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최은미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10월
평점 :
시작은 여름의 더위였을 것이다. 그러니까 읽는 일도 재미없고 그것에 대해 쓰는 일이 즐겁지 않았던 시작 말이다. 더위에 나약한 나는 여름이 힘들었고 읽기에 필요한 집중은 떨어졌다. 그 시간은 길게 이어졌고 현재까지 이르렀다. 책을 읽다 발견하는 문장에 밑줄은커녕 옮겨 적는 일이 의미가 없었다. 가을 비슷한 계절이 오고 긴 연휴가 끝나고 11월이 되도록 그랬다. 책을 좋아하는데, 좋아하는 소설을 일고 뭐라고 써볼까 싶은 마음이 일어선 건 다행이다. 그래서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은 그런 의미에서 고마운 책이다.
대상 수상작인 최은미의 「김춘영」은 가장 나중에 읽었다. 다른 해였다면 책을 받고 가장 먼저 읽었을 텐데 올해는 황정은의 「문제없는, 하루」를 읽고 거꾸로 읽어나갔다. 여성 작가 7명의 단편을 읽는 일은 작가의 최근 생각과 마음을 읽는 일처럼 느껴졌다. 그들의 관심과 그들의 시선이 닿는 곳을 상상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12·3 비상계엄을 다룬 단편이 있을 거라고 예상했고 맞았다. 소설은 그런 것이니까. 일상을 보여주고 심연 깊은 곳의 무언가를 끄집어 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니까.
황정은의 「문제없는, 하루」와 최진영의 「돌아오는 밤」은 그런 맥락으로 읽었다. 두 소설의 주인공은 각자의 자리에서 하루하루 반복된 일상을 살아간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변한다고 한순간 바뀌는 일상은 거의 없으니까. 「문제없는, 하루」의 영인은 새로 구한 직장에 다니며 여동생 인범의 일상을 살핀다. 자신과는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것 같은 인범이 향하는 시선은 고통과 상처뿐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생각이 다르니 그럴 수 있다고 믿으면서도 인범과의 대화가 부담스럽다. 영인은 인범이 자신의 세상으로 들어오기를 바란다. 그러다 둘은 해 뜨는 걸 보러 가고 인범은 오래전 자신이 겪은 일을 들려준다. 의도하지 않았던 행동이 불러온 결과, 악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없는 무심결에 한 행동을 돌아보지 않는 멍청함에 대해. 영인과 인범이 터널에서 마주한 사고도 다르지 않았다. 세계를 지배하고 흔드는 악, 전쟁과 죽음의 시작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곳곳에서 벌어지는 학살과 폭력은 나와는 무관한 것일까. 우리가 괜찮다고 여기는 ‘문제없는’, 하루는 진정 가능한 일일까.
황정은의 「문제없는, 하루」가 질문과 의심을 던졌다면 최진영의 「돌아오는 밤」은 현실적으로 보여준다. 주인공 은빛은 사장의 부탁으로 사장 지인의 장례식에 참여하기 위해 영국에 갔다가 돌아오는 이야기다. 장례식장에서 전하게 될 애도의 말을 준비하면서 정작 친구 향기의 죽음으로 인한 애통한 마음은 나룰 사람이 없어 슬프다.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향기의 동생으로부터 향기가 자신에게 남긴 것을 받는다. 그리고 집으로 가면 되는데 그 밤이 12·3 이었다. 지하철은 끊기고 캐리어와 방전된 핸드폰을 손에 쥔 은빛 앞에 나타난 무리들. 은빛의 모든 것을 빼앗을 수 있는 존재다. 은빛에게 일어난 사고가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공포스러운가. 12·3 밤의 공포가 일상에서 사라지기까지 필요한 시간은 얼마일까. 없던 일이 될 수 없지만 일상은 회복되어야 하고 다시 시작해야 한다. 소설 속 향기가 은빛에게 남긴 편지처럼.
의미를 찾지 말고 일단 시작해. 다시 시작해. 다시 시작해. 다시 시작해. 그리고 다시 시작해. (「돌아오는 밤」, 266쪽)

다시 시작하는 일은 결심만으로 쉬운 일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막상 일상 속에서 무언가 다시 시작하는 일은 꽤나 어렵다. 김혜진의 「빈티지 엽서」의 주인공도 마찬가지다. 남편과 자전거 대리점을 운영하는 그녀에게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헬스장에서 만난 남자와 나누는 사소한 대화를 불륜으로 의심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떳떳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그 마음은 너무도 쓸쓸하다. 헬스장에서 만난 남자가 내민 빈티지 엽서의 내용을 해석하는 일이 빈축을 받을만한 것일까. 영어와 스페인어를 공부했던 과거와 자전거 대리점에서 고춧가루를 팔자는 남편에게 강력하게 반대하지 못하는 현재를 오가는 그녀가 내가 아는 누군가일지도 모른다는 슬픈 생각을 떨쳐낼 수 없다.
익숙한 일상을 지키는 건 그것을 포기하는 것보다 언제나 더 어려운 일이었다고. ( 「빈티지 엽서」, 180쪽)
그런 생각은 강화길의 「거푸집의 형태」와 김인숙의 「스페이스 섹스올로지」를 읽으면서도 그랬다. 「거푸집의 형태」 속 막내 이모와 똑닮은 조카의 긴밀한 관계가 한순간 무너지는 일, 「스페이스 섹스올로지」에선 전부였던 딸이 엄마가 외출하지 못하도록 신발을 버리고 머리를 깎기까지 모녀는 서로에게 얼마나 깊은 상처를 줬을까.
이처럼 가까운 가족 간에도 상처를 주는데 개인과 사회, 개인과 국가 사이에는 어떨까. 구술자 ‘김춘영’과 면담자인 ‘박정윤’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최은미의 「김춘영」은 역사적 사건을 암시한다. 마지막 면담을 위한 만남이라는 설정은 유일한 생존자이거나 고증을 위해 필요한 인물은 아닐까 짐작하게 된다. 알 수 없는 긴장감은 예상치 못한 폭설로 김춘영의 집에 고립되면서 여행객 부부와 대민지원을 나온 군인을 만나면서 커진다. 자신의 위치에서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 자신의 경험으로 타인을 짐작하고 판단하는 태도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게 만든다. 좋은 소설이다.
그에 반해 배수아의 「눈먼 탐정」은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다. 아니, 읽는 내내 힘들었다는 게 정확하다. 배수아의 소설이 언제나 그러하듯이. 예의 몽환적인 분위기와 무엇을 말하는지 가늠하기 어려웠다. 죽음 혹은 눈을 감고서야 볼 수 있는 어떤 이미지를 상상하면서도 그것은 배수아만이 그려낼 수 있는 이미지일 거라 생각했다. 그럼에도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나를 붙잡은 건 배수아의 문장이었다. 무기력하고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깜깜한 느낌으로 가득한 나의 일상을 향해 든든한 팔을 내주었다. 아프고 쓸쓸하며 슬픈 일상이 아름다운 소설로 만들어지는 놀라움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갑작스러운 혹은 갑작스러워 보이는 불행은, 다른 종류의 불행도 예외는 아니겠지만, 사실상 매일매일 우리 곁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흰 두부처럼 잘린 그것을 임의로 한 조각씩 나누어 가질 뿐이다. 그것을 삶이라고 부른다. (「눈먼 탐정」, 1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