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저녁의 불편함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 지음, 김지현(아밀)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여동생은 내가 코트를 벗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는 유일한 사람이다. 해결책을 생각해내려고 애쓰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 활동으로 저녁을 보낸다. 가끔은 그 애의 해결책이 정말로 효과가 있을까 봐 두렵다. 내가 동생에게서 무언가를 가져와버릴까 봐. 왜냐하면 우리에게 아직 욕망이 있는 한 우리는 죽음으로부터 안전하기 때문이다. 밭에 두엄을 뿌린 날 풍기는 숨 막히는 냄새처럼 우리는 목장의 어깨에 늘어뜨려져 있는 것이다. 내 붉은 코트의 빛이 바래는 것과 동시에 기억 속 맛히스 오빠의 모습도 흐려져간다.       p.97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겨울날, 네덜란드의 작은 농장에 사는 열 살 야스는 오빠와 동생, 가족들과 함께 평소와 다를 것 없는 식사를 한다. 그날 아침 큰오빠인 맛히스는 친구 두어 명과 함께 동네 스케이트 대회에 나가기로 되어 있어서 먼저 호수에 갈 예정이었다. 20마일짜리 경주였는데, 우승자에게는 겨자를 넣은 소 젖통 스튜 한 그릇과 2000년이라는 올해 연도가 박힌 금메달이 수여되는 대회였다. 야스는 오빠를 따라 가고 싶었다. 하지만 오빠는 야스가 더 크면 데려가 주겠다며, 털모자를 쓰고 미소 지었다. 오빠는 어두워지기 전에 오겠다고 했지만,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호수 반대쪽 얼음이 너무 약했고, 사람들이 호수에 빠진 오빠를 꺼냈을 때는 이미 죽은 상태였다.

 

그 소식을 듣는 엄마, 아빠의 얼굴은 시체처럼 창백했고, 야스는 그 모든 일이 착오였다고 누군가 말해주었으면 했다. 집에 있던 크리스마스트리가 치워졌고, 가족들의 삶은 칠흑 같은 암흑이 되어 간다. 죽음을 이해하기에 야스를 비롯한 아이들은 너무 어렸다. 그저 죽음이라는 것이 순식간에 파도처럼 덮쳐 온다는 것, 그리고 다시 돌이킬 수가 없는 거라는 걸 막연하게 느꼈을 뿐이다. 어른들이라고 어린 아들의 죽음을 쉽사리 받아들이고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가족들의 식사 시간은 점점 짧아지고, 함께 미소 지을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상실감을 감당하지 못하는 부모들은 남겨진 아이들을 보살필 마음의 여유가 없었고, 야스는 오빠가 죽던 그날 입고 있던 빨간 코트를 한여름이 되어도 벗지 못한다. 마치 입고 있는 코트가 세상의 모든 상실과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줄 수 있기라도 한 듯이 말이다.

 

 

 

내 안의 폭력만이 소음을 일으킨다. 소음은 점점 커져간다. 마치 슬픔처럼. 벨러의 말마따나 오로지 슬픔만이 공간을 필요로 한다. 반면 폭력은 공간을 그냥 차지한다. 나는 죽은 나방을 손에서 떼어내 눈밭에 떨어트린다. 그리고 장화 신은 발로 그 위에 눈을 밀어 덮는다. 싸늘한 무덤이다. 화가 난 나는 축사 벽에 주먹을 휘둘러 손마디가 까지도록 후려친다. 이를 악물고서 축사 칸막이들을 바라본다.         p.326

 

이 작품은 네덜란드의 작가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가 스물일곱 살에 발표한 첫 소설이다. 그녀는 이 작품으로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히는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연소 수상작가가 되었다. 이 작품은 여러모로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극중 야스의 가족처럼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의 가족도 농사를 짓고 목축을 했으며 네덜란드 개혁교회 신자인 부모님 아래 성경 말씀을 철저히 지키며 성장한 것이다. 그리고 작가 역시 세 살 때 오빠를 잃었고, 그 상실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려 6년에 걸쳐 집필한 소설이 바로 이 작품이다. '글을 쓴다고 치유되는 건 아니지만, 글을 쓸 때만 외롭지 않을 수 있었다'는 작가의 말이 너무도 공감되는 그런 작품이기도 했다.

 

열살 소녀의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라 슬픔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어떻게든 죽음을 이해하고 싶은 어린 소녀가 경험하는 폭력성과 성적 욕구, 그리고 결국 자신의 신체에 위해를 가하게 되는 과정은 너무도 마음이 아프다. 야스는 엄마의 등이 점점 더 굽어가는 모습을 보며 슬픔은 사람의 척추에까지 올라오는 거라고 이해하고, 아빠에게서 흘러나오는 슬픔이 죽은 소들에게서 나오는 묽은 똥과 피와 닮았다고 느낀다. 구제역으로 인해 애지중지 키운 소들이 죄다 살처분되는 현장에서도 아이들의 눈을 가려주지 않는 부모의 모습과 어른들의 보살핌에서 벗어난 아이들이 무심코 벌이는 행동들이 불편하고, 고통스럽게 느껴졌지만, 어쩐지 그것이 작가의 의도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이 작품은 시종일관 고통과 상처를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으로 들어가 직접 경험하게 해주고 있으니 말이다. 죽음과 맞닥뜨릴 만큼 강한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당연히 죽음을 상대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누구나 죽음과 마주하게 되는 순간이 온다. 그럴 때 나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해 보게 만들어 주는 작품이었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도 그 잔상과 여운이 오래도록 남는 작품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