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큐! 스타벅스
마이클 게이츠 길 지음, 이수정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처음 책을 받아들고 생각했다. '도대체 이 정체성 없고, 내용에 대해서 일말의 실마리도 없으며, 센스조차 없고, 스타벅스의 후원을 받아 출간을 한 듯 한 이 책 제목은 무엇인가' 원 제목도 <How Starbucks Saved My Life>이니 <땡큐! 스타벅스>라고 번역이 되었어도 사실 할 말은 없지만 책을 접한 순간 기막혀서 피식거리는건 어쩔 수 없다.

 50세를 넘겨 한 회사의 중역 자리에서 나름대로 성공한 평탄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한 순간, 그는 회사에서 소위 명퇴를 당했고, 본의아니게(본의아니게 라고는 할 수 없지만) 외도를 저지르다가 호호 할아버지 나이에 아이를 가졌고, 덕분에 부인과는 이혼했다. 뇌에는 종양이 생겨 귀도 잘 들을 수 없게 되고, 조만간 수술을 해야할지도 모르지만 그는 회사가 없어 의료보험이 없다. (놀랍지 않은가) 누구하나 의지할 수 없이 살아가고 더 이상 무엇하나 희망이 없고, 누구하나 도와주지 않는 순간이란 이런 순간이다. 이런 순간에 처한 한 남자에게 인생에 두번째 기회가 찾아온다. 사실 제목인 '땡큐! 스타벅스'가 그리 탐탁치 않지만 차마 뭐라 못하겠는건 그 때문이다. 한 남자에게 '땡큐!'라는 말로는 부족한 인생에 두번째 기회를 준 것이기 때문이다.

 <땡큐! 스타벅스>는 인생에 두번째 기회를 맞은 노인(노인이라는 말이 적당하지 않지만 다른 적당한 단어가 어렵다)이 스타벅스에서 일을 배워나가고 인생에 대해서 되새김질을 하는 과정이다. 잘 나가는 광고회사의 중역까지 올라 이전까지는 실패라는 단어를 모르고 아랫 사람들에게 고압적인 자세만을 강요하던 그가 스타벅스에서는 다른 방식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들은 서로를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나이든 노인이 스타벅스에서 초록 앞치마와 모자를 쓰고 일하는 것을 어색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커피를 좋아하는 그의 강점을 살려 그는 그곳에서 우수한(!)이 되었다. 그는 그렇게 하루하루 새롭게 살아가면서 깨닫는다. 지금이 인생에 더 없이 행복한 순간임을. 모든 것이 사라졌다고 생각한 순간 잊었다고 생각한 것을 그는 다시금 발견하고 새롭게 찾은 것이다.

 사실 <땡큐! 스타벅스>은 읽으면서 꽤나 놀라웠던 점은 주인공 스티븐의 놀라운 인생과정이다. 그는 적어도 영문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감격해 마지 않을 정도로 엄청난 20세기 문학가들과 줄줄이 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의 나이를 짐작하게 하지만 헤밍웨이부터 시작해서 카포티까지 이어지는 그의 문학가들과의 소소한 연들은 내 눈을 휘둥그레 뜨게 하는 것이었다. 진정 이 점은 부러웠다. 하지만 그 점 외에는 그다지 큰 감동이 없었고, 무엇보다 스타벅스의 마케팅인가 싶기도 하는 생각이 들어 씁쓸하기까지 했다. 스타벅스의 샷을 추가한 아메리카노를 단숨에 마시는 그런 기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1. 놀랍게도 광고나 난무하는 케이블 TV에서 하는 영화를 끝까지 보았다.
요즘은 극장에도 못하고 영화라는 매체 자체에 너무 오랜만에 노출되서 그런지 잘도 끈기있게 봤지 싶다.
덴젤 위싱턴이 등장하는 <데자뷰>, 딱히 눈에 띄는 인물은 없었지만 나쁘지 않았떤 <마인드 헌터>
(두 편 모두 발 킬머가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군...)

리뷰를 이번에는 한번 제대로 써보고 싶지만 데자뷰는 보는 동안 스토리를 정리하면서  
<시월애>와 <해리포터>를 보면서 시간과 과거미래에 대한 다소 정리가 되지 않는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었다.
하지만 영화 자체는 꽤 훌륭해서 이정도면 극장에서 봤어도 아깝지 않았겠다는 생각을 했다.

<마인드 헌터>는 FBI 프로파일러 훈련을 받기로 한 훈련생들이 섬에 고립되면서 생기는 일인데 
극장에서 봤다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집에서 밤 12시에 케이블 TV로 보기에는 나쁘지 않았다.
특히 여주인공이 젊은 시절 맥라이언을 자꾸만 떠올리게 할 정도로 흡사했다.

# 2 . 아직도 <세설>을 마지막까지 읽지 못하고 있다. 얼마 남지 않았는데 미우라 아야코의 <빙점>을
읽었을 때처럼 어떤 큰 사건이 터진다기 보다는 2~3년 정도의 시간을 가지고 네 자매의 일상과 사건과 사고를
들여다 보는 기분이 들어서 정말 읽는 내내 즐겁다. 왜 이제서야 이 책을 읽고 있는지 의심이 들 정도이다.

그리고보면 같은 소설을 읽더라도 난 스토리를 꽤나 중시하는 사람이지 싶다.
그야말로 이야기 자체를 좋아해서 어떤 테크닉이나 반전이나 혹은 스타일 보다도 이야기 자체에 혹하는
그런 면이 꽤 많은 듯 하다. 덕분에 칙릿(이름이 맞는지 모르겠꾼)에는 좀처럼 재미를 들이지 못하는가보다. 
이야기 자체가 사람을 끌어들이는 그런 사전적인 의미의 근원적인 소설이 재미있는 요즘이다.

# 3. 날씨는 왜 이리 따뜻한걸까...

# 4. 원래 노래를 그다지 즐기지 않지만 요즘은 정말 농담이 아닐 정도로 '요즘'노래에 무감각하다.
난 아직도 원더걸스 맴버 얼굴도 이름도 모르고, 그들의 노래도 제대로 모르고, 소녀시대도 구분하지 못하며
빅뱅의 맴버도 제대로 모른다. F4 이야기를 했다가 돌 날아오는 줄 알았다.(모르거든-_-;)

내 MP3에는 예전 내가 중고등학생일 때 들었던 노래들이 가득한데 그리고보면 그때도 그랬다.
내가 중고등학생일 떄 내가 만났던 어른들은 중고등학교 시절 노래를 흥얼거렸지 싶다.
난 그때면 '저 나이가 되면 저러지 말아야지..'라고 생각했지만 나이가 들고보니 같아진걸까나..
역시 그래서 사람은 비슷한 사람을 만나는지도 모르겠다.

아, 요즘 좋아하는 가수는 이문세와 신승훈.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샌프란시스코 하늘은 이렇단다. 
이렇게 맑은 하늘이라니... 

그야말로 하늘이 흐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회사 시험일! 
1년에 3번 정도 보는 이런 시험이란....


전 정말 회사에 들어오면 시험 같은건 안 볼 줄 알았어요.
내가 원해서 보는 자격증 같은걸 제외하면 정말 시험은 안 볼 줄 알았어요... OTL

참고로 범위는 채.권. T^T 



댓글(2)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회사에서 보는 시험이란
    from 삶에 대처하는 나의 자세 2009-09-23 23:35 
    일전에 회사에서 시험을 보다고 징징거리며 페이퍼를 쓴지가 얼마 되지도 않는데 벌써 다음 회사 시험이 돌아왔다. 무려 이틀 뒤이니 정말 대책이 없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보면 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다. 팀을 옮겼고 팀에서 이리저리 많은 일을 푸닥거리면서 처리했고 벌써 반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서 벌써 오늘은 추분이다. 그리고보니 오늘은 낮과 밤이 같은 날이군. 아무튼 다시 회사에서 시험을 보는데 이 시험이 참 애매한 시험이다. 평소
 
 
실비 2009-03-06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회사에서 셤을 보나요?
회사에서 공부 열심히하라고 재촉하는군요. ㅠ

하루 2009-03-06 2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분기별로 시험을 보는데 정말... OTL
거기에 오늘은 야근까지...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


Episode 1. 영화감독 박찬욱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808
Episode 2. 건축가 승효상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809
Episode 3. 대중음악가 이적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810
Episode 4. 클래식음악가 장한나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811
Episode 5. 사진작가 배병우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812
Episode 6. 소설가 신경숙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901
Episode 7. 디자이너 이영희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902
Episode 8. 경제학박사 공병호 http://book.naver.com/bookshelf/story.nhn?startmonth=200903

 
경제학자 공병호의 개인적인 의견과 그의 책에는 그다지 공감하지 않지만 (솔직히 말하면 절.대. 공감할 수 없지만)
적어도 이번에 그가 책에 대해 전하는 이야기는 분명 꽤 즐거웠다. 사실 가끔 그런 생각을 하곤 하는데 공병호씨의 정체는
도대체 뭔가...라는 그런 생각을 하곤 한다. 경제학자라고 하기에는 좀 아닌듯하고, 그렇다고 뭐라고 해야하나.... 

그가 추천한 책을 보면 경영과 관련된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그의 추천작을 보고 있자면 확실히 공병호라는
사람은 이런 책을 읽고 이런 생각을 하는 구나...라는걸 단번에 알 수 있을 정도이다.
문학서적으로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스탕달의 <적과 흑>이 인상적이고 그가 <적대적 공범자들>을 읽었다는데에
솔직히 깜짝 놀랐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무슨 생각을 그가 했을지 궁금하다. 지금까지 소개된 이들의 추천서적 중에서
자신의 색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준 책 선정이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9-03-03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박찬욱 감독의 서재가 가장 저랑 취향이 맞았어요. 하드웨어로는 장한나의 서재가 가장 부럽더군요.

저 역시 공병호의 책에 공감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의 추천작들은 의외더군요. 나쁘지 않았어요.
이영희의 서재와 그녀의 철학도 인상적이었고.. 뭐, 그렇게 말하자면, 장한나, 배병우교수님도 좋았지요.

좋은 기획인듯합니다. ^^ 쭉 - 이어졌으면 좋겠네요.

하루 2009-03-03 2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생각보다 책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고
이들은 이런 책을 읽는구나 하는 즐거운 호기심도 생기고 말이죠. :)
전 하드웨어로는 사실 신경숙의 서재가 가장 부러웠습니다. :)

쭉~ 앞으로도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저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