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생전 ㅣ 우리고전 다시읽기 26
박지원 지음, 구인환 엮음 / 신원문화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안성나들이를 했다. 그런데 허생전에..안성이란 지명이 등장한다는 AI 의 친절한 설명 덕분에..급 나들이에 동행하고 싶어 찾아 보았으나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는 허생전.해서 우선 빌려 읽을 만한 책으로 대출해서 읽었다.

안성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도 아닐 뿐 더러.. 딱 한 번 언급되는 것이 전부였다,라고 생각한 순간 <허생전>을 읽었던 이유가 떠올랐다.아마 처음 읽을 때도 '안성'이란 지명이 인연이 되었던 것 같은 기분이...무튼 아주아주 짧은 소설이었지만, 강력하다는 느낌을 지을수가 없다. 사대부의 무능..이라든가, 평생 글만 공부하던 허생원이 시장경제를 이렇게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기 보다..핵심은...유능한 인재를 알아볼수 있는 눈이 리더에게는 있어야 한다는 충고가 허생전의 핵심은 아니였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 하게 된 생각이다. 그래서였을까 <허생전>을 읽으면서 불현듯 해마다 열하일기를 읽겠다는 약속만 하고..실행에 옮기질 못하고 있는데..읽어 보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
"그럼 처음에 당신은 내가 만 금을 내어줄 것을 어떻게 알고 찾아왔던가?" 허생이 말하였다. "자네가 꼭 내게 줄 것이라고 믿은 것은 아니지만 누구라도 만 금을 가지고 있는 장사꾼이라면 내주지 않을 수 없을 거야.내 스스로 재주를 헤아려 보면 넉넉히 만 금을 벌 수가 있을 것 같지만 운명은 저 하늘에 달려 있는 것이니 아무도 그것을 알지 못하거든.그러므로 나를 알아보고 써먹는 사람은 복이 있는 사람일세(...)"/2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