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계절의 여왕 5월은 끝내 오고야 말았다.
온 국민의 설움과 분노를 뒤로 한 채 말이다. 5월의 신간 에세이를 휘작휘적 뒤적이다 몇 번인가 아득해졌다. '이게 무슨 소용이람.'하는 마음이 나를 아득한 절벽으로 밀어부쳤다. 세월호 희생자들이 우리에게 남긴 의미를 천천히 곱씹는 한 달이 될 듯하다.
나는 전문적인 에세이스트보다는 오히려, 또는 산문을 위주로 쓰는 작가보다는 오히려 시인이 쓴 산문을 좋아한다. 음감이나 박자 관념이 없는 내가 왜 이런 버릇이 들었는지는 모르겠다. 시인이 쓴 산문을 읽을 때 나는 글 속에서 리듬감을 느끼곤 한다. 마치 시를 읽는 것처럼 말이다. 천양희 시인의 산문도 그랬으면 좋겠다.
명상이나 삶의 가르침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틱낫한 스님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딱히 깊은 사색을 즐기지 않는 나도 스님의 책을 두어 권 소장하고 있다. 물론 한참 전에 산 책이다. 요즘 들어서는 이상하게도 주제가 조금 무겁다 싶으면 고개가 외로 꼬아진다. 그러던 내가 이 책에 눈길이 간 걸 보면 세월호 참사의 영향이 아닐까 싶다. 나는 어차피 죽는 날까지 누군가에게 영원한 타인이니까.
얼마 전에 읽었던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는 남자인 내가 읽기에는 거북한 책이었다. 까놓고 말하면 '당신이 뭘 안다고?'하는 말이 목까지 차올랐던 책이다. 그 저변에는 아마도 작가의 이분법적 사고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남자와 여자라는, 혹은 여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남자와 같은. 같은 인간의 입장에서 차이에 대해 말하는, 좀 더 관대하거나 따뜻한 시각을 기대한다. 이 책을 선택한 것은 일종의 도전이다.
<7년의 밤>하면 정유정! 하고 굴비두릅처럼 떠오르는 까닭은 그녀의 소설이 워낙 유명하기도 했거니와 이제 그녀도 어느덧 중견작가의 반열에 올라섰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요즘에는 여행기를 통 읽지 않았다. 마음이 어두워서였다. 이 책은 부디 가볍고 밝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