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알라딘에 입문한 것도 굿즈때문이었다만
오랜 기간 굿즈를 사보니 결국 이쁜 쓰레기가 되더라는...
이후 굿즈 선택없이 주문만 해왔었다.
최근 벽돌책이 아니더라도 두꺼운 책 읽다보면 손목이랑 어깨까지 아프길래 이참에 일부러 구매금액 맞춰 하나 추가했다.
이쁘긴 한데 내가 원하는 만큼 촤~악 펴지진 않네
안이쁘더라도 벽돌문진을 택했어야 하나...
그래도 선물같아 기분은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정한 관찰자(A Friendly Observer)
따뜻한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고 다정한 말을 건네지만, 아이의 할 일을 대신해주거나먼저 나서서 돕기보다는 스스로 해볼 시간과 기회를 주는 부모 유형.
아이에게 닥친 곤란한 상황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있지만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의 느린 노력과 긴 과정을 응원하며, 그런 아이가 도움을 요청한다면 최소한의 조언과 무한한 격려를 보낸다. 아이를 힘들게 하는 사람, 상황을 발견하더라도 그것들을 재빠르게 제거해주기보다는 관계를 풀어내는 경험, 상황을 해결하는 힘을 기르는 과정에 무게를 둔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검증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가 얼마나 자기 안에 튼튼하게 뿌리내리고 있는지 느낄 수 있다. 주워온 생각은 쭉정이처럼 허약해서 살이 붙기 힘든 반면 진짜 자기 것은 검증할수록 강해진다.
- P160

올라퍼 엘리아슨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앱스트랙트: 디자인의 미학>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여기서 눈을 제거하면 각도가 사라지며 무지개도 사라집니다. 옆에 있는 사람은 여러분이 보는 무지개를 못 봐요. 눈이 다른 위치에 있거든요. 이 공간은 당신의 존재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무지개의 존재보다 중요한 게 따로 있어요. ‘나의 두 눈을 믿고 세상과 호응하는 나의 능력을 신뢰하느냐가 문제죠." - P165

그리고 덧붙인 손글씨. "이런 표피적 인상 말고 너의 해석을 쓰렴." 그때 본 빨간 글씨를 지금껏 마음에 품고 있다. 해석은 느낌과 인상을 이해하는 작업이다.
‘멋지다‘가 인상이라면 이런 이유로 내가 멋지다고 느꼈다‘는 해석이다. 선배는 느낌과 인상을 땔감 삼아 지성을 발휘하라고 요청하고 있었다.
- P169

(...) "어떻게 하면 꿈을 찾을 수 있을까요?"도 마찬가지다. 이 질문은 ‘꿈은 찾는 것‘이라는 전제를 딛고 서 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꿈을 ‘찾는 것‘이 아니라 ‘빚는 것‘이라고 표현하면 안 되나? 그렇게 표현을 바꾸면 시야가 달라지고 당장 취할 수 있는 행동이 달라지는데?
-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서사
#의미부여

홈비디오로 기록한 무편집 영상을 영화라고 부르지 않듯 살아온 모든 순간을 누락 없이 축적한 데이터가 있다고 해도 그것이 삶이 될 순 없다. 중요한 건 자기서사고, 의미 부여다. 테드 창이 《숨》에서 쓴 아래 문장처럼.

기억이란 우리가 살아온 모든 순간을 공평하게 축적해놓은 결과가 아니라, 우리가 애써 선별한 순간들을 조합해 만들어낸 서사이다. 설령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사건들을 경험하더라도 우리가 똑같은 이야기를 만들어내지 않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 P17

삶은 언제나 예측 불가하고, 뒤죽박죽 난장판 같은 사건과 사실이 끊임없이 들이닥친다. 그것을 소음이라고 생각하면서 괴로워하는 선택지도 있고, 의미로 승화해서 다른 현실을 사는 선택지도 있다. 당신은 어느 쪽을 선택하며 살고 싶은가? 
- P18

나는 에디토리얼 씽킹을 이렇게 정의한다. ‘정보와 대상에서 의미와 메시지를 도출하고, 그것을 의도한 매체에 담아 설득력있게 전달하기 위해 편집하고 구조화하는 일련의 사고방식‘.
- P26

챗 GPT가 절대 대체하지 못할 영역은 뭘까? 답은 금세 나왔다. 챗 GPT는 어떤 사안에 대해 개인적 의견이나 입장을 갖지 못한다. 입장이 없기 때문에 주장하지 못하고, 설득하지 못한다. 앞으로도 생성형 AI들은 눈 깜짝할 사이에 수만 가지 단어와 이미지를 만들어낼 것이다. 하지만 그중에 무엇이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지, 무엇이 신선하고 매력적인지 의미 부여하고 주장하고 설득하는 일은 언제나 인간이 할 것이다. 에디토리얼 씽킹이 모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 P38

사전에는 훌륭한 시를 만들어낼 수 있는 오만 가지 단어들이 다실려 있지만, 그 안에는 단 한 편의 시도 들어 있지 않다.
-브루노 무나리, 판타지아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 전이라고 생각했는데 벌써 3년 전이네.

2022년 1월 1일,

알라딘 북플은 짤없이 나에게 50대라고 선언했다.

뭐가 그리 급하다고, 12시 땡! 하자마자 그렇게 말하냐고.

너무하잖아.

생일 지난지 얼마 되지도 않고 나이 한 살 더 먹었다고!

그래도 만 나이는 아직 아니라고, 나이 세는 법이 바뀌었으니 나는 아직 40대라고 우겼다.

좀 슬프게도.

이날, 내가 하도 기가 멕혀서 캡처해 놨었다.

(이러면 내 나이 뽀록나는건가? ㅋ)




또 언젠가, 토스로 파킹 통장을 만들면서 오픈뱅킹 신청하고 옮기는데 송금 실패래.

아니 왜?

그리고 은행에서 문자가 왔는데 헐... 또 슬프다.

만 50세는 금융위험군.

그래, 안전하자는 거니까 그렇다 치자.

하루 참으면 된다 이거야.




아니, 그런데 이번엔 한 금융사에서 날아온 안내문에 이런 게 뙇!

나보고 시니어래.

이건 쫌 너무하잖아?

시니어라는 소리 듣고 좋아할 50대가 몇이나 있을까나?

타겟 오류라 생각하자.


그래, 나 50대다.

은퇴자금을 걱정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아직 인생 반밖에 안 살았다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유행열반인 2025-01-24 15: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만38세일 때 짤 없이 40대로 분류하는 알라딘 북플에 법령 맞게 만나이로 해달라고 1:1건의도 넣었지만 무참하게 씹힌(내부 고려 후 반영 어쩌구 하더니) 기억이 납니다 ㅋㅋ이젠 찐 만40이 되어 지금 고쳐준대도 효용이 없네요 흑..

딸기홀릭 2025-01-24 16:09   좋아요 1 | URL
저만 그런게 아녔군요^^

hnine 2025-01-24 16: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그 50대의 마지막해를 맞았답니다.
그래서 아주 귀하게 올해를 보내고 싶어요. 60대가 되면 50대가 얼마나 그리울까요.

딸기홀릭 2025-01-24 16:09   좋아요 0 | URL
귀하다는 말씀에 갑자기 눈물이 왈칵 하네요
한해 한해 귀하게 보낼게요~

딸기홀릭 2025-01-24 16:12   좋아요 0 | URL
그래도!! 시니어는 아직 아니지 않아요?

봄날의 언어 2025-01-24 16: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시니어는 좀 아닙니다 명백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