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여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편의 단편 중 표제작인 「회색여인」 을 앉은 자리에서 금방 읽어버렸다. 흡인력이 대단한 소설이다.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시즌1의 기획 의도인 <여성과 공포> 는 이야기 내내 기저에 깔린다. 나는 「회색여인」 에서는 결혼에 대한 본능적 두려움에서부터 동화 '푸른 수염' 이 슬쩍 떠오르는 주인공의 남편은 '푸른 수염과 여성 살해' 에 대한 공포를 추가한다.  





회색여인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 이리나 옮김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 002 

휴머니스트 



중세의 고딕 양식 건축물이 주는 음산한 분위기가 연상된다는 의미로 붙여진 '고딕소설' 이라는 명칭은 공포 소설과 로맨스의 요소가 결합된 장르로, 현대 호러 소설의 시조로 볼 수 있는 장르문학이다. 오늘날에는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어 섬뜩하고 무시무시한 인간의 이상 심리를 다룬 소설까지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위키발췌 ) 


「회색여인」 또한 고딕소설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 고딕 장르를 엘리자베스 개르켈은 자신만의 스타일로 변용했다. 작가에 대한 호기심이 커진다. 


엘리자베스 개르켈(Elizabeth Gaskell)




Elizabeth Gaskell, 좌로부터 1832, 1851. 1860



영국 런던에서 목사의 딸로 태어났으나,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너츠퍼드의 이모 집에서 성장한 그녀는 젠트리 계층의 여성에게 주어졌던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으나 아버지와 이모의 권장으로 독서와 글쓰기를 즐겼다. 1832년 유니테리언 목사인 윌리엄 개스켈과 결혼하여 맨체스터에 정착한 뒤 남편을 도와 빈민구제 등의 사회사업에 힘쓰고 어머니로서의 삶에 충실하다가, 삼십대 후반에 어린 아들을 잃은 뒤 극심한 슬픔을 잊기 위해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다. 


이때 탄생한 작품이 빈민의 비참한 생활과 노동자의 참상을 그린 장편 『메리 바턴』(1848)이다. 이 작품은 노동자 문제에 대한 참신한 접근으로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목사였던 그녀의 남편은 자선 단체를 운영하며 빈민층을 교육했고, 그들 부부는 찰스 디킨스, 존 러스킨, 샬럿 브론테 등 당대 작가, 저널리스트, 사회개혁자들과 교류했다.


적극적인 인도주의자였던 개스켈은 찰스 디킨스의 잡지 [하우스홀드 워즈]에 연재한 『남과 북』에서 고용주와 노동자들, 기득권자와 소외된 자들이 사회적 화해를 이루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으며 사회소설가로서 입지를 확실히 했다.  『남과 북』 은 사회문제를 다룬 오만과 편견이란 평가를 받기도 하는데, BBC 에서 2004년에 제작한 리처드 아미티지 주연의 미니시리즈 또한 볼만하다. 현재 왓챠에서 방영중이다. 




샬럿 브론테와 친분을 쌓고 평생지기 친구가 되었으며, 전기 『샬럿 브론테의 생애(Life of Charlottë Bronte)』를 쓰기도 했다.이 작품은 뛰어난 문학작품인 동시에 가치 있는 전기기록이다. 인간의 선의와 종교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으면서 19세기의 사회문제와 당대의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낸 개스켈은 만년까지 『실비아의 연인들』『사촌 필리스』 등의 장편소설과 수십 편에 달하는 중·단편을 발표했다. 영국 빅토리아 시대 크랜포드 시골 주민들의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엿볼 수 있는 이야기인  『크랜포드』 또한 BBC 드라마로 제작되었는데 록키로 유명한 통 히들스턴이 나온다. 



 



1865년 『아내와 딸들』 완성을 앞두고 갑자기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미완성 유고는 1866년에 출간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운데이션의 서막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김옥수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적령기만 되면 머리털을 통째로 뽑아버리는 마이코겐의 풍습이 나온다. 탈모를 통해서 자신이 어른이 되었다는 사실을 선포하고, 이를 통해 어른들은 자신의 사회적 책임과 동족애를 느낀다고 한다. 셀던과 도스는 결국 대머리 분장을 써야만 했다. 탈모. 라고 표현되기에 우스꽝스러운 영화 속 외계인을 상상했는데 다시 생각해서 삭발을 하는 스님들을 떠올리면 그다지 위화감이 들지는 않는다. 다만 남의 털(!)에 손을 대는 것을 끔찍해하는 장면은 웃음이 나긴 한다. 



파운데이션의 서막 

Prelude to Foundation

아이작 아시모프( Isaac Asimov )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황금가지 



셀던과 도스의 대화에서 표현되는 마이코겐은 단조롭고 따분한 곳이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산다고 말하는 그들은 평등한 사회에서 동일한 재화를 향유한다고 설명한다. 얼핏 들으면 이상적인 사회처럼 들린다. 농업공동체인 마이코겐 사람들은 제국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이웃 구역 사람들이 아무리 보기 싫어해도 신경 쓰지 않고 떳떳하게 괴상한 관습을 유지해간다고 서술된다. 또한 주변에 압도적으로 많은 소위 이방인들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오래된 물건을 쓰고 이상한 전통을 유지함으로써 이방인들이 자신들의 구역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그리고 무엇보다 여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곳이다. 도스는 이 곳이 '여자' 라는 말을 마치 '내 집'이나 '내 옷'처럼 소유물같이 사용하는 곳이라며 분통을 터뜨린다. 문득 여성인권이 약한 중동이나 북아프리카 지역이 떠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운데이션의 서막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김옥수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전한 곳으로 몸을 숨기기 위해 스트릴링 대학에 도착한 해리 셀던은 도스 베나빌리 박사를 만난다. 헬리콘 행성에서 온 해리와 시너 행성에서 온 도스 베나빌리는 서로 호감을 품고, 영향을 주고 받는다.


셀던은 심리역사학을 실용적으로 만들기 위해 시도해 보겠다고 휴민에게 약속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성적인 약속이었을 뿐 열정이 동반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심리역사학을 실용적인 학문으로 만들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아마 도스 베나빌리에게 영향을 받아 그런지도 몰랐다. 


- p118





파운데이션의 서막 

Prelude to Foundation

아이작 아시모프( Isaac Asimov )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황금가지 



도스 베나빌리는 해리 셀던을 계속 돕는다. 그녀의 외모에 대한 묘사가 세밀하다. '머리칼은 윤기가 없으나 붉은 빛을 띤 금발을 짧게 잘라 파마를 하고, 얼굴은 매우 아름답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친근하고 귀여운 맛이 있었다. 특히 약간 우스꽝스럽게 튀어나온 커다란 입술이 굉장히 귀여웠다. 게다가 날씬하고 탄탄한 몸매에 앳되어 보이는 모습을 하고 있었다.'(p105) 라고 하니 말이다. 아무래도 나중에 해리와 러브라인을 타게 되는 인물이 아닐까 추측도 해보는 중. 



도스 베나빌리 외에도 계속 등장하는 휴민이라는 남자의 정체가 점점 궁금해진다. 도스 베나빌리의 말에 따르면 "사람을 평가하는 누이 대단한", 놀라운 능력의 소유자라고 한다. 이 인물이 왜 해리 셀던을 돕는 것일지 계속 추측해보며 이야기를 따라가보게 된다. 



대학에서도 해리에게 위험해 보이는 일(이른바 지붕위 사건! )이 일어난다. 해리의 음모론 망상인지 실제의 위협인지는 알 수 없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다시 위치를 옮기기로 한다. 마이코겐이라는 곳으로 인구가 200만 정도밖에 안되는 조그만 구역이다. 안전과 더불어 은신하면서 심리역사학을 적용해보기 좋은 곳이라는 휴민의 설명이 이어진다. 어떤 곳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운데이션의 서막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김옥수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운데이션 시리즈 6권, 「파운데이션의 서막」 은 시리즈를 관통하는 심리역사학자인 해리 셀던의 모험을 다룬다.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가 4,5,6 편이 먼저 나온 후 프리퀄인 1,2,3 편이 나온 것처럼, 「파운데이션의 서막」 은 파운데이션 시리즈의 프리퀄이라고 보면 된다. 연대기 순으로 보면 가장 첫 시대인 셈이다. 




파운데이션의 서막 

Prelude to Foundation

아이작 아시모프( Isaac Asimov )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6

황금가지 



심리역사학을 발표하면서 제국의 클레온1세와 총리 에토 데머즐의 주목을 받게 된 해리 셀던은 그와 동시에 위협도 받게 된다. 위험에 빠진 해리 셀던을 체터 휴민이라는 의문의 남자가 도와주는데, 그의 도움으로 몸을 숨긴 대학에서 도스 베나빌리라는 여성을 만난다. 소설 초반에서 묘사되는 젊은 해리 셀던의 모습은 '위대한' 학자의 모습이라기 보다는 아직 경험이 덜 쌓인 어리숙한 이로 느껴져서 새로운 느낌을 준다. 사건이 벌어지는 내내 '쓸데없이 논문을 발표해서 원하지 않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라고 후회하는 것 또한 신선하다. 이 젊은 학자가 어떻게 위대한 학자로 거듭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운데이션과 지구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5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김옥수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레비스 등은 새로운 지구에 도착한다. 그러나 그곳도 찾고 있던 지구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위험에 빠진다. 실망한 그들은 다시 그곳을 떠나 달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다닐이라는 2만살의 로봇을 만난다. 


새로운 지구는 그럴 듯 했지만 결국 낙원은 아니었어요. 그들이 우리를 처음 맞을 때 베풀었던 친절은 우리 중 한 사람을 쉽게 바이러스에 감염시키기 위해서 우리를 방심하도록 만든 것이었고, 그다음에 이어진 이런저런 축제들은 어선들이 돌아올 때까지 우리를 그곳에 붙들어 두기 위한 수작이었던 것이 확실해요. 그때가 되면 바이러스들이 활동을 개시하게 될 테니까요. 팰롬의 음악만 아니었다면 그들의 계획은 예정대로 들어맞았을 겁니다.


 -p592





파운데이션과 지구

Foundation and Earth

아이작 아시모프( Isaac Asimov ) 

파운데이션 시리즈 Foundation Series 5 

황금가지



파운데이션 시리즈 5권의 서문에서 작가가 직접 이야기한 것 처럼 원래 클래식 3권으로 맺을 예정이었던 파운데이션 시리즈는 독자의 요청에 의해 4권과 5권이 나오게 된다. 4권과 5권 사이에 아이작 아시모프는 「로봇」 시리즈 두 권을 쓰게 되는데 그 영향인지 이번 5권에서는 해당 세계관과 이어지는 내용들이 많이 나온다. 본문에 언급되는 로봇공학 3원칙 같은 것이 그런 예다. 


로봇공학 3원칙


제1조 '로봇은 인간에게 위해를 가해서는 안된다. 또는 위험을 방관함으로써 인간에게 위해를 끼쳐서도 안된다'

제2조 '제1조와 상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로봇은 인간들이 내린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제3조 '제1조, 제2조에 저촉되지 않는 한 로봇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스스로를 방어해야 한다'


(...)


그리고 0조.

'로봇은 전 인류에게 위해를 가해서는 안 되며 또한 위험을 간과함으로써 인류에게 위험을 끼쳐서도 안된다'


- p653




사실 '로봇(robot)' 이란 단어는 체코의 작가 카렐 차페크(체코어: Karel Čapek) 가 1920년에 발표된 희곡 R.U.R.(Rossum's Universal Robots)를 통해 처음 선보였다. 실제로 이 단어를 처음 생각해 낸 사람은 카렐 차페크의 형인 요세프 차페크(Josef Čapek) 다. 위키에 따르면 로봇(robot)이라는 말은 단어 자체로 '노예', 비유적으로 '고된 일'을 뜻하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로보타(robota)에서 온 말이다. 이 단어의 어원은 고교회 슬로바키아어 라보타(rabota →노예 상태, 현대 러시아어로 '노동')이며, 이는 인도-유럽어족 어원 orbh-에서 유래하였다. 아르바이트(독일어: Arbeit →일, 노동)와 같은 어원이다. 사실 이렇게 가장 최초로 등장한 로봇은 「R.U.R」에서 인간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킨다. 


「파운데이션과 지구」 에서 다닐은 0조에 대해 말하면서 "인간이란 구체적인 대상입니다. 하지만 인류는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다루겠습니까?"( p655) 라고 말한다. 그가 이어 밝히는 이야기들은 독자들의 허를 다시한번 찌른다. ( 진정한 흑막(?)이 다닐이었던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