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가 쓴 작품을 보면 그 여자의 성격이 아주 잘 나타나 있습니다"/37쪽


"조용히 부는 바람 같은 사랑이나 눈물 같은 사랑, 탄식의 사랑이 아닙니다.폭풍우 같은 사랑, 달력에도 실려 있지 않은 엄청난 폭우같은 사랑 비수 같은 사랑입니다"

비수 같은 사랑이 자줏빛인가요?"

"비수 같은 사랑이 자줏빛이 아니라 자줏빛 사랑이 비수 같은 사랑입니다"

"사랑을 자르면 자줏빛 피가 나온다는 뜻인가요?'

"사랑이 화를 내면 비수가 자줏빛으로 번뜩인다는 뜻입니다"

"세익스피어가 그런 이야기를 썼나요?"

'셰익스피어가 쓴 것을 제가 평한 것입니다. 안토니우스가 로마에서 옥타비아와 결혼했다는 소식을 전령이 가져왔을 때 클레오파트라의...."

"질투심으로 자줏빛이 짙게 물들었겠네요?" /39쪽




오노와 후지오가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에 관한 대화를 나누는 부분을 읽으면서..다시 세익스피어의 비극을 읽어 보고 싶어졌다. 처음 읽었을 때..몰입감이 크지 않았는데..이번에도 몰입감은 깊지 못했다..역사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탓도 있겠지만...'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의 주제가 '사랑'이란 설명에 쉬이 동이 할 수 없어서 인지도 모르겠다. 세익스피어의 비극이 아니라..온전하게 역사를 다룬 이야기를 읽고 나면 조금 다른 시선으로 보게 될지 모르겠지만.. 무튼 <우미인초>에서 후지오의 죽음을 보면서..소세키선생 역시 클레오파트라 보다는 안토니우스에게 조금은 후한 점 수를 준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사랑'일지도 모른다. 질투의 마음,배신의 마음, 유혹의 마음...도 사랑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면.셰익스피어의 비극에서는 사랑보다, 질투와 배신과, 욕망이 더 크게 보일 뿐이었다.해서 안토니가 사랑했을 지도 모를 그 마음이 애처롭게 보였다기 보다..국민보다 오로지 자신의 사랑에 관심을 가진 리더를 백성들이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하는 마음으로 읽고 말았다 안토니가 말한다...."(....) 배알 없는 백성들은 쌓은 공이 없는 자를 그 가치만 보고는 절대 사랑 않는데도 폼페이 대장군 칭호와 그의 모든 훌륭한 자실을 다 그의 아들에게 퍼붓기 시작했고(.....)"/495쪽






 책을 읽게 되면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사랑이 진짜 사랑이었다고 생각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