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니체전집 2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이진우 옮김 / 책세상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칸트와 쇼펜하우어의 커다란 용기와 지혜

 

이론적 문화의 품 안에서 졸고 있는 불행이 서서히 현대인을 불안하게 만드는 동안, 현대인이 경험을 총동원하여 자신도 별로 믿지 않는 위험 방지 수단을 사용하는 동안, 그리고 그가 자기에게 돌아올 결과를 예감하기 시작하는 동안, 보편적 재능을 가진 위대한 인물들은 믿기지 않을 만큼 침착하게 인식의 한계와 제약을 성명하고 또 그럼으로써 보편타당성과 보편적 목적에 대한 학문의 권리 주장을 결정적으로 부인하기 위해 학문 자체의 무기를 사용할 줄 알고 있었다. 이를 증명함으로써 인과론에 이끌려 오만하게도 사물의 가장 내적인 본질을 규명할 수 있다고 말하는 망상이 망상으로서 인식되었다. 칸트쇼펜하우어의 커다란 용기와 지혜는 힘겨운 승리를 얻었다. 즉 논리의 본질 안에 내재한 낙천주의, 다시 말해 우리 문화의 토대인 낙천주의에 대해 승리한 것이다. 낙천주의는 확실해 보이는 영원한 진리에 의거하여 모든 세계 수수께끼를 인식하고 규명할 수 있다고 믿었고, 시간, 공간과 인과성을 보편타당한 절대 법칙으로 다루었다. 반면 칸트는 시간, 공간과 인과율의 목적은 단지 단순한 현상, 즉 마야의 작품을 유일한 최고의 실재로 승격시키고, 사물의 가장 내밀하고 진실한 본질을 현상으로 대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본질에 대한 진정한 인식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다시 말해 쇼펜하우어의 말에 따르면 꿈꾸는 자를 더 깊이 잠들게 만드는(《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제1권, 498쪽) 데 있다는 것을 밝혀낸다. 이런 인식과 더불어 내가 감히 비극적 문화라고 표현하는 문화가 시작된다. 이 문화의 중요한 특징은 최고의 목적으로 학문의 자리에 지혜가 들어서며, 지혜는 학문의 유혹적인 유인에 속지 않고 흔들림 없는 시선으로 세계의 전체상을 조명하고, 동정과 사랑을 통해 영원한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이해하려 한다는 것이다. 자라나는 다음 세대가 이처럼 대담한 시선으로, 괴물을 향해 영웅적으로 걸어가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완전히 "결연하게 살기 위해" 저 낙천주의의 나약한 교리에 들을 돌린 악룔 퇴치자의 대담한 용맹성과 당당한 발걸음을 상상해보자. 자기 학습을 통해 진지함과 공포를 익히는 이 문화의 비극적 인간이 새로운 예술, 즉 형이상학적 위로의 예술, 다시 말해 그에게 어울리는 헬레나로서의 비극을 열망하면서 파우스트처럼 다음과 같이 외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닌가?

 

 

나는 그래서는 안 되는가? 가장 커다란 동경의 힘으로

오직 하나뿐인 인물에 생명을 부여해서는?

 

 

- 『음악의 정신으로부터의 비극의 탄생』, 18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