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멜표류기 - 낯선 조선 땅에서 보낸 13년 20일의 기록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3
헨드릭 하멜 지음, 김태진 옮김 / 서해문집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로만 듣던 하멜 표류기가 이런 내용이었군요. 우선 조선에 대해 전혀 모르던 서양 사람이 그 푸른 눈으로 바라본 조선의 모습이 흥미롭습니다. 어떤 부분은 지금도 계속 우리가 갖고 있는 모습이기도 하기 때문에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게도 되네요. 외국인이 보면 이렇게 보이는구나 하니까요. 그리고 주석 중에 다른 서양인이 쓴 책을 인용한 것도 있는데, 한글을 무척 높게 평가한 게 기억에 남네요.

하멜 일행을 관리했던 지방 감독들 중에서 잘 대해 주었던 사람과 그렇지 않았던 사람 얘기가 나오는데, 그때마다 사정이 확 달라지는 걸 보니 참 안됐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사실 전에는 하멜 표류기에 대한 얘기를 들어도 그냥 서양 사람이 조선 시대에 왔다가 갔구나 하는 정도였는데, 직접 읽으니까 하멜 일행이 얼마나 가엾은 처지였던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내가 어느 날 갑자기, 종교도 다르고 생긴 것도 다르고 문화도 확 다른 곳에 떨어진다면 어떨까 생각하니 답이 확 나오더라고요.

그리고 옮긴 분은 하멜 일행이 조선에 있는 동안 결혼했을 여자와 자녀들에 대한 얘기는, 아마도 네덜란드에 남아 있던 가족 때문에 하멜이 글에서 쓰지 않았을 거라고 썼는데, 글쎄요 제가 보기엔 그 사람들 조선에서 결혼하지 않은 것 같은데요. 따로 주석에 결혼 얘기가 나오지 않은 걸로 봐서는 그에 대한 기록도 남지 않았단 뜻이겠죠. 하멜 일행이 도망쳐서 네덜란드로 가고 난 뒤 나중에 다시 조선에 남아 있던 남은 일행도 돌아올 수 있었는데, 그 중에는 조선에서 결혼해서 오지 않겠다고 한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 얘기도 그렇고, 조선에서 하멜 일행이 풍족하게 산 것도 아니고 푸른 눈에 코 큰 사람을 조선 사람이 그다지 좋게만 봤을 리도 없기 때문에, 조선에 있는 동안 그 사람들이 조선 여자와 결혼했을 것 같지는 않더라고요. 나라에서 일부러 결혼시켜주지도 않았으니까요.

계축일기에는 연대가 틀린 부분이 몇 군데 눈에 띄었는데, 이 책에서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사람 이름이 다르게 표기된 게 꽤 많이 보이네요. 네덜란드 이름이라서 헷갈려서 그런가. 갖고 있는 게 4쇄 인데 여태 지적한 사람이 없는 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축일기 - 인목대비 서궁에 갇히다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5
작자 미상, 조재현 옮김 / 서해문집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로만 읽을 책은 아니지만 재미있다는 걸 부정할 순 없습니다. 물론 슬프기도 하고 안 됐기도 하죠. 가장 안 된 건 역시 어린 나이에 잘 알지도 못하고 살해된 영창대군이고. 아무래도 그런 내용이다 보니 읽다 보면 내가 왜 이런 걸 읽고 있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역사는 재해석하는 것이라고 해서 20년 전만 해도 광해군 하면 폭군에 무능력한 왕이라고 했지만 지금은 중립외교에다 내치도 잘 한 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죠. 하지만 이 책은 인목대비 측 사람이 쓴 거니까 아무래도 개인 감정이 들어가 있습니다. (전에는 그냥 그쪽 나인이 쓴 거라고만 알았는데 이 책을 보니 인목대비가 썼다는 설도 있고 인목대비의 딸이자 영창대군의 누나인 공주가 썼다는 설도 있다더군요. 둘 다 글을 잘 썼다네요.) 그래서 광해군, 당시의 임금이 비웃음을 사기도 하고 아주 우스운 사람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안 보는 데서는 나랏님 욕도 한다니까요.

이 책은 곳곳에 인물이나 그 당시에 쓰던 물건에 주석을 달아두었는데, 특히 인물 연도 표시에서 틀린 부분이 몇 군데 눈에 띕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아쉬운 게 있는데요. 옛날 말을 읽기 쉬운 요샛말로 바꾼 건 좋은데 너무 많이 바꿨다는 거죠. 사극에서 '당근이지' 하는 말이 나오면 사람들이 황당해하잖아요. 그 정도는 아니지만, 말을 너무 현대식으로 바꿔서 옛날 조선 시대 분위기가 별로 나질 않습니다. 설명부분은 현대식으로 바꾸었어도 대화 부분은 옛날 말 그대로 두었으면 좋았을 텐데요. 그리고 호칭 부분도, 특히 중전, 임금, 대비를 부르는 호칭을, 지금 사람이 보기에 편한 식으로 바꾸어서 그것도 아쉽고요. 예를 들어, (여기서 그렇게 썼다는 건 아니지만요) 세자를 '동궁 아기씨'라고 하는 것과 '세자 마마'라고 하는 건 느낌이 많이 다르잖아요. 낯선 것이긴 해도 그 당시 부르던 식으로 두었으면, 책을 읽으면서 그런대로 호칭에 적응해 가고 그 시대를 느낄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것 때문에 별을 하나 깎고 싶긴 합니다)

그리고 정말 좋았던 건 우리나라에서 한글로 쓴 고서를 옮긴 것이니 당연한 것이겠지만, 번역한 것 같은 문장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외국어를 번역한 책뿐만 아니라 우리말로 직접 쓴 책에서도 번역투가 나오는 일이 많으니 말예요.

서해문집으로 나온 책 중에 이것 말고도 한중록은 있는데 아직 인현왕후전은 없어서, 인현왕후전도 내 주었으면 싶네요. 옛 말투를 잘 살려서 말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10권 세트 - 전10권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칼라인데 그림 속 말풍선에 들어있는 대사는 작가가 직접 손으로 써 넣은 거라서 그럼과 마찬가지로 인쇄가 되죠.

그런데 판화처럼 빨강, 노랑, 파랑 세 가지 인쇄가 겹쳐 검은 색을 만들 텐데 이게 조금씩 불일치해서 또렷하게 인쇄되지 않은 게 한두 쪽이 아닙니다. 그림에서 검은색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검은 선 옆으로 노랑이나 빨강이 삐죽 나온다든가 하거든요.

인쇄체로 되어 있는 검은 글씨는 깨끗하게 인쇄가 됐습니다. 하지만 그림이나 그림 속 글자는 또렷하지 않으니 눈이 피곤하죠. 그런 게 한두 권도 아니고 또 한두 쪽이 아니다보니 짜증도 나고요. 책이라면 또렷한 인쇄는 기본 아닌가?

1권에서는 ㅋㅋ이 보인다든가 농담 등에서 좀 무리한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2권부터는 ㅋㅋ도 보이지 않고 내용 구성도 안정된 것 같네요.

이런 것 빼고는 좋지요 뭐.

앞으로 20권까지 나올 거라는데 인쇄에는 좀 더 신경을 쓰셔야죠. 적어도 출판의 기본은 지켜야하지 않겠어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용 2008-07-17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휴머니스트 마케팅 책임자 이상용입니다. 우연히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인쇄가 잘못된 책이 있다면 책에 있는 주소로 책을 보내 주십시오. 착불로요. 교환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읽는데 불편하시면 안되죠.즐거운 하루 되세요.

sulfur 2008-07-18 10:10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댓글 고맙습니다.

열 권을 일일이 다 뒤져봐야 하는데. 그런데 그게 한두 권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라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었습니다. 특히 앞권 쪽보다는 뒷권 쪽에서 더 그랬던 것 같은데요. 맨 뒤에 후기가 나오는 부분은 아예 글씨가 파랗게 (남색 정도) 인쇄된 경우도 있었는데 일부러 파랗게 인쇄한 건 아닐 거 아녜요. 어떤 권은 후기를 보면 한 쪽은 글씨가 까만데 그 다음쪽은 파랗고 그렇거든요. 글씨 굵기도 다르죠. 푸르게 인쇄된 글씨는 까맣게 인쇄된 글씨보다 굵습니다.

그래서 솔직히 다른 책으로 바꾼다고 해서 나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까만색이 까만색으로 제대로 인쇄되게끔 다음 책 찍어낼 때 더 신경 써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 리고 이 책 읽다가 오탈자나 오류 난 거 몇 개 봤는데 적어두질 않아서. 지금 생각나는 건 세종 편에서 맨 앞 인물 설명에서 소헌왕후를 소현왕후라고 썼던 것 같고 또 문정왕후가 나오는 곳에서 (중종편 173쪽 - 찾아보고 왔습니다) 남동생을 오라비라고 썼고. 그리고 만화에선 장녹수가 예쁜 얼굴은 아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했는데 부록으로 온 인물사전에서는 미인이라고 써 있어서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었구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