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강의
 

그런 적이 있었다. 어려운 처지의 아이들은 지금 굶주리고 헐벗어 가고 있는데 나는 여기서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끝없이 계속되는 소비를 해도 될까라며 고민했던 때가. 하지만 죄책감과 별개로 내 일상은 돌아갔고 그 일상의 무자비함에 대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곤 했다. 그걸 끊을 용기도 없으면서. 최근까지, 나는 그 짐을 내 어깨 위에서 내려 놓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에 알라딘에서 여행인문학 강의 지원이 떴었다. 그리고 난 임영신 선생님의 강의를 보고 싶다는 댓글을 달았었다. 임영신 선생님의 강의를 듣기로 결심한 것은 그녀가 쓴 글 때문이었다. '평화는 나의 여행'을 읽으면서 이라크 전쟁 후 다른 곳은 폭격으로 인해 상처투성이인데 석유에 관한 건물은 하얗고 깨끗했다고 말한 부분이 아직도 내 머리에 선명했기 때문이다. 인생의 선배로써 그리고 비슷한 길을 소망하지만 그럴 용기가 없는 나에게, 그녀의 강의는 내 삶에서 나아가야 할 길에 관해서 자그마한 힌트라도 얻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거리의 차이(서울로부터 백 리란 거리는 괜히 있는게 아니니까..)와 갑자기 시작한 감기때문에 갈까말까 고민을 했던 그녀의 강의를 이 때 아니면 언제갈까, 혹은 지금 안 가면 평생 후회하겠지 싶어서 아주 짧은 하루 동안의 고민을 마치고 결국 가기로 결정하고 길을 나섰다. 

약도를 안 뽑아서 헤매다가 동네 주민의 도움을 받아 도착한 '민중의 집' 2층. 아직 강의가 시작하기 전이었지만 열기는 후끈 달아올라 있었다. 맨 앞자리에 자리 잡고 앉아 강의를 기다렸다. 차분한 임영신 선생님의 목소리로 시작한 강의의 주제는 'Between here and there'. 처음에는 첫 여행이었던 일본 여행을 풀어내셨고, 그 후로는 프랭클린 플래너를 잃어버린 이야기도 하셨다. 그리고 곧 최근에 다녀온 미국 이야기를 하셨다.  

Between here and there,  

미국 필라델피아에 서 있으면서도 바그다드를 떠오르게 되고 허드슨 강을 바라보며 이라크의 티그리스 강을 생각하게 되고. 시간과 공간은 다르지만 그 기억은 종이접기를 할 때처럼 한 점으로 겹쳐져서 관통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관통점에서는 감정이 조금씩 조금씩 차올라서 폭격 전야의 그 순수하고 놓아주기 싫어했던 이라크 아이들의 모습을 떠오르게 했다. 차마 어떤 말을 해야 될 지 몰라서 망설이는 이에게 '기억할게'라고 말하던 아이들을 떠올리는 그녀의 눈물에서 나도 모르게 전이된 감정으로 눈물 한 방울 뚝뚝. 

하지만 그녀의 강의 말미에도 말한 것처럼 함께 우는 여행보다 희망을 발견하는 여행을 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언젠가 타고 싶은 피스보트는 평화와 비평화의 간극에서 고통받는 그녀에게 평화의 일상을 만드는 게 또 다른 평화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들게 했다고 한다. 또한 뉴욕 소호에 위치한 Housing works 라는 중고책카페의 이야기를 통해 이제는 혼자 우는 것보다는 모두 같이 희망을 노래하는 모습을 보았다. 최근 다녀온 펜드릴의 이야기와 Eco map의 이야기 또한 우리가 조금은 덜 위험하지만 많은 이들이 같이 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도움이고 나눔이다. Beyond the maps, into the future의 말처럼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방향으로 여행이 나아가면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강의의 마무리는 경계에 선 자의 고통과 그들이 있음으로 해서 생기는 사회의 변화였다. 경계에 선 자는 어느 곳에도 속해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은 소속감 불명의 괴로운 처지에 있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쪽과 저 쪽 어디에서든 상대를 끊임없이 생각해 내게 하는 역할이 될 수 밖에 없다. 여행자가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보았다. 강의처럼 여행은 예민한 감수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그 감수성으로 인해 불합리한 점을 잘 잡아내기에.

이렇게 강의는 끝나고 나의 가슴에는 푸른 별빛 바다를 꿈꾸게 되었다. 이제껏 나는 아직 익숙한 지도를 받아들이고 있을 뿐이지 나만의 새로운 지도를 만들어내지는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강의을 들으면서 언젠가는 나만의 지도를 만들고야 말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강연 후 뒷풀이도 있었지만 내일 아침에 아름다운 가게에서 봉사활동을 하기 때문에 서둘러 진주로 내려가야했던 점이 조금 아쉬웠다. 하지만, 나는 나만의 방법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을 돕고, 희망을 노래하기 위해 노력 중이니까, 라고 스스로를 달래보았다. 또, 많은 것을 배워가니까. 그게 큰 기쁨이었으니까 약간의 안타까움은 지금은 고이 접고, 다음을 위해 웃기로 했다. ^_______^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일라스 2010-07-27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홀리야 님이 후기를 넘 잘 올려주셔서 머뭇거리다가 이제야 댓글을 답니다. ^^
여행인문학 강의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네요.
많이 배우는 강의였습니다.
경계를 넘는 여행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고,
희망을 발견하는 여행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 '펜드릴'이 하도 인상적이어서 검색을 해봤는데, 펜드릴이라는 사람이 나오거나, '펜'과 '드릴'만 나왔어요.
좀더 자세한 정보를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floweroftime 2010-07-30 11:11   좋아요 0 | URL
펜드릴이 아니라 '펜들힐'로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저도 이제야 알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