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압에도 사람마다 개성이 있다.
연령과 함께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매우 자연적인 생리 현상이다. 지난날 일본의 의사가 혈압 진단의 기준으로 삼았던
‘연령+90‘의 범위 안이라면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 혈압에도 사람마다 개성이 있다. 키, 체격, 심장 크기에 따라 각양각책이다.
키 190 센티미터로 체구가 운동선수 같은 남성과 키 150센티미터로 체격이 아담한 여성은 온몸에 혈액을 내보내는 심장의 힘에 차이가 있으므로 당연히 혈압도 다르다. 하물며 30대남성과 80대 여성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런데도 ‘최고 혈압140 이상은 문제‘라고 뭉뚱그려 판단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 P67

+ 혈압 그 자체는 질환이 아니다

혈압이라는 수치는 우리의 몸에서 떼려야 뗄 수 없을뿐더러그 자체는 질환이 아니다. ‘혈압‘이란 ‘현재의 몸 상태‘라는 말이 가장 알맞은 설명이다. 인체의 필요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는 혈압을 약을 써서 강제로 내린다고 해서, 질병이 예방되거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의학적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고혈압인데 치료도 하지 않고 태평하게 지내다가 뇌경색으로 쓰러지기라도 하면 어쩌나 하고 우려하는 사람이 있을지도모른다. 하지만 이미 올라간 혈압을 어떡해서든 기준치까지끌어내리는 대처법이야말로 눈앞의 문제 해결에만 급급한 방식이 아닐까? 혈압이 올라간 것은 그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기때문인데 약으로 혈압을 내리는 대증요법을 쓴다면 원인도 모른 채 증상을 지워버리는 것이나 다름없다. 오히려 혈압약을 쓰는 쪽이 더 위험하다고 봐야 한다.

혈압이 높다는 것은 지금 당장 아무 일이 없더라도 언젠가 심장, 뇌, 혈관 등에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중요한 신호닝 가능성이 있는 만큼 무리하게 수치를 내려서는 안 된다. 원인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 P72

폐와 혈관에 작용해서체질을 바꾼다

경혈 지압은 일시적으로 상승한 혈압을 바로 낮출 수 있다.
하지만 경혈을 지압해도 큰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경혈을 통한 신경 자극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뜻인데,
이는 뇌가 신체 이상을 감지하지 못해서 혈압이 오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럴 때 원인은 폐와 혈관이다. 폐가 약해져심폐기능이 저하됐거나 운동 부족 때문에 근육이 뻣뻣해지고혈관 유연성이 떨어지면서 혈액순환이 나빠진 경우다. 폐와혈관 때문에 혈압이 올랐다면 경혈을 지압해 뇌가 개선 명령을 내리게 하는 식으로는 혈압을 떨어트리기 힘들다. - P138

+ 강압 스트레칭은 폐와 혈관에 작용한다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중심 펌프는 심장이다. 하지만 심장만으로는 몸속 구석구석에 혈액을 공급하기는 힘들다. 특히 심장에서 먼 손발까지 혈액을 내보내려면 심장이라는 작은펌프 하나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 이때는 주로 근육이 보조펌프가 되어 손발 끝까지 혈액을 보낸다. 그런데 또 하나의 중요한 보조 펌프가 페다.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폐가 충분히 신축하지 않으면 산소를 가득 머금은 혈액을 심장에서 내보낼 수가 없다.
그러니 고혈압의 근본 원인으로 폐기믕 저하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꼭 전하고 싶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솔론은 "인생이란 내일을 알 수 없는 것이기에 죽기 전까지는 행복했다고 말할 수 없다." 며 크로이소스왕을 ‘행복한 사람‘으로 꼽지 않은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이 있다‘는 것의 의미 : Freedom ]

내가 시간을 내 뜻대로 쓸 수 있다는 게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이다.

원하는 것을 원할 때,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할수 있는 능력은 가치를 매길 수 없을 만큼 귀한 것이다. 
- P140

[부의 정의 : Wealth is What You Don‘t See ]

우리는 ‘자산 부자(wealthy)‘와 ‘소비 부자( righ)‘의 차이를 신중하게 정의해야 한다(‘wealthy‘와 ‘rich‘의 구분이 우리말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여기서는 저자가 정의한 의미를 반영하여 ‘자산 부자와 소비 부자‘로 용어를 구분했다-옮긴이). 이 차이를 몰라서 돈과 관련해 형편없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수없이 많다.

소비 부자(rich)는 현재의 소득과 관련이 있다. 10만 달러짜리 차를 모는 사람은 소비 부자인 것이 거의 확실하다. 빛으로 차를구입했다 해도 어느 정도 소득이 있지 않으면 매달 할부를 갚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큰 집에 사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소비부자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들은 종종 자신을 알리려고 무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부wealth‘는 숨어 있다. 부는 쓰지 않은 소득이다. 부는 나중에 무언가를 사기 위해 아직 사용하지 않은 선택권이다.
부의 진정한 가치믄 언젠가 더 큰 부자가 되어 지굼보다 더 많은 것들을 살 수 있는 선택권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 - P164

내 시간을 내 뜻대로 쓸 수 없으면 불운이 던지는 대로 무엇이든 수용하는 수밖에 없다.

[한 번도 일어난 적 없는 일은 반드시 일어나게 마련이다.: Surprise]
p.201
분석의 실패가 아니다. 상상력의 실패다.
....
p.205
과거에 의존하면 미래를 바꾸어놓을 이례적인 사건을 놀칠 가능성이 크다.

p.297
진보는 너무 느리게 일어나서 알아채기 힘들지만
파괴는 너무 빠르게 일어나서 무시하기 어렵다.

p302
6개월간 주가가 40퍼센트 하락하면 온 미디어에 빨간불이 켜지고 사람들은 크게 동요한다.
하지만 6년간 140퍼센트가 오르면 아무도 눈치조차 채지 못한다.

이것이 비관주의의 늪이다. -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
당신은 투자에 있어 안전지향적인가, 위험선호형인가?
사람에 따라 왜 이런 차이가 있는가?

두 경제학자가 발견한 사실에 따르면 사람들의 투자 결정은 본인 세대의 경험, 특히 성인기 초기의 경험에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

" 투자자 각자의 위험 선호도는 가인의 경험에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능고, 교육도 아니었다.
순정히 언제, 어디서 태어났느냐 하는 우연에 좌우될 뿐이다 - P44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부자로 남진 않는다.
....
부자가되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은 부자로 남는 것이다.

바로 살아남는 일이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역전 시기의 금리 결정]
p161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중기금리까지는정책에 영향을 받는다. 
반면 장기금리는 시장의 힘에 더 좌우된다. 

우리는 앞으로 펼쳐질 정치적 맥락이 주요 요인이 되어 단기금리가 향후 수십 년 동안 상승할 인플레이션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억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새롭고 불편한 세상의 윤곽이 뚜렷이 드러나면서 장기금리는 현재 인플레이션율보다높게 상승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2019년) 이례적으로 평평한 수익률 곡선이 매우 가팔라질 것이다.
우리는 금리를 이렇게 전망한다. 단기 실질금리는 낮게 유지되고 예컨대 10년 장기 실질금리는 상승할 것이다. - P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