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란 무엇인가

 

 

 

 

이번 추석에는 무얼 만들까?

 

송편을 만들까 아니아니

산적을 만들까 아니아니

잡채를 만들까 아니아니

 

그럼?

 

재료준비 없는 간편요리

감자전 김치전 해물파전

블루베리 메이플 팬케익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5): 고흐의 밀밭

 

 

 

 

너른 국도에 낯선 소도시지만

고향의 나른한 맛이 반추된다

가을 들판에 벼가 노랗게 익어가고

축사에서는 누렁소 냄새가 구수하다

 

나날이 풍만해지던 내 젖가슴처럼

나날이 발그스레 무르익던 뺨처럼

나의 여름은 충분히 위대하였노라

이제는  가을을 맞이하며 -

 

고흐의 초록 밀밭으로  

 

 

*

 

 

사이프러스 나무가 있는 초록 밀밭(Green Wheat Field with Cypress). 1889

https://en.wikipedia.org/wiki/File:Vincent_van_Gogh_-_Green_Field_-_Google_Art_Project.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덕과 윤리

 

 

 

 

 

 

1984년 초가을, 전포초등학교 4학년 몇 반 김연수는 운동장에서 오백원 짜리 동전을 발견했다. 친구와 함께 집에 가는 길이었다. 잠시 고민하다가 교무실로 갔다. 

"선생님, 이거 주인 찾아주세요."

"어? 어, 그래."

선생님의 얼굴에 번진 웃음이 참 묘했다. 김연수는 자신을 기특한 저학년생처럼 취급하는 선생님이 이상했다. 선생님의 얼굴은 잊혔으나 그 웃음은 36년이 지금도 뇌리에 남아 있다. 참으로 귀한 은빛 학과 함께.    

 

 

*

 

 

 

 

 

 

 

 

 

 

 

 

 

국어 3-2, 정확히 국어활동 중 돈 찾아주는 만화를 보다가 생각났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 vie en rose:

시골의사, 프란츠 카프카의

 

 

 

 

1

 

"교수님, 저를 죽게 내버려두세요!"  

 

그러나 확대촬영한 자궁 경부는

암은커녕 이형도 없는 정상 이상의 정상이다

연분홍빛 살덩어리, 한복판의 작은 새까만 점은

아름답기까지 하다 -  하, 그럴 리가!

 

아니나 다를까, 몰랑몰랑 촉촉한 표면에 

깨알처럼 작은 새빨간 점이 드문드문 보인다

하, 이건 빛을 향해 대가리를 쳐든

물컹물컹 새빨간 구더기들이구나

 

"교수님, 저를 살게 내버려두세요!"

 

교수는 난처한 척 휘파람을 불며 역병 의사 가면을 벗고

나는 의젓한 척 진찰대 위에 벌려놓은 생식기를 수습한다

 

2

 

고급한 감색 바지 정장에 카멜색 모카신 신고 

올려다 본 가을은, 하늘 본연의 하늘색이었다

송구스러워라, 薔薇疹 감춘 다리는 어디로 가야 하나

 

버스를 탔다. 서서 갔다. 성욕을 느꼈다. 정녕, 그뿐. 

 

"개자식, 나의 장밋빛 볼에 이빨 자국을 내놓았어!"

 

버스 기사는 까마귀 가면이다

흑사병 버스는 멈추지 않는다

나는 계속 서서 간다 성욕은

외설스럽게 點을, 紅點을 간질이고

薔薇疹은 염치없이 깊은 암흑을 덮친다

아, 장밋빛 인생!

 

3

 

"교수님, 저를 구해주실 거죠?"

 

나의 양식화된 질문에

시골의사는  슬그머니 역병 교수 가면을 뒤집어쓰고 꽁무니를 뺐다. 

 

 

 

*

 

 

 

 

 

 

 

 

 

 

 

 

 

 

 

 

<시골의사> 무섭고 웃기고 황당한 소설이다. 이걸로 논문 안 써도 돼서 다행이다. 어제 암검사 받을 때 웃긴 악몽처럼 되살아났다. 간만에 다시 읽었는데, 새 번역이 좋았다. roseola,  la vie en rose. 시골의사의 하녀의 이름은 로자.  

 / "버스를 탔다. 서서 갔다." *** 학생 소설 원고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과의 이타주의에 대해 생각했다

 

 

 

 

 

사과는 참 착한 과일이야

 

강의실에서도 먹을 수 있어 

걸을 때도 버스 기다릴 때도

버스 안에서도 먹을 수 있어

 

아이 주먹만한 사과 한 알

모양도 냄새도 소리도 좋아 

껍질도 뼈대도 씨앗도 좋아 

 

아삭아삭 살 맛 나는 그 맛

공기와 치아가 시리기 전에 

더 많이 먹어야지 단맛 참맛

 

사과로부터 목구멍의 갈증과 배의 굶주림을 구원받고 

이기적인 나에게도 이타주의 따위는 껌, 아니, 사과야,

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