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평양
성석제 외 지음 / 엉터리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 평양!"이라고 인사를 할 수 있는 때가 되었다. 세상이 얼마나 변했는가? 남북 정상들이 자주 만나고... 벌써 두 번, 이번에 또 만날 예정이니 한 해에 세 번 만나는 것. 여기에 남북연락사무소까지 생기니...

 

"안녕! 평양, 안녕, 서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평양은 여전히 안개 속에 있다. 마치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에 나오는 무진이라는 마을처럼. 짙은 안개에 쌓여 잘 보이지 않는다.

 

평양에 관한 소식들, 모습들은 여전히 안개에 갇힌 듯 흐릿하게 전해 온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평양을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북한이라는 나라를 연전히 악의 축으로 규정하고 수많은 제재를 하기 때문에 북한 역시 개방이 덜 되어 있는 때문이기도 하리라.

 

이제 서서히 안개는 걷히리라. 해가 떠오르면 안개는 사라지게 마련이니. 이렇게 남북 정상들이 자주 만나고, 또 다른 교류들이 이루어진다면 평양이 좀더 명확하게 다가오지 않을까 한다.

 

이 소설집 역시 마찬가지다. 평양을 가리고 있는 안개를 걷으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안녕, 평양'이라고...

 

남북관계를 중심으로 쓴 소설 여섯 편을 모았다. 각자 다른 작가들이 다른 관점에서 남북간의 관계, 아니 남한과 북한 사람들을 다루고 있다. 나라를 구성하는 것이 사람이라면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읽는 것은 둘 사이를 가리고 있는 장막들을 걷어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남한으로 월남한 작가 중에 이호철이 있었다. 그가 쓴 소설 "남녘 사람 북녁 사람"이란 소설에서도 이념보다는 사람을 먼저 했었는데... 이 소설들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 이야기를 한다. 그 사람을 통해서 우리가 분단을 어떻게 겪고 있는지, 통일을 위해서 어떻게 한 발 나아가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공선옥이 쓴 소설 '세상에 그런 곳은'은 여전히 힘든 현실을 이야기한다. 남한에서 가난하게 살아가는 해고노동자와 북한에서 왔지만 여전히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탈북자를 등장시킨다. 둘이 만나기도 하지만 소통은 하지 못한다. 그렇다. 이것이 남한과 북한의 현실이다. 그리고 남한과 북한 민중의 현실이다. 이들은 여전히 힘든 삶을 살고 있다.

 

힘든 삶을 살고 있다는 공통점이 이들을 유대하게 만든다. 비록 둘이 다른 곳에 서서 시위를 했을지라도 이들은 만나야만 한다.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해야 하기 때문에... 이게 북한과 남한이 가야 할 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 소설이다.

 

김태용이 쓴 '옥미의 여름'은 가상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남한 기자가 북한 과학자를 취재한다. 취재할 수 있다는 것. 어느 정도 제한은 있지만 이렇게라도 소통을 할 수 있는 관계가 되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세상에 은둔한 모습을 보이는 북한 천재 과학자를 만났을 때 그 사람이 보여주는 인간적인 모습, 그런 공통점으로 인해 이념보다는, 체제보다는 사람이 우선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성적제가 쓴 '매달리다'는 북한 사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물론 북한 기관원들은 잠깐 등장한다. 북방한계선을 넘어가 고초를 겪게 되는 어부들 이야기. 조작된 어부 간첩단 사건... 그러나 그 사람들이 겪게 될 비극, 가족이 당해야 했던 아픔, 당사자가 끝내 그 아픔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된는 비극적인 모습을 통해서 통일이 얼마나 필요한지, 분단이 보통사람들에게 얼마나 가혹하게 다가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정용준 '나이트 버스'는 명확하지 않다. 남북관계에 대해서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다만 전체적인 분위기를 통해서 지금 남북관계는 피곤에 절은 버스 승객들과 같은 모습이 아닐까. 비록 남북이 힘들지만 오늘만은 관광에 집중하자고 말한 윤 선생 말처럼, 피곤하고 지치고 힘들지만 남북이 직면한 현실에서부터 시작하자고 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다. '나이트 버스, 나이스'라고.

 

이승민이 쓴 '연분희 애정사'는 서로 다른 관점을 보여주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이 인물들을 남북으로 치환하면 될 듯하다. 우리는 같은 사건을 다른 관점에서 보고 있으니 말이다. 둘이 만나지 않는 것은 이 다른 관점이 지속됨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둘은 만나야 한다. 비록 함께 하다가 탈북을 해서 떨어져 있지만, 이들은 만나서 공통된 접점을 찾아야 한다. 아니 우리가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사실에서 관계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영원히 증오만을 남길 뿐이다.

 

마지막 소설은 '샌프란시스코 사우나'다. 평양 여경찰을 사랑했던 사람의 이야기. 그러나 함께 할 수는 없었던. 그렇다. 이렇게 남북한은 아직은 함께 하지 못한다. 그러나 적어도 '미친 빨갱이'라는 말은 이제 하지 않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자신이 싫어하는 존재에게 '미친 빨갱이'라고 욕을 하는 여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이렇게 서로를 낙인찍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 그 낙인을 던져버려야 한다. 그래야만 남북 사이에 깔려 있는 안개가 걷힐 수 있다.

 

안개를 걷고 만나야 한다. 그런 노력들을 해야 한다. 이 소설집 또한 안개를 걷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념이나 체제를 다루지 않고 사람을 다룸으로써.

 

앞으로는 이 소설집에서 한발 더 나아간 소설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적어도 우리에게 안개가 걷힌 평양을 보여주는 소설들... 그래서 담담하게 "안녕! 평양!"이라고 말할 수 있게 해주는 그런 소설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9-20 09: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9-20 1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