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이야기 2 - 소포클레스에서 소크라테스까지
앙드레 보나르 지음, 김희균 옮김, 강대진 감수 / 책과함께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정치가보다는 다른 사람들을 통해 그리스 이야기를 해주고 있어서 좋다. 어쩌면 문학 작품 속에 나오는 인물들을 통해 그리스인들의 전형을 이야기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2권 시작은 안티고네와 크레온으로부터 시작한다. 두 극단의 부딪힘. 그러나 안티고네로 대표되는 극단은 본성과 자연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고, 크레온으로 대변되는 극단은 인위와 개인의 욕망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극단과 극단이 부딪히면 파멸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 안티고네의 죽음, 크레온의 파멸. 그러나 둘 다 파멸에 처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대하는 태도는 다르다. 안티고네는 칭송을 받는다. 크레온은 비난을 받고, 어떤 동정도 얻지 못한다.

 

이 극단적 인물을 통해서 보여주는 것은 바로 우리 삶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다. '나'라는 개인을 중심으로 개인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 그것이 아무리 법이라는 이름으로 치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용납되지 않음을 처음 부분부터 보여주고 있다.

 

이런 법만을 따지는 개인의 욕망이 그리스를 쇠퇴로 이끌어갔다는 논지가 뒷부분에 나온다. 소송천국 그리스. 먹고 살기 위해서는 소송이 필요한 사회, 넘쳐나는 소송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생산적이 아닌 남들을 파멸시키는데 쓰게 된다.(소송 망국 아테나이. 416쪽)

 

결국 아테네는 스파르타에게 지고 마는데, 이 법의 맹신에 대해서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작은 제목에 나오는 마지막 인물, 소크라테스다. 그는 공정한 재판을 통해 사형 선고를 받고 죽음에 이른다. 젊은이들을 타락시켰으며 신을 믿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법이 어떻게 악용될 수 있는지를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는 장면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법이 얼마나 잘못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너무도 많지 않은가. 또 아테네에서도 벌금으로 처벌을 면하는 제도가 있었듯이, 재판 따로 처벌 따로인 경우가 쇠퇴기에 넘쳐났는데, 우리나라 역시 유전무죄, 무전유죄(有錢無罪 無錢有罪)라고 하여 온갖 보석들이 난무하고 있지 않은가.

 

그렇게 한 사회의 쇠퇴기에는 사람과 사람이 대화를 통해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보다는 문자에 구속되어 살아가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니 온갖 해석가들이 나타나게 되고, 당시에는 이들이 소피스트라는 이름으로 등장했고, 요즘은 변호사 또는 브로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고 있으니...

 

소포클레스에서 가장 중심에 두는 인물은 오이디푸스다. 이 책을 읽으며 왜 쿤데라가 '농담'이라는 소설에서 오이디푸스를 언급했는지 알겠다.

 

자신의 잘못이 없음에도 그것을 비껴가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하는 인간. 인간으로서 가장 고결한 모습을 보이는 사람. 오이디푸스. 왜 신들이 그에게 고난을 주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에게 주어진 고난을 당당하게 맞이하는, 그래서 받아들이고 그것을 이겨나가는 인간, 영원한 안식을 얻은 인간, 오이디푸스.

 

우리가 언제 자신이 한 행동에 걸맞는 대접만 받았던가. 내 호의가 악의를 유발한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때마다 억울해 하지 않았던가. 내 의도는 그게 아니었어 하면서 변명만 하지 않았던가. 특히 정치인들, 오이디푸스처럼 왕이라는 자리에 있어 테베 백성들의 안위를 먼저 생각하는 정치인들이라면 자신에게 파국이 닥쳐오더라도 정면으로 맞서야 하지 않을까.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당당하게 나아가기. 책임지기. 다른 존재 탓하지 않기. 오로지 내게 주어진 일일 뿐. 오이디푸스는 그렇게 나아간다. 그런 그를 그리스인 이야기에서 중요하게 제시하는 이유는 그가 바로 뛰어난 인간이기 때문이다. 책임을 지는 인간. 그 인간이 바로 오이디푸스이기 때문이다.

 

명심해야 할 일이다. 이런 인물들 말고도 이 책에서는 힙포크라테스를 다루고 있다. 의학을 발전시킨, 그의 의학 앞에서는 어떤 인간 차별도 없었음을 보여주는, 현대에도 의대를 나오면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한다고 하는데, 돈이 아니라 병 앞에서 최선을 다하는 그런 의사의 모습. 그렇게 중요한 의사가 이 권에서 나오고,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가 나오기도 한다.

 

사회가 어지러울수록 웃음으로 사회를 치유하려는 사람이 있기 마련. 아리스토파네스는 희극을 통해 당시 그리스 모습을 꼬집는다. 그는 웃음으로 흘려보내려는 것이 아니라 웃음으로 사회를 개조하려는 것이다. 비록 그것이 성공하지는 못했을지라도.

 

비극에서 희극으로 나아가고, 아테네는 점점 쇠퇴의 길로 접어든다. 그 쇠퇴의 정점에서 내리막길로 치닫게 되는 것, 소크라테스의 죽음이 아닐까 한다.

 

이제 3권으로 가야 한다. 가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2-31 12: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31 15:0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