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K는 토요일7시 자명종 소리에 눈을 뜬다. 토요일은 일을 나가지 않는 날이고, 그러므로 자명종도 울릴 리가 없을 터인데, 누구도 맞춰놓지 않는 자명종 소리는 평소와 다를 주말을 암시하듯 K를 요란스럽게 깨웠다.
K는 이상함을 느낀다. 잘 때 항상 잠옷을 입고 자는 그는 벌거벗은 채였고, 씻고난 뒤에 바른 스킨은 평소 자신이 쓰던 것이 아니었다. 잠옷은 이상하게도 아내가 입고 있고, 딸은 자신의 자식이 아닌 것 같다. 개는 으르렁거리며 주인을 못 알아보다가 기어이 그의 발목을 물어 뜯고 만다. 분명히 자신의 가족이 분명했지만, 그럼에도 익숙지 않은 느낌은 표현해내지 못할 낯설음이었다.
때문에 K는 누군가가 자신을 모형의 세계에 가둬 두었다고 생각한다. 마치 트루먼쇼 처럼. 그의 가족은 몽땅 누군가에 의해 바꿔치기당한 배우이다. 그리고 이 모든 사건의 비밀은, 어젯 밤 술을 마신 후 날아가버린 몇 시간 사이에 존재할거라 확신한다. 이 의심은 처재의 결혼식에 참석하고, 친구 H를 만나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갈수록 더욱 짙어진다.
추론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 진행. 그러니까 사건의 근원을 찾아가는 방식의 서사 구조는 흡사 스릴러나, 추리소설 같다. 소설의 대부분을 할애하여 평소에 익숙했던 것들이 다르게 보이는 증상들을 늘어놓듯 서술하고 있음에도 이야기가 지루해지지 않고 흡입력을 가지는 까닭이다. 때문에 리뷰를 쓰면서도 말하는 것이 조심스럽다. 뭐, 그렇다고 해서 어마어마한 반전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 종교를 드나들며 긴 호흡의 대중소설을 써오던 최인호의 신작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그의 현대문학 복귀작이다. 그리고 그의 문학이 시작되었던 ‘타인의 방’으로 회귀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그는 복귀작으로 다시 ‘도시’라는 주제를 꺼내들었다. 그의 도시 안에서 K는 언제나 그 자리에 있을 것이라 생각하던 반복되는 일상의 이지러짐을 체험한다. 5일간의 회사 업무와, 주말을 앞둔 아내와의 ‘전야제’ 그리고 다시 맞는 월요일, 이 반복되는 삶을 계속해서 누려온 남자다. 하지만 이 삶은 어느 순간 그의 눈에 낯설게 비쳐진다.
내가 나임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나 스스로 증명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내가 나임을 알기 위해선 주위를 먼저 둘러봐야 한다. 나는 누군가의 남편으로서 증명되고, 아빠로서 증명되고, 혹은 선생이나 학생으로서 증명되며, 혹은 자식으로서 증명된다. 주변의 것들이 모두 낯설게 느껴지던 K는 결국엔 자신이 진정 자신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된다.
종교적 색채 또한 강하게 느껴지는 소설이다. 급기야는 K가 자신의 다른 모습인 K를 만나게 되는 과정에선, 원죄에 대한 성찰마저 느껴진다. 선악과를 먹었으므로 선과 악이 구분되어 완전체인 K가 아닌 K1과 K2, 두 인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는 발상이다. 이야기의 전반부 부터 흐르는 논조와, 중심을 흐르는 발상은 현대인이 맞닥뜨린 익숙함의 낯섦에 닿아 있지만, 이야기가 흐를 수록 가톨릭적 색이 묻어나오는 경향을 띈다.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몸을 팔아 낯선 남자와 키스하고 포옹하던 ‘세일러 문’이 사마리아 여인으로 현신하며, 그를 돕기 위해 나선 K1과 또 갑자기 나타난 K2의 결합으로 완전한 합일에 이르른다. 조금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결말이었다.
자신이 누구인지, 왜 낯선 이들의 사이에 껴 있는 것인지 찾기 위해 낯익은 도시를 방황하는 도시인 K의 모습이 훌륭히 묘사되어 환상적 색체의 소설임에도 흥미롭게 읽힐 수 있었던 것은 강점이었지만, 분명한 논조를 지니지 못한채 결국 종교에로 귀의한 듯한 모습에 과연 이 글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난감한 기분이 들었다. (사실 지금 생각해보면 종교적 접근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느낌마저 든다.) 현대문학으로 귀의한다는 작가의 서문, 그리고 최인호의 초기작 ‘타인의 방’의 도시성과 연결해서 보는 김연수 작가가 쓴 발문, 오정희 작가가 쓴 추천사에 기댄 해석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