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역사 - 침묵과 고립에 맞서 빼앗긴 몸을 되찾는 투쟁의 연대기
킴 닐슨 지음, 김승섭 옮김 / 동아시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으로 안전한 임금노동을 강조하는 연방정부 장애정책을 지지했다. 그들은 사회와 고용주의 태도를 바꾸는 게 아니라 개인을 바꾸고자 하는 의료적재활과 필요에 맞춘 자선 서비스를 반대했다. 또한 그들은 연방직업안정국Federal Security Administration 보다 노동부가 고용문제와 노동시장을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정치적 맥락에서, 노동운동가들과 장애활동가 조직은 신체장애인고용주간을 포함한 장애인과 관련된 연장정부 프로그램을 노동부로 가져오고자 했다. 하지만, 연방직업안정국이 직업재활사무소를 감독했다. 그곳엔 공식적인 일자리알선 프로그램이 없었고 상대적으로 알선 성공률도 낮았다. 직업재활 사무소는 장애가 심각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을 거절했다는 이유로 비판받았고, 일자리 알선 해당 여부를 판단하기위해 사용한 방대한 분량의 질문지 때문에("정신과 검사부터 성병 확인 그리고 인생사 검토까지")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활동이자선사업이라고 생각했다. 노동조합은 그 구성원들뿐 아니라 후원금과 로비를 통해 스트래챈과 미국신체장애인연합을지지했고, 노동부와 고참 활동가들도 그러했다. 사실, 그들은점차적으로 권리, 차별, 편견, 시민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해 임금노동이 권리이고 장애인의 삶을 보장해주는 열쇠라고 주장했다.
44 - P2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애의 역사 - 침묵과 고립에 맞서 빼앗긴 몸을 되찾는 투쟁의 연대기
킴 닐슨 지음, 김승섭 옮김 / 동아시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504조 연좌농성은 장애 인권 운동이 언론자유, 반전, 페미니즘, 인종해방운동과 교차하고 서로를 차용하던 방식을 보여준다. 장애 인권 운동의 많은 활동가들은 다른 영역에서 먼저 활동가가 된 이후, 장애차별과 억압이 자신이 운동을 시작한 영역에 속한 사회적 약자의 경우와 유사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키티 콘Kitty Cone 같은 지도자들의 조직력은 시위대가 교회나 유대교회당뿐 아니라 뇌성마비연합, 이스터실즈 같은 전통적인 장애조직으로부터 지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 P2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애의 역사 - 침묵과 고립에 맞서 빼앗긴 몸을 되찾는 투쟁의 연대기
킴 닐슨 지음, 김승섭 옮김 / 동아시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나 때때로 제504조는 충분치 않았다. 1986년 폴 밀러 Paul S. Miller가 하버드 로스쿨에서 거의 최고 성적을 받고 졸업했을 때, 40개가 넘는 로펌이 그를 고용하길 원했다. 하지만키가 137센티미터인 밀러와 인터뷰를 진행한 후, 로펌들은 마음을 바꿨다. 고용심사위원회의 한 명은 그에게 "우리 손님들이 당신을 본다면, 우리가 프릭쇼를 하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런 말을 하고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던 시절이었다. " 밀러는 미국 평등고용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 P2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애의 역사 - 침묵과 고립에 맞서 빼앗긴 몸을 되찾는 투쟁의 연대기
킴 닐슨 지음, 김승섭 옮김 / 동아시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언컨대 우리가 지지자들로부터 받은 가장 중요한 선물은 블랙팬서가 건물 안의 시위대에게 매일 한 번 제공한 따뜻한 식사였다. (…) 나는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들이 무조건 나의 적Enemy 이라고 배웠던 보스턴 출신의 백인 소녀였다.
하지만 나는 서로의 투쟁을 지지하기로 한 블랙팬서의 약속을이해하게 되었다. -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들은 "어글리 로Ugly Laws" 라고 불리는 법을 통과시켰다. 장애인은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 1867년 샌프란시스코는 "병에 걸
‘어글리 로는 실제 법 조항의이름이 아니라, 19세기 중후반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제정된, 이른바 흉한 외모를 가진사람이 공공장소에 나오는 것을 금지하던 법을 지칭하기 위해 1970년대 연구자들이 만들어낸 용어다.
렸거나, 신체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었거나,
몸이 훼손된 사람, 혹은 어떤 형태로든 신체가 기형이거나 보기 흉하거나 역겨운 존재"
들을 "도시의 거리, 고속도로, 주요 도로, 공공장소에서 추방했다. 시카고와 다른 많은 도시들도 비슷한 법을 채택했다. 포틀랜드는 "불구, 신체에 영구적 손상을 입은 사람, 신체가 훼손된 사람" 이 공공 장소에서 구걸하는 것을 금지했고, 시카고는1911년 "병들었거나, 불구이거나 또는 기형인 신체 부분이 노15출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주 법을 개정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