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가 어렵다. 글이 눈 밖에 나가 있다. 그래도 도서관봉사활동은 다니는데... 

노랑색 표지의 봄날의 소설에 웬 '나뭇잎이 마르고', 주인공들의 서로 엇갈린 마음만 있다.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 는 지우고 싶은 기억들은 오히려 마음에 새겨져 여전히 괴롭히고 있다. '은의 세계'는 늘 곁에 있는 죽음이 나의 문제로 온다면 감당할 수 있을까. 대수롭지 않게 말하는 오빠의 죽음은 은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한 해 사이에, 아니 몇 달 사이에, 엄청 달라지신 아버지, 길을 헤매고, 엉뚱한 말씀을 하시고, 용돈의 행방을 모르시는, 그리하여, 당신이 갈 때가 가까웠다 밝히시며 준비하라고 자식들에게 일일이 전화주셨다. 90년이란 세월을 이제야 조금 실감했다. 아직 내게는 지금 내 나이보다 젊은 아버지로 계시는데, 타인의 부모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하면서 준비해야 한다느니 어쩌구 그러한 말들을 잘도 했는데... 며칠 사이 일어난 일이다.  

마음을 비집고 들어온 아버지 생각, 그 분의 삶을 생각하니, 불쌍하다... 아직도 죽음은 내게 별개다. 인식되기 전에 딴짓하고 멍때리고 애써 피한다... 아버지가 만들어 놓은 장례 매뉴얼, 박스를 열면 일목요연하게 적혀있다. 수의와 사진도 세트처럼 있다. 당신의 상태를 알려줘서 감사하니.   

132쪽, 함께 살아가던 사람들이 예고도 없이, 또는 천천히 노쇠하여,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목격할 때 설명할 수 없는 감정에 빠지게 되는데, (중략) 언젠가 이 세계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을 안다는 것. 죽음에 대해 상상한다는 것. 때로는 아주 먼 일처럼 여겨지지만 부지불식간에 우리에게 침투하는 그 불가해한 세계, (중략) 계속 무서워하면서 조금 익숙해질 때까지. 아마 죽음도 그런 종류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목사가 쓴 자성의 목소리다. 주변 목사들에게 권하고 싶은 글이다. 변질되고 변형된 교회 공동체, 리더의 잘못이 크다. 소명의식보다는 잿밥에 관심이 큰 게 분명하다. 마음이 자신의 콩밭에 가 있는 목사들이 많은 건 분명하다. 성경이라는 매뉴얼이 분명하게 있건만, 조금만 읽어봐도 아닌게 확실한데도, 목사도 성도도 암묵적으로 약속한 게 틀림없다. 잘못이니 회개니, 뭐니 하는 그러한 싫어하는 소리 하지 않기다... 귓가에 솔솔, 자장자장 달콤소리로 한 주간의 피로감을 해소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과 사물에 실낱같이 연결된 것들, 굵기와 내용이 어찌됐던 버려야 하는 데 -기준이 모호하지만,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정도로 기준을 정하지만- 버릴 수도 있고, 버리지 못하는 것도 있다. 외면하고 떠나고 잊고 죽음으로 사용기한이 끝났다 하여도 남겨져 있는 게 눈앞에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다 한꺼번에 내다 버릴 수도 있지만, 떡 하니 버티고 있는 사람은 어쩌지 못한다. 아니, 기억 속에서는 떠나지 않는 게, 떠나 보낼 수 없는 게 많다. 오감으로 느끼던 그 시간의 경험은 어딘 가에 박혀 있다. 불편한 관계와 상황은 끊어 버리거나 삭제하지만, 받은 내용물은 새겨져 그런 장면에 처하면 재현되면서 생채기를 또 낸다. 오히려 윤색과 각색을 하게 된다.  '버릴 수 없는 것들의 목록'은 애정의 정도에 따라 순서가 다르다. 누군가 쉽게 내뱉는 말도 어떤 이에게는 아주 중요하고 특별한 단어일 수 있다. 그러기에 동일한 시선이 없다. 너무 빨리 버려서 뿌리 내리지 못한 목록들이 마음 속에 떠다니는 중이다... 


*파호 : 부모님이 남겨준 땅에 대해 남매들의 보이지 않는 고군분투, 일단은 한명이 농사짓는 거로...

*물어본다 : 엄마가 가진 내적이고, 추상적인 것에 대한 딸의 관찰.

*달빛 : 작은 엄마에 대한 안 좋은 기억, 그러나 아니었음.

*12번 출구 : 혼자 있는 아버지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한다는데 자식이 웬 말.   

*버릴 수 없는 것들의 목록 : 도박에 빠진 남편이 요구하는 것을 들어주고 있는 그녀.

*하늘연못 속으로 : 아무리 참담한 일이 생겼더라도, 아무렇지 않게 곁에 있어야 할까? 있을 수 있을까? 그러나 끊어도 결국에 남아 있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자의 이름과 제목으로 끌린 책이다. 소설의 내용은 모든 맞는 말이다. 시험도 아닌데, 정답을 적은 것 같다. 사람의 감정, 기억, 관계를 정확히 풀어냈다. 10꼭지의 소설이 좀 더 나아가 뭐라도 말을 해야 할 때쯤 멈췄다. 그럼 그 이후는 독자의 몫인가. 몫이 너무 많아 당황했다. 별마당 도서관을 다녀왔다. 스타필드를 별마당으로, 후훗. 그러고 보면 명사에 부여되는 단어를 어떤 형태로,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의도하든 그렇지 않든, 값이 달라진다. 그래서 글을 쓸 때도, 말을 할 때도, 나름 고상하고 세련된?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 금방 드러날지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녀는 소소한 일상을 아주 작은 인간들이라 칭한 많은 그녀들과 적은 그들의 시, 소설, 사진, 그림등을 통해 말하는 것을 자신의 일상에 아주 잘게 버무려 말하고 있다. 

어쩌면 무의미할 정도로 이렇게 지내는 일상이 다반사일 수 있겠는데, 의지와는 무관하게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었다는 생각이 자꾸만 든다. 

그래서 작가처럼 작은 것을 모아 크게도 만들어 보고,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더 나눠보기도 한다.

잊었던 기억들이 불쑥 떠올라 지금 어찌할 수 없음에서 애써 마음을 다스린다. 아직도 남아있는 뚜렷한 감정들이 애꿎은 이에게로 드러나지 않도록 조심한다. 

작다고는 하지만 일상은 아주 크게 맞물려 돌아가고 있음을 알고 있다.

이렇게도 글을 쓰고 이렇게도 책을 내는구나...

Let's march in rainy Marc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