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성과 망친 '표절 대물림'

[번역, 이것이 문제다]

<6> 내서니얼 호손의 '주홍글자'
세밀한 심리묘사 오역·왜곡


미국문학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호손의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를 광복 후 처음 번역한 최재서는 “호손의 소설은 세밀한 심리묘사에 있어 세계 제1류이며, 영혼의 미묘한 동태를 추구함에 있어 실로 독보”라고 평하고 이런 호손의 “예술을 살릴 수 있을는지 참으로 아득하다”고 썼다.

미국 식민지시대 초기 젊은 목사 딤즈데일과 유부녀 헤스터 프린의 불륜의 사랑과 진실, 허위의식이 뒤섞인 미묘한 심리를 정교한 언어로 묘파한 이 작품이 번역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본 것이다. 광복 후 출간된 ‘주홍글자’의 수많은 판본 가운데 그의 번역이 가장 나은 것은 이런 감식안과 책임감 덕분이 아닐까.

검토한 70개 판본 가운데 추천할 만한 것은 최재서의 초역본(1953년)과 이장환의 역본(1961년) 정도이고, 39종이 표절본이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초창기 역자들의 성과를 1970년대 이후에 쏟아져 나온 역서들이 제대로 물려받지 못하고 오히려 개악한 점이다.

표절이 난무한 현상은 이런 현상과 동전의 양면이랄 수 있다. 어구와 표현을 약간씩 바꾼 위장 표절본을 다시 표절한 ‘표절의 표절’, 여러 판본을 짜깁기한 ‘잡종의 표절’까지 생겨났다.

오식이나 오역의 대물림이 표절본 뿐 아니라, 꽤 양호한 것으로 평가받는 판본들에서 빈번한 것도 심각한 문제다. 가령 김종운의 역본(1975년)은 최재서의 드문 오역 “이 세상 누구에 대해서나 진배없는 책임을 이 사람에 대해서는 지고 있다”를 그대로 답습했다. 이는 대략 “어느 누구에게도, 그 밖의 세상 전체에도 지지 않은 책임을 이 사람에게 지고 있다”의 뜻이다.

작품의 핵심부분에서는 사소한 실수가 치명적일 수 있다. 양병탁 역본(1973년)의 “헤스터의 표정에 나타난 대리석과 같은 냉정함은 환경 때문이라고 할 수 있었다.

즉 그녀의 생활이 정열과 감정이라는 것에서 사색에로 크게 옮겨지고 있었던 것이다”에서 ‘환경’은 ‘circumstance’의 역어인데, ‘주변환경’의 뜻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헤스터의 대리석 같이 차가운 인상은 상당 부분 그녀의 삶이 정열과 감정으로부터 생각으로 크게 전환한 사정 때문이라 할 수 있었다” 정도로 옮겨야 뜻이 명확해진다.

자의적인 해석을 덧붙임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왜곡한 경우도 있다. 특히 여주인공을 옹호하려는 역자의 경우 이런 실수가 잦다.

가령 “마음씨 고약한 거지 따위는…욕지거리를 퍼붓는 일도 있었지만 그녀는 못들은 척했다”(오국근)는 대목에서 “욕지거리를 퍼붓는 일도 있었지만”은 “조소를 보내기도 했다”(threw back a gibe) 정도이며, “그녀는 못들은 척 했다”라는 구절은 역자의 순전한 첨언이다. 대다수 역자들이 ‘주홍글씨’로 잘못 옮긴 제목과 생략한 서문 ‘세관’(The Custom-House)을 온전하게 되살려야 함도 두말할 나위 없다.

 

 

범우사에서 낸 이장환 역본

 

추천할만한 번역서

번역자 출판사(출판연도)

최재서 을유문화사(1953, 58)

이장환 범우사(1984, 85) 양문사(1961) 서문당(1972)

*두 책 모두 제목은 ‘주홍글씨’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출처: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역 이것이 문제다] <5>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미국 작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출간된 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청소년기의 고뇌를 그린 성장소설로 널리 읽히는 인기작이다.

샐린저는 작품을 출간한 후 독자들을 피해 은거해 버렸는데, 작가의 괴팍한 삶을 모델로 한 할리우드 영화도 만들어져 국내 상영까지 했다. 대중성이 있어서인지 현대작품치고는 우리말 번역도 일찌감치 1963년에 나왔다.

국내에서 ‘호밀밭의 파수꾼’ 번역본으로 확인된 것은 모두 30여 종이다. 이 중 내용이 같은 것을 빼면 검토 대상이 된 것은 17종. 그 가운데 8종은 표절본으로 기왕의 판본을 베끼거나 약간 윤문한 정도이다.

그런데 독자적 번역본 역시 작품의 대중성에도 불구하고 번역의 질이 그다지 높지 못했다. 비표절본 9종의 번역서 중에서 추천할 만한 번역서는 한 종도 없다. 추천할 정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읽을 만한 번역은 이덕형, 윤용성, 김욱동ㆍ염경숙 공역본 등 3종이다.

 

 

 

 

 

이덕형. 문예출판사/   윤용성. 문학사상사/  김욱동. 현암사

이덕형(문예출판사)과 윤용성(문학사상사)의 번역본은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한 흔적이 돋보인다. 원문의 어감을 살리기 위해 문장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자연스런 구어체 느낌을 살리려고 했다. 그러나 이 번역본들에서는 주인공의 내적 독백을 전하기 위해 작가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긴 문단이나 문장을 편한 대로 나누어 처리한 대목이 많았다.

특히 원문에서 작가가 주인공의 의식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일부러 중복해 표현한 부분을 하나로 통합해 번역하였다. 문장은 매끈해졌지만 결과적으로 원문에 충실하지 못한 결과가 되었다.

‘호밀밭의 파수꾼’은 자신의 생각을 길게 연결하면서 서술해 주인공의 어투를 전달하는 것이 번역의 정확성만큼이나 중요하다. 단지 가독성만을 높이기 위해 작품의 고유한 어조나 서술방식을 무시한 것은 결코 사소한 문제라고 할 수 없다.

김욱동과 염경숙의 공역본(현암사)은 원작의 속어, 비어 등을 살리려고 노력한 점이 특징이다. 때로 지나친 부분도 있지만 원작의 어감을 자연스럽게 전하려고 고심한 것 자체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번역본의 문제는 주인공이 구사하는 비속어가 주인공의 경어체 말투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원작에서 주인공이 전하는 독백투 이야기의 잠재적 청중은 어른이라기보다 동년배로 보는 게 무난하다. 따라서 어투도 경어체보다는 평어체로 처리하는 것이 무난하다.

세 번역본 모두 다른 번역본에서 잘못 옮긴 부분을 제대로 번역한 대목이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1장의 ‘The Cab I had was a real old one that smelled like someone'd just tossed his cookies in it’에서 ‘just tossed his cookies’는 ‘토한다’는 뜻이다. 이 속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잘못 옮긴 번역본들이 많다.

그러나 세 번역본들에서도 문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오역이 많이 발견된다. 10장의 나이트클럽 장면의 번역이 대표적인 경우다. ‘호밀밭의 파수꾼’ 번역을 보면서 좋은 번역은 단순히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뿐 아니라 원작의 문체, 어조, 문맥을 전하는 데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실감했다.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출처: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까다로운 '운문' 두루뭉술 옮겨


[번역, 이것이 문제다]

 <4>셰익스피어 '햄릿'
전공학자 번역본 비교적 충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 대사가 르네상스 시대 영국 최고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의 ‘햄릿’에 나온다는 건 웬만한 사람은 안다. 셰익스피어 ‘4대 비극’ 가운데 하나인 ‘햄릿’은 세계적인 비평의 대상이며 가장 자주 무대에 오르는 희곡이다. 그만큼 대중적 영향력이 큰 초특급 인기작이다.

‘햄릿’의 인기와 함께, 실제로 작품에 그렇게 그려졌는가 하는 문제와는 별도로 흔히 나약한 지식인을 가리키는 ‘햄릿형 인간’(이와 대비되는 유형이 ‘돈키호테형 인간’) 역시 친숙하다.

이 말은 숙부 클로디어스가 형을 독살하고 왕위를 찬탈한 뒤, 어머니 거르투르드와 결혼했다는 것을 알게 된 햄릿 왕자가 복수하고 죽는 과정에서 보여준 지적인 회의와 고뇌에 찬 모습을 각별히 부각한 것이다. 19세기 낭만주의 작품 해석에 힘입은 바 크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출간된 완역 단행본 ‘햄릿’은 1923년 현철의 ‘하믈레트’(박문서관 발행)이다. 해방 이후 설정식 최재서 역본을 비롯해 현재까지 59명이 160여 판본을 내놓았다. 이 중 101개 판본(번역자 35명)을 대상으로 중복출판, 번안소설의 경우를 뺀 나머지 31종을 검토한 결과 13종(42%)이 표절본으로 드러났다.

흥미로운 것은 최근 출간된 ‘대입 논술 대비용’ 역본이 거의 다 표절본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표절본을 제외한 18종 가운데 최재서 김재남 이경식 여석기 신정옥 최종철 김종환의 역본 등 추천할 만한 것이 10종으로 절반이 넘었다.

셰익스피어의 원문이 대부분 운문인데다 복잡미묘한 언어의 맛을 살려 자연스러운 우리말로 옮겨내기 어려워 전공 학자들이 아니라면 섣불리 번역을 시도할 수 없는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추천할 만한 역본 중에서도 1954년에 출간된 최재서의 ‘햄릿’은 단연 돋보인다. (이미지 없음)

번역이 충실하고 읽기 좋을 뿐 아니라, 중의어 같이 거의 번역 불가능한 언어유희까지 특별한 방법으로 살려내려고 노력했다.

‘햄릿’을 우리말로 옮길 때 충실한 번역이 되기 위해서는 대강 뜻만 전달해서는 곤란하다. 가령 1막 2장에서 아버지의 죽음에 고통스러워 하는 햄릿에게 어머니 거르투르드가 인간사에 흔한 죽음이 “어째서 네게는 유별나게 보이느냐?”고 묻자, 햄릿은 그렇게 ‘보이는(seems)’ 것이 아니라 ‘사실이 그러하며(is)’ 자신은 보이는 체하는 것을 모른다고 대답하는 부분이 나온다.

‘seems’와 ‘is’가 대비되는 햄릿의 이 대사는 ‘외양’과 ‘실재’의 차이라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중요한 주제이며 향후 햄릿의 행동방식과도 상관이 있는 의미심장한 대목이어서 특별히 세심한 번역이 필요하다.

하지만 여러 번역본들이 이런 대비를 제대로 살려내지 못하고 두루뭉술하게 대강 뜻만 옮겨놓았다. “그렇게 보이든 안 보이든, 그건 제가 알 바 아닙니다”라는 식으로 오역해 햄릿의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해주지도 못하고 있다.

독자들에게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면목을 드러내주려면 공연대본으로도 적절하고, 읽는 시로도 휼륭한 작품의 경지에 오를 수 있는 번역이 많이 나와야겠다.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출처: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역, 이것이 문제다] <3>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작가의 변화무쌍한 문체 못좇아가는 번역본 다수

‘젊은 예술가의 초상’은 아일랜드 출신 현대 소설가인 제임스 조이스가 유년기부터 대학을 졸업하고 유럽으로 떠나기까지 정신적 성장 과정을 다룬 자화상격인 소설이다. 주인공 스티븐 데덜러스가 작가로서 소명의식을 깨닫게 되는 것이 중심 주제이다.

조이스의 눈에 비친 20세기 초 아일랜드는 영국의 지배와 로마 가톨릭 종교 때문에 정신적으로 피폐한 나라였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정신을 옭아매는 세 개의 그물을 ‘민족의식’ ‘언어’ ‘종교’라며 이를 극복하겠다고 다짐한다. 내용도 이 세 그물을 극복해내는 과정이 중심이다.

따라서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번역할 때는 아일랜드 역사와 당시 식민지 아일랜드의 정치 상황, 자국어가 아닌 영어를 사용하면서 벌어지는 문제, 그리고 아일랜드 국교인 가톨릭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신부가 되는 대신 예술가를 성직으로 삼았던 조이스가 가톨릭 종교어를 문학어로 변형해 사용한 점도 지나쳐버릴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조이스 작품 번역의 가장 큰 난관은 그의 자유로운 문체, 섬세한 언어 구사를 어떻게 우리말로 전환하는가 하는 점이다.

국내에서 출간된 역서의 종류는 총 13종. 이중 표절본으로 보이는 3권을 제외하면 실제 번역은 10종이다. 초역은 1958년 동아출판사에서 나온 여석기 역서이며 가장 최근에는 2002년 민음사에서 새로 번역된 이상옥 역서이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번역은 국내 영문학 연구사와 거의 행보를 같이 하기 때문에 시대별로 달라지는 국어 용어나 표기법, 출판사의 조판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언어와 표기법을 현대식으로 바꿔 2002년에 출간된 이상옥 역서 개정판은 원전의 언어 뉘앙스, 리듬, 어조를 배려해 어휘 선택에 고심하며 섬세하게 한국어로 살려냈다. 아울러 각주에서 작품 이해에 필요한 지식뿐 아니라 어려운 문구를 자세히 설명했다.

이상옥/ 민음사

 

 

김종건 역본은 작가의 문체와 수사법을 우리말로 바꾸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영문학계에 이름난 조이스 전문가의 역서여서 각주가 정확하고 상세하다. 유령 역본 또한 원문에 대한 꼼꼼한 연구가 바탕이 된 학구적인 번역이며 각주도 정교하다. 그러나 이 역서의 진가는 가톨릭 종교 용어와 교회 용어를 그에 상응하는 한국어로 빠짐없이 바꾼 데 있다.

김종건/ 범우

 

 

나영균 번역의 특징은 여성적인 고아한 언어 구사이다. 서구 모더니즘에서 대단히 남성적인 작가로 인식돼온 조이스 작품을 곱고 단아한 언어로 표현해 편안한 느낌으로 조이스를 대할 수 있게 했다. 홍덕선 역서는 언어 구사가 가장 현대적이며 경쾌하고 발랄한 어조로 원문이 지닌 작품 분위기를 잘 연출해냈다. 각주도 상세하다.

 나영균. 젊은 예술가의 초상은 못 찾았음.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번역은 반세기에 걸쳐 다져진 만큼 원전에 대한 정확한 의미 파악과 가독성에서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시로 급변하는 조이스의 다채로운 문체를 그에 상응하는 문체로 완벽하게 옮기지 못한 점은 모든 번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한계이다. 또한 미숙한 번역의 경우 직역 어투, 부자연하거나 원어에 상응하지 않는 부정확한 역어 사용, 작품과 원문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주로 지적됐다.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출처: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性문제 등 미묘한 심리묘사…  불성실 번역에 통속극 전락


[번역, 이것이 문제다]

<2> 토머스 하디의 '테스'

어떤 학자는 고전(古典)을 “유명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라고 정의했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일리 있는 지적이다. 토머스 하디의 ‘테스’는 고전 치고는 대중성이 높은 책이다. 문학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소설의 내용을 대충은 알고 있을 것이다.

학창시절 읽고 감명 받은 독자가 상당할 것이고, 나스타샤 킨스키가 출연한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테스’를 떠올리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런데 혹시 순정하고 가련한 처녀 테스가 돈 많은 악한 알렉에게 정조를 빼앗기고, 진정 사랑했던 클레어와 결혼한 첫날 밤 순진하게 과거를 고백한 탓에 결혼이 파탄에 이르고 마침내 살인을 저지르는 통속극 쯤으로 기억하고 있지는 않은지?

사실 이 작품에서 알렉의 성격은 상당히 복잡하고 테스와 알렉의 관계도 일방적인 정조유린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이 ‘순결한 처녀’는 성 문제에 상당히 솔직한 모습을 보인다. 작가는 당대의 보수적 분위기에 반해서 이런 미묘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고심했고, 그 결과 이 작품은 여러 번 수정을 거쳐 지금의 형태로 출간됐다.

굳이 이 말을 하는 것은 ‘테스’의 번역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까다로운 대목들의 의미를 놓치는 경우 뜻하지 않게 통속극이 돼버리기 쉽다.

‘테스’는 1956년 한국출판사에서 맹후빈 역으로 ‘테스(순결한 여인)’가 나온 이후 지난해 7월까지 140여 곳에서 번역 출간됐다. 역자 수는 69명이다. 이중에서 수집 가능한 53종을 입수해 일일이 대조한 결과 40% 정도가 표절본으로 판명됐다.

원작을 대폭 축소한 다이제스트판도 40% 가까이 된다. 독자번역으로 판단된 역본은 전체 번역의 20%가 조금 넘는 12종으로 집계됐다.

표절의 원본이 된 번역본이 오역의 비중이 적지 않은데다, 표절본은 이것을 약간 수정하면서 베낀 수준이고, 이 수정된 표절본을 다시 표절한 경우도 있었다. 그 결과 ‘테스’는 번역본이 난립하고, 질 낮은 표절본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번역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됐다.

집중검토 대상이 된 12권 가운데 맹후빈 정병조 김보원 번역에 대해서만 언급하겠다. 맹후빈 역본은 초역임에도 불구하고 문장 구사가 깔끔하고 군더더기가 없어 읽기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꼼꼼히 검토해 보면 세부 정확도가 떨어지는 오역이 제법 발견된다. 그리고 50년대 번역인 탓에 옛날식 어법이 지금 독자에게는 낯설어 보일 수도 있다.

(이미지 없음)

정병조 역 ‘테스’는 여러 곳에서 출간됐다. 전반적으로 꼼꼼한 번역이라 당시 출간된 다른 번역본에 비해 상당히 안정감 있고 고른 수준을 보여준다. 줄거리를 이해하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나 상황을 심도 있게 전달해야 할 부분에서 오류가 보인다.

(이미지 없음)

가장 최근에 출간된 김보원 역 ‘테스’(서울대출판부)는 기존 출간본을 꼼꼼히 참조해 잘못된 부분을 수정했다. 특히 정확하고 세련된 우리말 구사로 의미가 분명하고 문장이 감칠 맛 난다.

(이미지 없음)

번역 평가를 하면서 좋은 번역은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노력과 실패를 자양분으로 삼는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다.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출처: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