 생각했을까...이제 그 이유(?)가 '전복적'시선으로 보려는 무의식의 작용은 아니였을지 생각해 본다.사실 고전을 이렇게까지 여러 번 읽는 까닭은 줄거리를 온전히 기억하지 못하는 탓도 있지만 읽을때마다 다른 시선으로 읽는 맛..그 유혹을 뿌리칠수가 없기 때문이다. <변신>을 한 번 읽었다면 나 역시 그레고르가 탈출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하는 마음은 읽지 못했을지도 모를테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