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는 교육 잡지라고 할 수 있다. 두 달에 한 번 나오는 계간지인데, 나올 때가 되면 많이 기다려진다. 어떤 인연인지 첫호부터 읽게 되었는데, 지금까지 꾸준히 읽고 있는 것을 보면 이 책에서 배우는 점이 아직도 많다고 할 수 있고, 또 이 책에서 제기하는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어떤 호를 읽어도 여러 생각을 하게 하는데, 이번 호는 저번 호에서 연령 대가 더 내려가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가 주제다. 정확히 이 책에 있는 제목으로 한다면 특집 기획이 "육아, 시장의 유혹을 넘다"이다.

 

저번 호는 청소년의 정치 참여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 이번에는 육아로 내려갔으니.. 어쩌면 정부에서 야심차게 시도하고 있는 "돌봄교실"이라는 육아(?) 방식에 비판의 칼날을 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정부에서는 어린이집에 보냈을 때 보조금을 지급하는데, 그럼 집에서 애를 키우면? 안 준다. 그래서 어린이집에 보낸다. 이러면 아이는 누가 키우지? 예전 개그콘서트에서 했던 유행어처럼, 소는 누가 키워? 가 아니라 아이는 누가 키우냐 말이다.

 

아이를 키우는 일차적인 사람은 바로 부모 아니던가. 오히려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면 보조금을 주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아이를 집에서 부모가 키우면 보조금을 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아이를 집에서 부모가 키울 수 있게, (키운다는 말이 좀 이상한데, 이 말 대신 함께 지낼 수 있게로 쓰자), 함께 지낼 수 있게 부모가 일에 매달려 가정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현실을 고쳐야 하고, 또 돈이 없어서 아이와 함께 지낼 수 없는 가정을 위해서 보조금을 지급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마찬가지로 돌봄교실도, 아이를 학교에 늦게까지 남기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일찍 퇴근하여 아이와 함께 지낼 수 있게 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런 정책에 대한 간접적인 비판과 더불어 이번 호는 잘못된 육아에 우리가 얼마나 많이 휩쓸리고 있나를 살피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부터 여러 협찬하는 회사까지 얽혀 있는 육아시장에서 벗어나기가 얼마나 힘든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이 가장 큰 시장으로 삼고 있는 것은 이제 육아시장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기업들이 어른을 대상으로 하다가, 청소년으로 내려갔다가, 이제는 유아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한다고 한다. 유아에 대한 상품을 많이 팔기 위해서 병원을 이용하는 회사들이 많으며, 또 이들은 광고를 통해서 부모들의 불안을 조성해 자신들의 상품을 판다고 한다.

 

거기에서 벗어나기가 얼마나 힘든지는 아이를 키워본 사람은 다 알 것이고...

 

한 번 유이기때 이렇게 회사들의 상품과 관계를 맺은 사람은 그 관계를 아이가 어른이 될 때까지 유지할 가능성이 많다는 사실이 유추되어 더 모골이 송연해졌다.

 

우리는 아이들을 잘 키운다고 하지만, 그 때 잘 키운다는 말이 자신들의 뜻대로 아이들이 커줄 때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아이들이 자신들의 본성대로 크는 것을 지켜보지 못하고 숱하게 간섭하게 되는 것이다. 또 불안에 떨기도 하고.

 

그러나 옛이야기를 떠올려보자.

 

세 딸에게 누구 복으로 이렇게 잘 사느냐라는 부모의 질문에 두 딸은 부모님 복이라고 해서 부모의 사랑을 받았지만, 내 복으로 산다고 말한 딸은 부모의 미움을 받아 내침을 당한다는 옛이야기. 부모 복으로 산다는 두 딸은 참으로 못나게 되었지만, 자신의 복으로 산다고 말한 딸은 잘 살게 되었다는 결말을 갖고 있는 이야기.

 

이 이야기를 잘 살펴보면 정말로 잘 사는 아이들은 자신들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자신의 힘으로 자신의 세상을 열어가는 아이이다. 그것이 잘 사는 것이다. 그렇다면 부모는 아이가 지금 어떻다고 초조해할 필요가 없다. 아이에게는 아이의 복이 있다. 그리고 아이에게는 아이의 인생이 있다. 그 인생에 자신의 인생을 대입해서는 안된다. 이게 이번 호에서 하는 얘기다.

 

이렇게만 생각하면 아이는 늦든 빠르든, 똑똑하든, 그렇지 않든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는 소중한 존재다. 그런 소중한 존재가 부모와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모두 소중한 존재들이 잠시 동안 한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상태, 그것이 바로 가족인 것이다.

 

그렇다면 가족 구성원 각자가 자기 인생을 행복하게 살면 그것이 바로 가족의 행복이 된다. 가족의 행복, 그것은 곧 사회의 행복이 된다. 이런 가족이 된다면 아이에게 공부해라, 공부해라 하면서 공부만이 살 길인양 강요하지는 않을터다.

 

이런 가족이 많다면 우리나라 사교육에서 대표적으로 행해지는 선행학습은 굳이 사회구성원들이 사회협약을 맺어(이번 호에 나온다 ) 하지 말자고 결의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없어진다.  무엇이 아이의 행복인지 아는 부모들이 선행학습을 강요하지는 않을테니 말이다.

 

이런 점을 생각하게 해준 이번 호. 여러 가지 글들이 있다. 하나하나 모두 소중한 글이다. 그럼에도 늘 특집은 우리 사회의 문제와 맞물려 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이 땅의 사람들, 현재 부모이거나 부모였거나, 부모일 사람들이다. 정말 자신이 원하는 아이의 행복은 무엇인지, 그렇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번 호를 통해서 고민해봤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