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해, 일본의 쓰나미를 tv에서 처음 봤을 때, 놀라움에 앞선 눈으로 보고도 이해할 수 없어 의아했던 것은 바로 그 ‘시커먼 덩어리’들 자체였다. 끈적끈적한 검은 그 실체는 눈으로 보고도 믿기 어려웠고, 입을 벌린 채, 그 참상, 그 비극을 막연하게 바라보았다. tv 영상 속, 그 불가사의한 이미지가 바다라는 사실을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했다. 그것은 우리가 알던, 때로 그리워하던 바다의 푸른빛이 아니었다. 바다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 전부인 냥, 착각 속에 살아왔다는 사실이 지난 해 쓰나미가 몰고 온 첫 번째 충격이었다. 그 심연의 바다 속의 제 빛깔은 상상 조차 못했던 전혀 다른 빛으로 나는 그 심연의 실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 또한 마찬가지이리라. 아니 우리는 그 심연의 존재 자체를 망각하였다. 아닌 자각한 적이 있기는 할까? 그래. 설사 알고 있다면? 그렇다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그 깊은 심연을 어떻게 넘나들 수 있을까? 심연을 건너 타인에게 오롯이 가닿을 수 있는 마법의 날개가 있다면? 그 희망은 타인을 그리고 자신을 평안하게 할 수 있을까? 그런데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을 읽으면서 나는 ‘그렇다’라고 대답을 해야 한다. 일시적이나마. 마법의 날개가 내 등에. 오늘 앞뒤 정황과 그 사람의 성향에 대한 이해에 앞서, 그저 어떤 문자에 노발대발 화를 낼 뻔했다. 천만 다행이도, 나는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을 들고 있었고, 그래서 그의 마음과 상황을 헤아리고, 마음속의 분란을 잠재울 수 있었다. 그렇듯 사람과 사람 사이, 그 관계 속에서 수많은 갈등과 오해는 사람 사이의 심연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저 심연보다는 드러나는 일부의 외양이 모든 것인 듯 우리는 쉽고 편리하게 많은 것들을 합리화하기 바쁘다.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것, 그 감각의 예리함에 앞서 그저 우리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으로 왜곡한다. 동시에 타인에게는 더욱 매서운 잣대로 제단할 뿐이다. 그러나 그 심연의 존재, 그 심연 속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날카로움의 칼끝이 나를 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온 피부로 느끼는 시간이었다. 또한 가슴 먹먹한 이야기로 나는 평안을 얻을 수 있었다.

 

여고생 ‘정지은’은 미혼모로 한 아이를 낳았고, 그리고 그녀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가 수면 위에 떠 있는 어떤 일부의 사실이다. 그리고 한 여선생은 ‘정지은은 아빠가 자살하는 걸 무력하게 지켜봤지요’라고 증언한다. 하지만 그 날 그녀는 ‘난 최선을 다할 거야’를 외치며 어둠을 달리고 있었다. “거기 고통과 슬픔이 있었다면, 그것은 그 아이의 고통과 슬픔이었다. 우리의 것이 될 수 없는 고통과 슬픔은 고통스럽지 않고, 슬프지도 않다. 우리와 그 아이의 사이에 심연이 있고, 고통과 슬픔은 온전하게 그 심연을 건너오지 못했다. 심연을 건너와 우리에게 닿는 건 불편함뿐이었다.” (286) 그리고 많은 우리들은 늘 그렇게 타인의 고통과 슬픔에 외면하고 자신의 불편함만을 자각할 뿐이다. 하지만 실타래처럼 엉키고설킨 관계의 틈 속에서 과연 타인만의 고통과 슬픔일까? 그렇게 타인만의 고통과 슬픔인 채로 20여년의 시간 속에서 그들은 행복했을까? 그리고 우리는 행복할까?

 

전체적으로 보면, 이 책의 전반적인 분위기 역시 푸른빛이다. 안개가 자욱하게 깔린 도시의 회색빛이 감도는 푸른빛, 그런데 점점 마음은 평온하고 차분하게 가라앉는다. 우울의 깊은 수렁이 아닌 차분한 마음으로 이야기 속 여정에 빨려 들어간다. 진실에 가까이 다가가고픈 호기심에 앞서, 마음 끝을 간질이는 표현들에 설레고, 여러 인물들이 빚어내는 진실의 다른 빛들에 가슴을 쓸어 내렸다.

 

내가 작가 김연수의 알게 된 지는 조금 오래되었다. 하지만 그의 이야기를 만나 본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첫 느낌은 모호한 것이었다. 뭔가 매력적이라면서도 낯설고 애매했다. 그리고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이란 신간을 접하면서도 ‘음~ 나중에 읽어야지’라고 생각했을 뿐이다. 그런데 양 갈래머리를 한 소녀의 뒷모습이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그래도 거기까지였다. 그런데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너를 생각하는 것은 나의 일이었다.’라는 문구에 마음이 조바심을 쳤다. ‘너를 생각하는 것은 나의 일이었다.’ 이 가을의 찬바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살랑살랑 흔들리며 따끈따끈 아련한 연애소설을 탐하는 마음이었다.

그러나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은 전혀 다른 방향의 이야기로, 그 의아함은 더 큰 호기심을 낳았다. 그리고 ‘카밀라’라는 한 입양아가 자신의 뿌리를 찾아 나선 여정, 그리고 미혼모인 엄마를 찾는 과정 속 많은 이야기들을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정도로 충격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진실들이 고개를 들 때면, 그 이야기 자체에 함몰되었다. 그리고 굉장히 속도감을 느끼면서, 그 어떤 사랑이야기보다 가슴이 시려왔다. 단지 진실을 드러낸 듯 툭 던지고 끝을 맺는다. 그리고 다음을 기약하는 서술에 시선을 사로잡혔다. 또한 충격적 진실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에 앞서, 그 드러난 사실 이면의 진실을 원했다. 그리고 다른 이들의 증언과 이야기 전개는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도록 팽팽하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이 이야기를 이끌던 그 힘이 무엇이었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무척이나 흥미진진하게, 그 미지의 심연의 세계를 탐하고자 했다. 그런데 나는 작가가 쓰지 않은 이야기를 읽었을까? 그는 묻지만 나는 대답할 수가 없다. 그것이 아쉬워 나는 다시금 펼쳐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