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강의 소설이 언급되어..오래전 읽은 브람스를..다시 꺼내 보았다

마카베에 대한 히토미의 마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기분이 들었다.





그러니까..'브람스...'를 다시 읽게 된 건 순전히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콘트라베이스' 때문이었다. '브람스'라는 작곡가가 등장한다는 이유말고는 공통점이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한 순간 '사랑'이란 녀석이 툭 하고 튀어나와버렸기 때문에.물론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이야 샐수 없이 많겠지만..공교롭게 브람스의 로맨스는 세상이 다 아는 것처럼 아픈 구석으로 남아 있어서(어디까지가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콘트라베이스 속 주인공처럼 짝사랑으로 힘들어 하는 모습에 브람스가 일 순위로 오버랩 되었고 다시,사강의 소설로 연결이...^^  2014년에 처음 읽었다는 것 말고 기억에 남는 것이 없어 다시 꺼내 읽었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민음사의 표지는 나에게 또하나의 교감을 나누는 통로가 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었다.

 

 

 '생일'은 샤갈의 그림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그림이다. 어쩌면 그림에 대한 스토리가 그림을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했는지도 모르겠다.연인이 자신의 생일을 축하한다며 찾아왔다는 사실에 행복했던 샤갈의 마음이 그림에 그대로 녹아들었다고 하지 않던가...비록 현실적으로는 부모님의 반대가 있었다 해도 말이다.그런데 사강의 소설 속 인물들은 어떤가? 로제와 폴 그리고 시몽의 관계는 참으로 지리멸렬하다.문득 저들의 모습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의 모습으로 읽혀지기까지 했다.과거 속에서 여전히 헤어나오지 못하는 로제.미래만을 꿈꾸고 싶어하는 폴,그러면에서 시몽이 가장 현실적인 인물로까지 느껴졌다.누군가는 자신보다 한참 연상인 여인을 사랑하는 것을 두고 정신없는 녀석이라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그는 폴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싶어하는 것처럼 그려지지 않았던가? 가장 답답했던 인물은 '폴'이었고 가장 이기적인 인물은 '로제'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뒤로가면 갈수록 누가 더 이기적인 것도.혹은 답답한 것도 아니었다는 생각을 했다.그저 자신의 감정을 특히 사랑이란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서 힘들었던 거라는 생각을 했다.해서 처음에는 왜 샤갈의 낭만적인 그림을 전혀 낭만적(?)으로 보이지 않은 사강의 소설에 입히게 되었을까 궁금했더랬는데..로제와 폴이 행복해지기를..혹은 서로의 감정에 솔직해 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상상해 보게 되었다.브람스가 클라라를 바라보기만 한 것을 누군가는 답답하다고..혹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할수도 있겠지만..어차피 사랑이란 것은 무엇이다 라고 딱 하나의 말로 정의내릴수 없는 거니까 말이다.너무 솔직해서 문제가 되고.상처가 되기도 하지만 그 반대일 경우에도 상처가 되는 건 마찬가지인 듯 하다.소설의 줄거리는 다분히 통속적이라 어느 정도 예상이 되어지는 결말(그렇게 되지 않기를 바랐지만) 로 흘러갔다.그럼에도 이 소설을 재미나게 읽을수 있었던건 '사랑'이란 감정이 솔직하지 못했을 때 어떤 상황들이 벌어질 수 있는지를 마주하게 해 주었다는 거다. 


주인공인 폴이 연하의 연인에게 젊어 보이려고 화장을 고치면서 ‘그렇게까지 꾸며야 한다는 것이 마치 자신의 약점처럼 느껴져서 싫었다‘라는 폴의 고백에 마카베를 만나는 날이면(...)동감하는 히토미씨입니다/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