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일 한 문단씩 읽어온 이 책. 영어판과 같이 읽었다. 가끔 불어판도. 

이 책 읽는 동안 같이 읽은 바슐라르는 적어도 두 번 책이 바뀐 거 같다. 바슐라르는 아주 두꺼운 책은 쓰지 않았고 사실 거의 전부 얇은 편. 아도르노도 아주 두꺼운 책을 썼던 건 아니지만 그래도 그의 책들 중 <부정변증법>은 사실 분량에서도 거의 대작 풍모 나는 책이긴 해서, 적어도 3년 동안 아도르노는 내내 이 책인데 바슐라르는 하나 치우고 하나 더 치우고 ... 그랬던 느낌. 


이 책 번역에 나는 여러 번 감탄했다. 이건 뭐 나님, 나새끼, 노바디 나부랭이;의 의견일 따름입니다만, 한국어 번역된 철학 고전 중 번역이 잘된 책을 선정한다면 베스트에 꼭 넣어야 할 책이다 쪽이다. 사실 오역이 (영어판, 불어판 기준) 없지 않고, 역어 선택이 문제라 보일 대목들도 있고 인용 표시와 관련한 오류도 적어도 하나 발견했던 거 같고, 흠잡을 데 없는 번역인 건 아니다. 그러나 아도르노가 아주 자주 쓰는 아주 복잡한 문장들을 그 복잡함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아름답게 옮긴다고 감탄할 수 있는 대목들 아주 많다. 


그런데 번역이 잘되면 뭐하나, 우리의 현실에서 아무 의미가 없는데, 아무 뜻도 가질 수 없는데! 며칠 전 이와 같이 한탄하고 노트를 남겨 둠. 읽은 문단은 3부의 1장, 칸트 윤리학 비판하는 장에 있고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포함함. 


"그러나 예지적 성격과 경험적 성격의 구분은, 순수 의지 혹은 부가요인 (das Hinzutretende) 앞에 다가오는 영원한 장벽(Block)에서 경험된다. 그것은 생각할 수 있는 온갖 종류의 외적인 고려이며, 여러모로 종속적인 그릇된 사회의 주체들의 비합리적 이해관계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현사회 속에서 예외 없이 모든 개인에게 그의 행동을 미리 규정해주는 것이자 만인의 죽음이기도 한, 부분적 개인이익의 원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독어, 영어, 불어 참고하지 않고 한국어만으로 아도르노의 저런 문장들이 이해될 수 있겠? 

이해되지 않는 것이 우리의 잘못? 이해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 (....) 내 생각에 가장 필요한 건 칸트 윤리학에 깊이 영향 받은, 그러면서 우리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 하튼 도끼같은 책. 그래서 많이 팔리고 논의된 책. 그런 책이다. 그런 책이 단 하나만 있더라도, 칸트 윤리학에 대해 쓰는 아도르노 문장들이 (한국어 번역만으로) 이해되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아도르노 윤리학에 깊이 영향 받은 또한 우리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 도끼같은 책이 쓰이기 시작하고. 그렇다고 생각한다. 영향이 싫다면, 영향 없이, 자생, 자력으로, 아무튼 도끼같은 책.  


칸트 번역도 그렇겠지만 특히 아도르노 번역에서 실감할 수 있을 거 같다. 우리는 한국어로 진짜로는 사유를 한 적이 없다는 것. 정신 모두를 말 속에 담는 일을 해 본 적이 없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난해한 철학서의 "이상적 번역"을 한국어로는 사실 상상도 하기 어렵다는 것. 아무리 어휘와 문장이 정확하고 아름다워도 거기 내용을 담을 수 없기 때문에. 그 책들이 해보이는 것처럼 내용을 담는 시도를 본격적으로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독재가 아주 옛일이 아닌 사회에서, 말과 삶, 정신이 분리되면서 살아간다는 게 뭐 그리 분노할 일은 아니겠지만, 나는 이 분리가 꼭 필요하고 이 분리에서 "득을 보는" 이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성의 삶을 위한 표준. 이것에 반대할 이들. 본능적으로 반대할 이들. 본능적일 뿐만이 아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학원 시절 철학책들 읽기 시작했을 때 이해하기 힘들던 것. 

그런 것 많았지만 그 중 nominalism. 영한사전에서는 "유명론" "명목론" 이런 명칭으로 뜻 주고 있다. 

위키피디아에서 찾아보면 이런 식으로 설명을 시작한다. 


"형이상학에서 유명론은 보편과 추상이 오직 이름으로만 존재한다는 관점이다. 적어도 두 종류의 유명론이 있다. 하나는 보편의 실재를 부정하는데 가령 "힘" "인간성"은 그 자체로는 실재하지 않고 그것을 구체화하는 특정 사물들이 있을 뿐이라고 본다. 다른 하나는 추상적 대상(관념) 자체의 실재를 부정한다. 추상적 대상은 실제의 시공간 안에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In metaphysics, nominalism is the view that universals and abstract objects do not actually exist other than being merely names or labels. There are at least two main versions of nominalism. One version denies the existence of universals – things that can be instantiated or exemplified by many particular things (e.g., strength, humanity). The other version specifically denies the existence of abstract objects – objects that do not exist in space and time." 



한편 아주 바로 이해되는 거 같은 느낌이기도 했다. 

오직 이름만이 (말만이) 있을 뿐. 이거 한국 아님? 유명론이라, 이거 혹시 한국적 마인드를 말하는 것임?  

한국적 방식의 립서비스? 말 따로 삶 따로에서 나오는? 아무말을 그럴듯하게 함이 성공한 자의 표지인? 


물론 그거 아니었고 아닌데 지금도 나는 nominalism 이 단어 보면 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저 단계를 떠나지 못하...... 혼란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18세기도 그렇지만 19세기 프랑스의 정치사는 그 극적인 전개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unrivaled") 하는 문장을 오늘 읽었는데, 인정. 인정합니다. 잘 모르지만 인정합니다. 인정하게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 심정이었다. 이들이 남긴 논쟁들을 보면 내가 위와 같이 이해했던 "유명론"의 정반대 세계가 무엇이냐를 알 수 있다. 혁명에 진심이었던 이들. 이토록 진심이었던 이들. 자기가 말하는 전부를 믿었던 이들. 그들의 정치사는 무엇보다 이념의 드라마였으므로 드라마일 수 있었을 것이다. 


말 따로 삶 따로라는 건, 정신의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렇게 정신의 형성이 차단되면, 어느 나이 이후에는, 인간은 양아치가 되지 않나? 아닙니까? 

양아치스러움의 발생학을 한다면 가장 먼저 봐야할 곳이 이거 아님? 일단은 윤석열을 생각하게 됩니다. 

.... 그 다음 누구, 누구, 누구누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 동네 공원은 아닌데 (그럴 수도?) 구글에서 "동네 공원"으로 찾아보니 나온 이미지. 

"동네 공원 플렉스" "작고 소중 우리 동네 공원" 등등 사는 동네 공원 자랑 글들 찾아진다. 

지금 동네 둘레길 입구와 근방 공원이 이 느낌 비슷하다. 푸르고 맑고 조용하고. 아주 너무 좋음. 유튜브에서 동네 공원 플렉스할 채널이 아닌데, 채널 주인이 그럴 생각이 전혀 없었을 거 같은데, 좀 비현실적으로 좋아 보이는 (서울은 아니고 서울 근교) 공원 보기도 했다. 공원 보면서 그 동네도 이 집 다음 이사할 곳 후보지로.  


특히 새벽에 캄캄할 때 이런 공원으로 (적절한 조명) 가는 산책이 좋다. 예전 집 살 때 3,4시에 일어나는 세월 길게 보냈었는데 그게 무엇보다 이 때문이었. 겨울에는 6시에 일어나도 캄캄하지만 여름엔 4시 반만 되어도 늦음. 어느 날 새벽 캄캄할 때 공원에 갔다가 말라뮤트급 대형견은 아니었지만 허스키 정도는 되는 개와 어쩌다 마주치고 나서 새벽의 산책 루틴이 일그러졌었지. 이 때 119에 전화도 했었다. 내가 알아서 개를 피한다고 피하지만 피하지 못하고 깊이 물리고 쓰러진다면? 그러는 동안 응급차가 이미 오고 있어야 죽지 않겠지. 발견되겠지. 그 날 이후 개에 물려 죽은 사람 뉴스 두 번쯤 들은 거 같다. 


모르는 개와 어둠 속에서 갑자기 만나는 건 공포. 그러나 탁 트인 곳에서 말라뮤트급 대형견과 뛰고 놀고 하는 건 로망. 남은 삶을 어떻게 살고 싶은가 생각하면서 저것도 포함하고 싶어졌었다. 큰 개를 키운다. 개와 논다. 넓은 마당이 있다. 조용하다.




국민지원금 신청하라고 카드사 연락이 오고 있는데 

국민지원금 수령 기념으로다 (미리 기념) 동네 족발집에서 족발 사올까 하는 중. 

검색해 보니 맛집이라는 평가가 여럿 나온다. 저녁으로 촵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만 불태우고 (맥주 사와서 이미 있던 남은 소주 말아서 마시다가) 

이제는 우리가 (내가) 헤어져야 (자러가야) 할 시간.... 하는데 바로 저 음반이 재생되기 시작한다. 

옆에 켜 둔 전화기에서. 


생애 최고 음반으로 생각하기도 했던 이것. 언제 어떻게 처음 알았나도 모르겠는데 

여러 시기가 거기 들어가 녹아 있는. 




얼마 전 포스팅했던 숲에 폭 싸인 거 같은 작은 공원. 오늘 거기 가서 운동하는데 

한 할머니가 다가와서 말을 거심. 뭐라고 하시나 잘 못 알아들어서 예? 했더니, 그러니까 그게 

너 항상 오던 그 다른 공원 요새는 안 가니? 였다. 


알아 듣고 나서 아하하하 네. (네네 안갑니다) 하긴 했는데 

아 그 할머니. 도대체 어디서, 어디서 얼마나 나를 보신 것이냐. 그 다른 공원의 어디서 얼마나. 

"오늘도 여기로 오나 보네?" : 이거 무의미한 겁니까. 아니면 도대체 나를 얼마나 주시했다는 뜻이 되는 겁니까. 


그런데 그 할머니의 웃는 얼굴이 정말 환하게 웃는 얼굴이었다. 신뢰하고 사랑;;; 하는 얼굴. 

니가 할머니라면 그렇게 웃을 수 있겠니. ;;;;;;;; 하지만 할머니라야 그렇게 웃을 수 있는 것일까. 


그런데 어쨌든 내가 청도로 가서 살든 파주로 가서 살든 

할머니들과의 관계가............ 중요;;;;; 해질 수도 있겠고 

설령 할머니들과의 관계가 틀어지더라도 그래도 무엇이 가능했나를 기억한다면......... 

그러니까 같은 할머니들끼리. 



아이고. 11시 되기 전 자러 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1-09-05 00: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10:48

12분만에 취침 성공하셨을까요?^^

알라디너 교*님 페이퍼에서도 조깅하시다가 낯선 할머니들께서 말 걸어오신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뭔가 교점이 있네요^^

몰리 2021-09-05 08:53   좋아요 1 | URL
네 아주 오래 잘 잔 상쾌한 아침입니다... (음... 역시 소주의 힘!;;;)
할머니들 중에 우울하고 지친 할머니들이 많지만 ㅎㅎㅎㅎ (아니 뭘 안다고? 겉만 보고?)
가끔 소녀같은 할머니들. 다정하고 소녀 같은. 와서 말 걸고 눈마주치며 웃으시는. 저도 곧 (어느 쪽이 될지 몰라도) 합류할 할머니들의 세계 ㅎㅎㅎㅎㅎ 할머니들의 정치세력화! 를 꿈꾸....
 



두둥. 불타는 토요일을 달려. ;;;; 


Dits et ecrits 이 책에 90페이지에 달하는 푸코 연보가 있는데 

81년 미테랑이 대통령 당선되던 날도 별도 항목이 있다. 


"그 날 저녁 그는 Paul Rabinow와 같이 거리로 나가 환호하는 시민들과 합류했다. 

어느 여학생이 그에게 다가와 말했다. "나는 학교에서 철학 수업이 너무 고통스럽다." 그는 폭소했고 이렇게 답했다. "그 고통은 자본주의에 의한 것이다. 사회주의 하에서 철학은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대강 저런 내용이다. 

아니 대통령 당선과 사회주의 하에서의 철학과 무슨 상관? 

.... 하다가 미테랑을 위키피디아에서 찾아보니 그가 사회주의자 대통령이라고 (..................) 

미테랑. 혼외 자식이 있지 않았나? 당당하게? (어쨌든, 결과적으로 당당하게? 아니 시작부터 당당하게?) 

하튼 그래서 역시 프랑스... 무려 대통령의 혼외 자식을 쿨하게 인정함. 그렇게 소비되던 시절이 있지 않았? 

아무튼 그가 사회주의자였군요. 푸코는 그의 당선에 거리로 나가 계속 웃었을만큼 기뻐했군요. 

미테랑을 그가 사회주의자였는지 같은 것도 몰라도 되는 세대가 아닌 거 같은데, 몰라 뵈었.  



푸코의 삶도 짧았다. 그렇게 많이 말하고 쓴 (아 정말.... Dits et ecrits, 이 두 권에 실린 양만으로도 기절...) 사람의 

삶도 그렇게 짧았다. 저 긴 연보를 사전 계속 찾아가면서 더듬더듬 보면서도 끝엔 "인생이, 푸코의 인생도 

이렇게 짧구나..." 


.......... 그러니 어디서 어떻게 남은 ㅎㅎㅎㅎㅎㅎ 삶을 살 것이냐가 

내 세대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일 수 있을 것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