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동안]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웃는 동안
윤성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앙상한 서사의 별자리가 아니라 무수한 여담들의 은하수를 보는 즐거움은 여전히 윤성희가 우리에게 주는 기쁨이다.’ - 김형중(문학평론가)


책의 띠지에 적힌 글이다. 윤성희 소설의 매력을 이 문장만큼 명료하게 표현할 방법은 없을 듯하다. 앙상한 서사의 별자리가 아닌 무수한 여담들의 은하수. 참 멋진 문장이다.


사실 윤성희의 소설을 처음 접하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서사에 정신이 어지러워지고 만다. 이야기는 문장단위로 톡톡 튀어나가며 순식간에 현재와 과거를 넘나든다. 한 문단 안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이야기들이 담긴다. 작가는 배경이나 상황에 대한 묘사를 자제하고, 그 공간에 대단히 드라이한 문체로 사실만을 채워넣었다. 때문에 그녀의 소설은 대단히 산만하다. 다듬어지지 않은 습작생이 섣불리 그녀의 스타일을 따라했다간, 분량 조절에 실패했다느니 여담이 많다느니 중심이 없다느니 하는 쓴 소리를 잔뜩 들을 것이다.


윤성희는 많은 이야기들을 풀어놓고 있지만 동시에, 수 많은 이야기들을 감추고 있다. 그녀의 소설엔 수도 없이 많은 ‘결과’들의 존재한다. 수학여행을 가는 버스가 전복되어 그곳에 깔려 죽은 여학생들, 교통사고로 반신불수가 된 남자, 위암 말기였지만 심장마비로 죽은 아내. 그 결과들의 중간은 대단히 간략하게 압축되어 있거나 심지어는 생략된다. 때문에 그녀의 소설은 대단히 건조하고, 빠르게 전개되는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속도감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문장과 문장 사이의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이다. 그녀의 소설을 읽고 있으면 섣부르게 문장을 뛰어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 문장 사이의 먼 간극에 어마어마한 이야기가 감추어져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생각은, 작가가 자신의 캐릭터에 대단히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는 것이었다. 그녀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위해 만들어진 인물들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왜나하면 그 인물들은 숨겨진 이야기들을 대단히 많이 품고 있기 때문이었다. 일반적인 단편 소설의 등장인물이란, 사건 전개에 필요한 경험만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서사에 필요한 기억들, 서사에 필요한 성격들, 서사에 필요한 관계들. 하지만 윤성희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살아 있는 인물이 경험하는 것 만큼이나 많은 이야기들을 품고 있다. 그래서 그녀의 소설을 읽고 있으면 단순히 이야기의 골격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들 하나 하나의 살아온 발자취가 느껴진다. 그것은 작가가 그 인물 하나하나에 애정을 가지고 빚어내지 않았다면 담아내지 못했을 매력이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의 말에 이 문장이 정말 마음에 와 닿았다.


문장이 되기 전에 내게 찾아왔고 문장이 된 후에도 내게서 떠나지 않은 사람들이 열 편의 소설 안에 와글와글 모여 있다. 그들은 사소한 계기로 나에게 와서 내가 생각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내가 한 일이라고는 그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그저 매일 썼다 지우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뿐이었다. 나머지는 그들 스스로 알아서 했다. 고맙다. 내 문장이 그들의 삶을 따라가지 못해 미안하다. p. 311


저 문장 때문에, 나는 이제부터 이 작가를 좋아하기로 마음 먹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