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잔혹극]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활자 잔혹극
루스 렌들 지음, 이동윤 옮김 / 북스피어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의 매력은 첫 문장에 있다. ‘유니스 파치먼은 읽을 줄도 쓸 줄도 몰랐기 때문에 커버데일 일가를 죽였다.’ 이 문장은 많은 추리/스릴러 문학에 대한 파격이다. 이를 통해 이 소설은 살을 내어주고 뼈를 취했다. 범인이 누구인지 감추는 방식으로 기존 추리문학에서 주요한 호기심의 대상으로 삼았던 살인범의 정체를 버리고, 대신 왜 글을 읽고 쓸 줄 몰랐기에 사람을 죽일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동기를 흥미의 중심으로 잡아끈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동기 자체가 독자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독자가 의문을 품는 것은 ‘어떻게 문맹이 살인의 동기가 될 수 있는가’이다.


대부분의 사람이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사실은, 그렇지 않음을 상상하기가 어렵다. 글을 모른다는 것이 당사자에게 얼마나 고통스럽고 힘든 일일지 우리는 판단할 수가 없다. 작품 내에서도 말하듯 우리는 말하는 순간순간 모든 사람들이 글을 읽을 줄 앎을 전제한다. 글을 읽지 못한다는 것은 흔히 가정되는 상황이 아니다. 소경이라면 글을 읽을 수 없겠지만 정상적인 시력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글을 읽지 못한다는 것이 가당한 일인가. 우리는 쉽게 생각한다. 그럼 배우면 될 일 아닌가. 시력이 없는 사람도 점자를 배워 그들만의 문자를 습득하지 않는가. 하지만 이 마땅한 사고가 커버데일 일가를 죽음으로 몰았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루스 렌들은 등장인물들의 심리 변화를 따라가는 데 능란한 작가다. 등장인물이 겪는 고통은 우리가 흔히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성질이 아니기에 작가는 유니스 파치먼이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개연성을 마련하기 위해 고생했을 것이다. 이는 유니스와 동조하여 함께 범죄를 저지른 조앤 스미스가 어떻게 폭력적인 광기를 띠게 되었는가를 서술하면서도 드러난다. 그들이 점차 사회적으로 궁지에 몰리며 난폭해지는 과정을 적절한 에피소드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보여줄 줄 아는 작가의 능력이 없었다면 전혀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했을 것이다.


문맹이기에 사람을 죽일 수 있을까. 작가는 문장을 읽고 쓸 수 없으면 타인과 소통이 불가해지고 점차 스스로에게 고립되어가며 감정에 무감각해진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부분이 개인적으로는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긴 했다. 글자를 모르기에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조금 비약이 아닐까. 이러한 무신경함을 작가는 등장인물의 태생적 성격이 아닌 글자를 배우지 못했기에 나타난 후천적인 기질로 표현하고 있다. 글자를 모른다는 사실을 병적으로 숨기는 주인공의 행동 또한 분명하게 심리적 근거를 밝히고 있지 않아 아쉽다. 이 부분들이 커버데일 일가를 살해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인데도, 나는 이것을 논의의 여지 없이 당연한 사실로 서술하는 작가의 어투가 조금 거슬렸다.


흥미로운 것은 글을 읽지 못하는 유니스 파치먼의 대치점에 항상 책을 끼고 사는 자일즈 몬트를 두었다는 것이다. 그는 항상 책을 읽으며, 활자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덕분에 남들과 말을 섞는데 관심이 없고 스스로의 꿈과 가치에 탐닉한다. 이는 글을 전혀 읽지 못하는 유니스와 비슷한 부분이다.


사실 그래서 초기의 독서 방향과는 다르게 이 소설을 다 읽고 나면 문맹이 일으킬 수 있는 불행보다는 유니스 파치먼에게 가하는 커버데일 일가의 선의의 폭력에 시선이 집중된다. 책을 읽지 못하는 유니스나 책을 탐닉하는 자일즈나 대외적으로 무능하기고 스스로의 일-이를테면 유니스는 가사업무, 자일즈는 학문적 연구-에 뛰어난 기형적인 모양일 띠는건 마찬가지였으니 말이다. 커버데일 일가는 유니스가 책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그녀를 동정하며 글을 가르치려 한다. 40년이 넘도록 정상적인 생활을 영유해온 유니스의 삶을 불행한 것으로, 그릇된 것으로 치부하며 자신들의 잣대를 최선으로 여기고 그것을 선의의 이름으로 강요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상류층 인물들의 자기애적인 동정심이 유니스에게 극단적인 선택을 강요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때문에 이 소설이 아쉬웠던 것이다. 추리/스릴러 장르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흔히 작가들이 빠지기 쉬운 트릭의 신선함과 수수께끼의 참신성에의 집착을 버리고 사회적인 문제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작가의 당당함이 마음에 들었지만, 문맹이 가지는 사회적 트라우마를 좀 더 치열하게 밀어붙이지 못하고 추리소설에서 흔하게 등장하는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의 대치구조로 이야기 구조를 완결시킨 것 같아 안타까웠다. 소설 자체보단 장정일이 붙인 발문이 더 흥미로웠으니, 덕분에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를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