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는 계속 읽는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그래서 우리는 계속 읽는다 - F. 스콧 피츠제럴드와 <위대한 개츠비>, 그리고 고전을 읽는 새로운 방법
모린 코리건 지음, 진영인 옮김 / 책세상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련한 추억과 함께 다시 읽고 싶은 책이 적어도 한두 권쯤은 있게 마련이다. 예컨대 중학교 시절에 읽었던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나 그 무렵의 학생들에게 회자되던 J.D.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대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교 시절에 읽게 되는 한국 단편문학과 그때 읽었던 이상의 <날개>나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 등은 요즘과 같은 봄의 어느 날 아지랑이처럼 피어오르는 그때의 추억과 함께 다시 읽고 싶은 책의 목록이 될지도 모르겠다. 이제는 고인이 되신 박경리, 박완서 작가의 <김약국의 딸들>이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함께 윤동주 시인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도 잊혀지지 않는다.

 

이렇듯 나는 석양처럼 번지는 그리움으로 인해 예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책에 이끌린다기보다 그리움에 이끌리는 것이다. 그렇다고 아무 책이나 무작정 이끌리는 건 결코 아니다. 읽었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읽으려면 추억만으로는 부족한 어떤 유인이 따로 존재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한 권의 책을 두어 번 다시 읽었던 적은 종종 있었다. 그러나 열 번, 스무 번 반복해서 읽었던 책은 아마 없었지 싶다.

 

"성인이 된 다음 내가 《개츠비》를 자진해 쉰 번도 더 읽고, 대학에 신입생들이 들어올 때마다 《개츠비》를 강의하고, 전국을 돌며 호기심 많은 독자들 앞에서《개츠비》에 대해 열렬하게 이야기하리라는 사실을 그때 알았다면 나는 깜짝 놀랐을 것이다." (p.12)

 

비평가이자 언론인인 모린 코리건은 자신의 저서 <그래서 우리는 계속 읽는다>의 '들어가는 말'에 이렇게 썼다. 말하자면 그녀는 <위대한 개츠비>의 열렬한 팬이자 애독자인 셈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위대한 개츠비>에 숨겨진 많은 상징들(물, 시간, 타이타닉호, 온도, 색깔 등)과 정교하게 짜여진 작품의 구조, '시와 같은 힘찬 문체' 등을 설명하면서 피츠제럴드의 삶과 소설의 관계를 여러 증거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모린 코리건의 이 책은 자신의 경험과 감성을 살린 <위대한 개츠비>에 바치는 저자 자신의 '사랑 고백'인 동시에 피츠제럴드와 관련된 광범위한 취재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학문적 혹은 전기적으로 무언가를 더 보탤 생각은 없다. 이 책은, 무엇보다도 내가 가장 사랑하는 소설로 떠나는 개인적인 여행이다. 나 말고도 많고 많은 사람들이《위대한 개츠비》를 사랑한다. 나와 함께 《개츠비》를 다시 읽고 싶어 하는 사람들, 아직 읽지 않았지만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나는 이 책을 썼다." (p.25)

 

사실 나는 저자인 모린 코리건에 대한 인상이 썩 좋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몇 년 전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가 영어로 번역되어 미국에서 출간되었을 때 어느 라디오 방송에서 그녀가 했던 혹평을 나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인들에게 문학적인 장르가 있다면, 그건 교묘하게 눈물을 짜내는 언니(sister) 취향의 멜로드라마"라고 말하면서 "<엄마를 부탁해>는 확실히 그 중에서도 집권 여왕격"이라고 꼬집었다. 그녀의 비평이 개인적인 것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나는 그녀가 했던 말이 타국의 문화에 대한 지적 기반이 없는 지극히 국수주의적인 언사였다고, 문화적 기반이라야 불과 200년이 조금 넘는 문화 열등국의 한 언론인이 밝힌 열등의식의 분출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렇지만 나는 F.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마저 폄하할 생각은 없다. 나는 적어도 <위대한 개츠비>를 두 번 이상 읽었고, 나 나름의 리뷰도 써본 적이 있지만 여전히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어떤 부분이 작품 속에 존재하고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웠지만, 도덕적으로는 혼탁했던 1920년대 미국의 '재즈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로서 피츠제럴드는 단연 돋보이는 작가였다고 생각한다. 내가 <위대한 개츠비>에 대하여 모린 코리건처럼 '미국의 계급을 다룬 가장 위대한 작품인 동시에 냉혹한 현실을 서정적 언어로 전달한 고전"이라는 찬사를 보내지는 못할지언정 피츠제럴드가 그 시대의 미국을 가장 설득력 있게 묘사한 작가라는 데는 나로서도 이견이 없다.

 

"나는 이 책 전체에 걸쳐 다음의 문장을 인용해왔지만, 한 번 더 전부 다 인용할 가치가 있다. 개츠비는 녹색의 불빛을 믿었다. 해가 갈수록 우리 앞에서 멀어지는, 절정의 순간과 같은 미래를 믿었던 것이다. 그때는 그것이 우리한테서 달아났다. 하지만 무슨 상관인가 - 내일은 우리가 더 빨리 달리고, 더 길게 팔을 뻗으면 된다············ 그러다 보면 어느 맑은 아침에 ----/그래서 우리는 계속 나아간다, 흐름을 거스르는 보트들처럼, 끊임없이 과거로 떠밀리면서도. 이 말들은 절대 늙지 않는다." (p.375)

 

우리나라에도 모린 코리건과 같은 문학가가 여러 명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평생을 괴테 문학의 연구에 몰두했던 전영애 교수나 무라카미 하루키의 문학세계에 푹 빠져 사는 임경선 작가 등은 내가 아는 그런 부류의 사람들이다. 어떤 순간이 "수많은 순간들의 퇴적 속에 깊이 묻혀 있다"고 했던 장 그르니에의 말처럼 한 권의 책을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우리는 자신의 삶에 동일한 경험을 반복해서 퇴적시킴으로써 더 단단하고 반듯한 삶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때 우리가 읽은 책은 한 권의 소설로서 존재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삶을 주관하는 하나의 텍스트, 삶의 은유로 존재하게 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