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올리는게, 글 속에 묻힐 수 있을 것 같아서...올립니다...^^

 

 

네루다의 바다

-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민음사>를 읽고...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는 문학작품보다는 영화 ‘일 포스티노’로 먼저 다가온 작품이다.

 오래전, 시노래모임 ‘나팔꽃’ 공연 때 도종환 시인이 자신의 시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시와 사람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좋은 작품의 예로서 영화 ‘일 포스티노’를 추천해 주었다. 유명한 시인과 한 우편배달부의 아름다운 우정이야기라고, 시인은 ‘네루다의 바다’ 앞에 서 있는 듯, 눈동자는 별처럼 반짝였으며, 목소리는 투명하게 진동했다. 그런 시인의 모습은 그대로 내게 시가 되어 ‘일포스티노’는 언젠가 한 번은 꼭 보고 싶은 ‘시’를 품은 영화였다. 그런 ‘일 포스티노’를 우연히 서가를 정리하다가 한 권의 책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라는 이름으로, 진한 바다내음을 뿜어내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순간, 내 가슴은 기쁨으로 출렁거렸다.

 

 이야기의 배경은 칠레의 이슬라 네그라. 시간이 멈춘 듯 나태함과 왁자지껄함이 가득한 바닷가의 작은 섬마을이다. 이런 작은 섬에 위대한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1904~1973)가 휴양차 오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마리오는 어부를 아버지를 둔, 그러나 어부가 되고 싶지 않은 치기어린 젊은 청년이다. 이런 마리오가 수신인이 단 한 사람뿐인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로 취직하게 되면서 ‘시’에 눈뜨게 된다. 단순한 우편배달부와 수취인의 관계에서, 순박한 마리오의 질문을 시작으로 두 사람은 친구가 된다.

 

“메타포, 그게 뭐죠?”

“대충 설명하자면 한 사물을 다른 사물과 비교하면서 말하는 방법이지.”

 

 파블로에게 시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마리오는 자신을 둘러싼 사물들에 귀 기울이며 자연 속에 숨어 있는 삶의 아름다움을 찾고자 노력하게 된다. 아름다운 영혼의 개화가 시작된 것이다. 이런 마리오에게 시가 선물처럼 찾아오게 된다. 그것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베아트리체라는 아름다운 처녀에게 첫눈에 반해 사랑에 빠진 마리오는 날마다 그녀에 대해 시를 쓰고 들려준다. 베아트리체에 대한 순수한 열정은 마리오의 영혼을 시의 본질속으로 성큼성큼 다가가게 하는 마법의 열쇠로 작용한다. 흐르는 시간속에서 시인의 메타포는 그대로 마리오의 삶속으로 들어가 삶의 본질에 눈뜨고 영혼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슴으로 ‘메타포’를 인식하게 된 마리오가 자신이 살고 있는 칠레의 현 실상을 파악하게 되고, 민중의 언어로서 ‘시’를 표현해 낼 때의 그 감동이란, 시와 삶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순수한 본질로서 다가와 커다란 감동을 주게 된다.

 

 이 작품을 쓴 안토니오 스카르메타(1940년~ )는 위대한 시인인 네루다가 누구와도 편하게 이야기하는 친근한 성격에 깊은 인상을 받아 이 작품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이 소설을 발표(1985년)하기 전에는 이 작품을 자신이 직접 감독하고 배우로도 출연해 영화로도 만들었다 하니, 작가의 이 작품에 대한 열정을 가히 짐작해 볼 만 하다.

 

 경계가 사라진 바닷가를 앞에 두고 소박한 시어를 건넬것만 같은 파블로의 사진이 담겨있는 책을 덮는 순간, 내 가슴은 갓 잡아올린 한 마리 물고기처럼 생생하게 파닥거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위대한 만남’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나에게 ‘위대한 만남’이란 다름아닌, 자신안의 어두움을 스스로 밝힐 수 있도록 내적인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만남을 말한다.

생각해 보면, 나에게도 ‘우연한 만남’이 ‘위대한 만남’으로 싹트는 계기가 있었다. 바로 시노래모임 나팔꽃과의 만남이었다.  아주 오래전, ‘꽃피는 5월’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싸늘했던 어느 날 오후, 친구와 공원을 거닐다가 우연히 시노래모임 ‘나팔꽃’공연에 참가하게 되었다. 추운 날씨에 몇 되지 않은 관객으로서 덜덜 떨면서도 그 자리를 떠날 수 없었던 것은, 아마도 시노래속에 담겨있는 근원적인 그리움의 감정들이 내 무의식을 건드렸던 것 같다.  그 때 이후로 ‘시마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주위의 사물에 대해서도 찬찬히 들여다 볼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나에게도 ‘메타포’가 찾아들었던 것이다.

 사물의 본질에 대한 물음, ‘나를 나답게 하는 것에 대한 진지함...’

 마리오처럼 삶이 시가 되진 못했지만, 오랜 시간동안 ‘나팔꽃’ 꽃그늘에 머물다 보니 내 마음에도 어느새 나팔꽃을 닮은 작은 시마음이 넝쿨지고 있었다. 가끔식 일상에 지쳐 피곤해 질 때면, 내 안에서 뿜어져 나오는 ‘나팔꽃’ 향기를 맡으며 힘을 얻는다.

 

 

 나팔꽃 / 김현성

 

아침에 나의 머리맡에
부지런한 나팔꽃 인사하지
나를 위해 그대 빵을 굽고
방안 가득 커피향이 좋아

사는 날 가끔 힘이 들 때
망설이던 눈물 흘려도 되
하늘 향해 뻗는 나팔꽃 봐
마음까지 하늘에 닿겠네

이른 아침 창밖을 봐
높이 나는 새들 얼마나 힘찬지
또 밤새 서 있는 푸른 나무들 좀 봐
이른 아침에

 <김현성 시집 '그대 어서 와 그리움 나누고 싶다'에서>

 

삶의 ‘메타포’에 한번이라도 물음표를 가져 본 사람이라면, ‘시’의 본질에 느낌표를 가져보았던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꼭 읽어보아도 좋을 문학작품이다. 그리고 한 사람과의 만남이 얼마나 위대한 일인지, 말해 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 시노래모임 나팔꽃 : 작게, 낮게, 느리게

  '나팔꽃'은 1999년 봄, 시인 김용택 정호승 도종환 안도현 유종화와 음악인 백창우 김원중 배경희 김현성 홍순관 류형선 이지상 안치환 이수진 등이 모여 만든 시노래 모임입니다. 시와 노래의 만남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변방으로 밀려나던 시가 새롭게 존재 의의를 찾으며 대중을 만나는 작업이며, 신세대 문화의 홍수 속에서 본래의 아름다움을 잃고 있는 노래가 새로운 시정신으로 무장하여 서정성을 회복하는 일입니다. 시와 노래는 한 몸, 시는 시집 밖으로 걸어나와 자연과 인간의 친구가 되는 노래가 되어 우리 삶 속에서 새롭게 태어납니다.

(나팔꽃 소개글-홈페이지에서 데려옴)

아쉽지만 현재는 '나팔꽃' 활동이 잠시 멈춰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준입니다. 2012-02-05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좋았습니다. 시와 소설과 영화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글쓴이의 마음을 그려주네요. 전 영화를 먼저 보고, 책을 읽으면 책 속에서 영화 속 장면이 떠올라 싫더라고요. 그래서 책을 읽고 영화를 봐야겠지만, [일 포스티노]는 당장 보고 싶습니다.
책표지만 본 것이 아니라, 글도 오랫동안 쓰셨군요. 글에 대해서는 별로 이야기할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숙제를 해야 하니, 한 가지의 질문과 부탁 하나가 있습니다.
질문은, 영화 속 주인공 단테도 아닌 마리오가 베아트리체를 사랑하면서 詩에 눈을 떴다고 하는데, 다시 말해서 사랑의 詩語를 통해서 민중의 詩語가 나올 수 있을까? 이런 궁금증이 생기고요. 한 가지 부탁은 시를 사랑하신다면, 김현성의 “나팔꽃” 전문을 올려주세요. 아주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시를 사랑한다고 하는 분들이 시인들이 토해놓은 온전한 유기체를 자기가 필요한 부분만 잘라서 사용한다는 것은 정말 잔인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꽃별이 2012-02-05 0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김현성님의 시 전문으로 올려 놓았습니당...시보다는 시노래로 익숙했던지라, 본의아니게 잔인한 일을 하고 말았습니다...따뜻한 숙제 감사드립니다...^^

시실리 2012-02-05 0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 (여기에서는 필자의 현실을 대변하는 메타포), 소설 (독자 즉 필자의 이매지 네이션) 그리고 영화 (꿈의 메타포)가 적절히 어우러진 글이라고 느꼈습니다. 그런데 제목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네루다의 바다는 어떤것이었나요? 그것과 관련하여 필자에게 있어 바다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bytheway 2012-02-06 1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상하게 이 글을 읽으면서 시나리오를 써본 분이거나, 영화를 무척 좋아하는 분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야기가 중간중간에 바뀌고, 연결되는게 무척 자연스럽고 편안합니다.
시나리오 잘쓰고 잘찍고 잘 편집한 영화에서 이야기거리가 세련되게 변하는 것 같아요.

이 글 초반부를 읽고 다른 볼일을 보다가, 나중에 마저 읽었는데 계속해서 이 글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고,
예전에 봤던 일 포스티노가 자꾸 머리에 떠도네요.

저는 일 포스티노가 정치적인 이유로 네루다가 시골에 귀양온 영화로 기억했는데, 아니군요.
자기를 이해하는 사람과 진짜 대화를 하지 못하는 네루다가 무척 외로와 보였습니다.
영화후반부에 칠레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니, 영화에 정치적인 이야기가 나오긴 했나 봐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이 글은 제가 영화와 시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맘에 드는 글이고, 읽으면서도, 그리고 읽고 나서도 즐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빵가게재습격 2012-02-11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꽃별이님 글 잘 읽었습니다.^^ 글도 담백하고, 표현하고 싶은 만큼 적확하게 잘 표현하신 듯 합니다.^^ 특별히 더 덧붙일 말은 없는데요. 두 가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릴께요. 표현에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모두 다 '관습적'인 표현들입니다. 조금 더 생경한 표현이 필요하지 않은가 합니다. 두번째는 말 줄임표를 의미없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여운을 주기 위해 말 줄임표를 사용하는 방식은, 너무 안이한 방식입니다. 다른 표현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합니다. 이상입니다.^^

리얼리티 2012-02-11 2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학생 때인가, 영화 <일포스티노>를 봤는데 무척 졸린 와중에 남자 주인공(마리오겠네요)이 "아파요. 그런데 계속 아프고 싶어요."라고 대사할 때만 눈빛이 초롱초롱해졌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이 영화는 남녀간의 사랑보다 더 큰 이야기를 다루는 거였군요. 꽃별이님의 글을 읽고 영화도 다시 보고 싶어졌고, 책도 읽고 싶어졌습니다. 군더더기 없이 명확한 글이라 제 역량으로는 아쉬움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

고리 2012-02-14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와 영화 <일 포스티노>로 시작된 '메타포'가 글쓴이의 삶에서 어떤 계기로 찾아오게 되었는지 전개하는 과정이 매끄럽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통 '시심'이라고 쓰는데, '시마음'이라고 표현하신 단어도 인상적이었어요. "내 마음에도 어느새 나팔꽃을 닮은 '시마음'이 넝쿨지고 있었다."라는 표현이 참으로 멋집니다. ^^
아쉽다기보다는 해소되지 않는 궁금증이 하나 있어서 덧붙입니다. 글쓴이에게 '메타포'가 찾아든 이후의 생활이랄까 변화는 어떤 것이었나요? 뭉뚱그려서 쓰셨는데 마리오같은 삶은 아니더라도 글쓴이 역시 메타포를 인식하고 본인의 언어로서 세상을 시로써, 혹은 글로 표현하시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하게 됩니다.

바다 2012-02-14 2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노래모임이 어떤 것일까 궁금했는데, 친절하게 설명해 주셔서 좋았구요.
[오랜 시간동안 ‘나팔꽃’ 꽃그늘에 머물다 보니 내 마음에도 어느새 나팔꽃을 닮은 작은 시마음이 넝쿨지고 있었다. 가끔식 일상에 지쳐 피곤해 질 때면, 내 안에서 뿜어져 나오는 ‘나팔꽃’ 향기를 맡으며 힘을 얻는다.] 는 문장이 하나의 시적인 표현이어서 글이 멋있게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dongsin 2012-02-15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늦었지만 댓글 달고 싶어서요. 언제부턴가 소설을 보면 왜 그런지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곤 했는데 이 책은 꼭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게 드는 리뷰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위대한 만남'이라든가 책을 덮는 순간, 갓 잡아올린 한 마리 물고기처럼 가슴이 생생하게 파닥거렸다.든가 하는 표현을 만들게 하는 책을 누군들 궁금해 하지 않겠어요? 적절한 길이의 내용 설명, 소설과 연계된 영화 소개(좋은 작품은 항상 영화로 만들어지기 마련이죠!!), 게다가 자신의 '위대한 만남의 예까지 설명하고 있어 상당히 즐겁게 읽은 글입니다.
다만 문장 문장이 좀 길어서 약간 짤막하게 작성하시고 접속어를 사용하셨다면 더 읽기 수월했을 것 같습니다.(물론 읽기수월한게 최고는 아니지만요^^)

돌이 2012-02-15 1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몇 단어를 다른 말로 바꾸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잠시 가져 보았습니다만, 그게 너무 '상투적'이어서 저는 오히려 꽃별이님의 표현이 마음에 드네요. 소설, 영화, 시, 시마음까지 죽 매끄럽게 연결되는 서술방식이 깔끔해 보입니다. 더 나아가 우연이 인연이 되고, 그 인연이 필연적으로 삶을 각성시킨다는 전개방식도 제게는 위대한 만남으로 다가오네요. [일 포스트]는 봤지만,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는 읽지 못한 아쉬움을 오늘은 [파블로 네루다 자서전]으로 대신해 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