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한 소년이 있었다.

500년 이상의 장구한 세월 동안 한 왕조에 의해 통치된 조선왕조를, 수천 년 단일민족을 유지한 한민족을 왜 자랑스러워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을 수 없었던 한 소년.  자신의 조상은 단 한 번도 조선의 통치자가 된 적 없고, 그 권력층에 빌붙어 국정을 논한 적도 없는데 왜 그것이 위대하고 자랑스러운지 소년은 도통 그 까닭을 찾을 수 없었다.  어쩌면 그것은 맹목적 충성을 가르치던 획일적 교육에 묵묵히 순응하며 용기 없음의 대명사 딱지를 덕지덕지 붙인, 치욕적인 조상들이 소년에게 유산으로 물려준 굴욕감의 상징일런지도 몰랐다.

 

우리가 갖고 있는 감정의 주머니에서 가장 제멋대로인 '분노'라는 놈은 예측할 수 없는 부지불식의 순간에 불쑥불쑥 나타나곤 하는데, 그런 연유로 나는 감정의 집합에서 '분노'는 예외적인 원소로 치부하곤 한다.  그런 면에서 소년과 나는 하나이며 시간의 벽을 걷어 치운다면 서로를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몸일 수도 있겠다.

 

조상들로부터 '용기 없음과 신념의 부재'라는 심드렁한 DNA를 물려 받은 소년도 조상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변한 것이라곤 '암클'이 '국어'로, '중국어'가 '영어'로, 유교 이데올로기가 반공과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로 바뀌었을 뿐, 학교 앞 문방구에서 수없이 보았던 형형색색의 것들을 세세히 보여준 후 학생 스스로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그런 교육은 단 하 번도 받아보지 못했다.  다양성이 존재하지 않는 획일적 교육에서는 좋고, 나쁨이 존재할 수 없었다.  좋고, 나쁨의 선택적 기준이 없다보니 신념은 고사하고 시류에 편승하여 안일무사를 추구하는 잔재간만 늘었다.

 

80년대 초부터 노벨 문학상 수상작을 빼놓지 않고 읽었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골딩, 야로슬라프 세이페르트, 클로드 시몽, 올레 소잉카, 조지프 브로드스키, 나기브 마푸즈 등등.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마저도 그만두었다.  신념과 상상력이 없는 사람은 노벨 문학상 수상작을 읽기 어렵다.  읽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글자와 행간의 무질서를 조화롭게 바로잡을 수도 없었다.  소년은 자신이 그야말로 글자를 읽을 수 있으되, 이해하지 못하는 제2의 문맹임을 자각하게 되었다.

 

군부 독재가 무너지던 어느 날, 사람들은 서울 시청앞 광장에 앉아 "자유가 너희를 진리케 하리라."고 외쳤다.  소년도 노벨 문학상 작품들을 다시 이해할 수 있겠거니 믿어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문민 정부는 "선착순 다섯 명!"을 외치며 '뺑뺑이'를 돌리듯, '경쟁'이라는 또 다른 무기로 감정의 보따리를 앗아갔다.  소년은 이제 생각의 기능도 거세당한 무기력자가 되었다.

 

다양성을 경험하지 못하면 신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념은 분노를 낳고, 분노는 변화를 낳고, 변화는 상상력을 낳고, 상상력은 용기를 낳고, 용기는 다시 무한대의 영역으로 도전하게 한다.  그것이 인류를 발전케한 원동력이며 부패한 삶에 생기를 불어 넣는 창조자의 숨결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연쇄고리를 끊고, 그렇게 길들여진 사람을 '착하다'고 말한다.

 

소년도 자라서 어른이 되었고, 그도 이제 도무지 그의 삶에서는 신념도 용기도 찾아볼 수 없는 '착한' 사람으로 불린다.

킴 만레사가 사진을 찍고 사비 아옌이 기록한 <16인의 반란자들>.  노벨문학상 수상자 16인을 만나기 위한 3년여의 대장정.  나는 이 책을 읽고 노벨문학상 수상작을 다시 읽게 되었다.  하나의 대안을 놓고 찬,반을 결정하는 그런 사회가 아닌, 누구나 다양함 속에서 스스로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존재하는 사회를 꿈꾸게 되었다.

 

귄터 그라스는 말한다.

"<양파껍질을 벗기며>만큼 독자들의 편지를 많이 받아본 적이 없어요.  독자들이 뭐라고 한 줄 아시오?  드디어 손자들과 혹은 조부들과 전쟁에 대한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고 합디다.  결국 우리는 모든 논쟁을 견뎌냈어요.  우리는 반드시 얘기해야 해요.  치명적인 트라우마까지, 그 모든 것을.  지금까지 나로서는 할 수도 없었고 알 수도 없었지만, 기왕에 이렇게 된 것에 대해 무척 만족하고 있소.  내가 겪었던 젊은 시절은 얘기하는 게 썩 유쾌하지 않았지만, 나는 그렇게 하기로 결심했어요.  우리 세대는 이 문제를 결코 뛰어넘을 수 없고, 어떤 종지부도 찍을 수 없을 거요.  그러나 나는 그것에 관해 계속해서 쓸 거라고 약속할 거요.  나는 계속해서 입을 열 것이고, 나의 적들은 참을 수밖에 없을 거요."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