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 로드 - 사라진 소녀들
스티나 약손 지음, 노진선 옮김 / 마음서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애가 죽기라도 한 거야?”
“아마 그럴 거야. 확실한 건 아무도 몰라.”
여학생은 이끼 위에 침을 뱉고는 나른하게 메야를 바라보았다.
“이 시궁창 같은 마을에서 성자가 되고 싶으면 연기처럼 사라지면 돼. 그럼 다들 널 얼마나 사랑했는지 말하려고 경쟁할 테니까.”    p.115

 

언덕이 겨울의 허물을 벗고, 녹은 서리가 땅 밑으로 흘러가고, 빛이 밤을 다 먹어 치운 뒤 곳곳에 침투해 환히 밝히는 계절이었다. 밤에도 태양이 지지 않는 백야, 렐레는 낡은 볼보를 몰고 밤마다 실버 로드를 따라 딸 리나를 찾아 다닌다. 그저 잠을 자느라 낭비하기에는 너무 짧은, 그에게는 너무 소중한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이제 곧 햇볕이 서서히 사라지고, 어둠 속에서 모든 것이 썩고 얼 것이며, 겹겹의 폭설 밑에 감춰질 것이다. 지난 3년간 리나를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3년 전 렐레의 열일곱 살 딸 리나는 아침 일찍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사라졌다. 목격자도 단서도 없이 사건은 미궁에 빠졌지만, 렐레는 여전히 포기하지 않고 딸을 찾기 위해 어두운 숲과 안개 낀 습지, 인적 드문 농가와 폐가를 샅샅이 수색하고 있다. 그런데 또 다시 동일한 사건이 반복된다. 리나와 너무도 닮은 외모와 키까지 같은 열일곱 살 소녀가 캠핑장에서 실종된 것이다.

 

한편, 열일곱 소녀 메야와 엄마 실리에는 인터넷으로 만난 남자 토르비요른의 집으로 이사를 온다. 그들 모녀는 지긋지긋하게 가난했고, 실리에는 자신들을 돌봐줄 남자가 있다면 기꺼이 그의 집으로 향했다. 그렇게 수십 번의 이사를 거치며 메야 모녀는 스웨덴 북부의 적막한 마을에 이르렀다. 딸이 집에 있든 말든 남자와 거침없이 섹스하고, 집에서는 거의 속옷 차림으로 돌아다니며, 그림을 그릴 때가 아니면 약에 취해 있거나 술을 마시는 엄마로부터 메야는 벗어나고 싶었다. 하지만 엄마가 얼마나 파괴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지 알기에, 그런 엄마를 지키고 감시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시달리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메야는 인근에 사는 삼형제의 막내 칼 요한을 만나게 되고 그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의 가족은 기술문명과 교육을 거부하고 숲에서 자급자족하는 삶을 살아가는 독특한 사람들이었는데, 안정된 가정을 꿈꿨던 메야는 칼 요한과 그의 가족들과 함께 살기로 하고 그들의 집으로 들어가게 된다.

 

 

살아 있는 밤은 뒤틀린 나무 사이로 축축한 입김을 거르고, 호수와 강 위로 안개를 날려보내 춤추게 만들었다. 어둠이 도사리고 있는 곳은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았다. 렐레는 자동차 보닛에 몸을 기댄 채 담배 연기와 습기를 한껏 들이마셨다. 어둠 속에서 전조등이 겨우 3,4킬로미터 앞까지 밝혔다. 인적 없는 실버 로드가 그를 기다리며 죽음의 덫처럼 옆에 누워 있었다. 밤새 뒤지고 다녀봐야 길을 잃을 것이다.    p.133~134

 

이야기는 3년 전 실종된 딸을 찾기 위해 여전히 수색을 멈추지 않는 렐레와 제대로 된 가정을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소녀 메야가 남자친구네 가족과 함께 지내게 되는 두 갈래로 진행된다. 전혀 상관없는 것처럼 따로 전개되던 두 이야기는 또 한 번의 여름이 지나고 다시 본업인 고등학교 선생으로 돌아간 렐레가 전학 온 메야를 만나게 되면서 조금씩 교집합이 생겨난다. 렐레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홀로 외로워 보이는 메야가 신경이 쓰였고, 그녀를 보면서 딸 리나를 떠올린다. 메야 역시 실종된 딸을 찾아 다니는 아빠에 대한 소문을 들었고, 선생님이 완전히 버림받은 사람처럼 불쌍해 보여 마음이 쓰인다. 차곡차곡 두 인물의 시선을 따라 번갈아 가며 전개되는 이야기는 시선을 뗄 수 없을 정도로 긴장감을 쌓아가며 후반부의 섬뜩한 반전에 다다른다. 과연 실버 로드에서 사라진 소녀들은 어떻게 된 것일까?

 

스티나 약손의 데뷔작인 이 작품은 2019년 ‘유리열쇠상’ 수상작이다. 북유럽 최고의 장르문학에 수여하는 유리열쇠상을 신인 작가가 데뷔작으로 받는 경우는 전례가 없는 일이다. 국내에 출간되었던 유리열쇠상 작품들만 보더라도 페터 회의 <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요 네스뵈의 <박쥐>, 그리고 아날두르 인드리다손, 스티그 라르손, 유시 아들레르 올센 등 엄청난 작가들이 포진하고 있으니, 그 위상을 짐작할 것이다. 그만큼 이 작품은 탄탄한 구조와 매혹적인 이야기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나 뛰어난 계절과 장소에 대한 묘사와 섬세한 인물들의 심리 묘사가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초현실적으로 느껴지는 백야의 풍경은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기에 더욱 매혹적이다. 푸른색이 감도는 무섭도록 적막한 숲과 진물이 나는 상처처럼 퍼지며 김이 모락모락 나는 늪, 바닥이 안 보일 정도로 깊고 시커먼 호수, 그리고 그림자들이 춤을 추는 자작나무 가지 아래서 들리는 바스락 소리, 검은 수면 위에 둥둥 떠 있는 눈부시게 새하얀 수련... 그 숲의 심연에 고여 있는 어둠을 마치 손에 잡힐 것처럼, 바로 눈 앞에 있는 것처럼 묘사하고 있어 누구라도 책을 읽는 동안 스웨덴 북부의 적막한 마을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만드는 작품이었다. 섬뜩하지만 매혹적이고, 강렬하지만 우아한, 아주 놀라운 북유럽 스릴러를 만났다. 스티나 약손의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