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1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1
호머 헐버트 지음, 마도경.문희경 옮김 / 리베르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헐버트? 그는 과연 누구인가? 익숙함만큼 좀처럼 감을 잡을 수가 없다. 단순히 구한말에 잠시 스쳐지나간 이방인인줄 알았다. 그리고 이방인에 비친 우리의 옛모습이 어떠했을까하는 호기심 정도에서 책을 들었다. 그런데 일단 놀랐다. 그의 종적을 쫓아본 적이 없어 아리송했던 홀버트, 역사 교과서에 한 두번 등장하며 몇 군데 짧막하게 소개되던 홀버트! 그는 우리의 방대한 역사를 집중 탐구하고, 한국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그 누구보다 종횡무진했던 또다른 우리였던 것이다. 그가 집필했던 대작 <한국사>가 리베르를 통해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라는 책으로 우리에게 되돌아온 것이다. 늦게나마 혼신의 힘을 다해 우리의 역사 문화를 사랑했던 그를 알게되고 만나게 되어 미안하고 죄송스러운 마음으로 책과 마주하면서, 그의 열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왕조중심의 역사에 치우쳤던 기족의 틀을 깰 수 있는 시간이었다. 새왕조가 들어서면서 새롭게 문물을 정비하는 과정을 숱하게 외우고, 그 속의 상관관계를 파헤쳤다만 헐버트는 다른 눈으로 우리의 역사 체계를 세우고 있었다. 일단 내용이 차지하는 분량면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놀랍고 호기심을 가득 채우며 설레게 한다. 그의 눈에 비친 우리의 역사가 어떤 모습이었을까? 목차를 보면서 이렇게 흥분하기도 또 난생 처음인 듯하다.

점점 시들어가는 한 나라의 국운을 그 누구보다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그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자주적이고 굳건하게 묘사하고 있어, 괜시리 눈시울을 붉히게 하였다. 특히 4대문명 외로 부각되고 있는 제5대 문명인 요하문명이 새롭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시점에서 고조선의 역사, 우리의 뿌리를 밝히고 있는 부분에서 괜한 자부심이 용솟음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에 중요시되지 않았던 역사의 또다른 면모가 시시각각 생동감있게 다가오면서 생소한 역사, 낯선 역사에 더욱 흥미를 불어일으켰다.

 

그 어느 역사서보다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도 그럴것이 이방인 헐버트에 의해 쓰여진 우리의 역사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다. 특히  식민시대를 거치면서 왜곡되고 사라져버린 아니 잃어버린 우리의 역사가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를 통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는 것이 그 무엇보다 의미있다. 이방인이니만큼 때론 좀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역사를 조망하고, 때론 애정어린 시선으로 보듬듯 쓴 우리의 역사, 헐버트의 눈으로 읽는 우리의 모습을 통해 끊임없는 재미와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이다.

<한국사, 드라마가 되다> 2권은 먼저 서점 나들이를 통해 엿보았다. 역시 압도적으로 흥미를 불어일으킨다. 무엇보다 임진왜란 이후, 정유재란과 병자호란의 높은 비중이 남다르게 느껴지면서 호기심을 부채질하였다. 또한 긴박했던 18세기 말의 모습을 그 어떤 역사서보다 생생하게 담고 있을리란 기대감에 들뜨게 된다. 신선한 충격이 잊혀지지 전에 서둘러 만나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