째즈, 레개, 블루스 ...   지금 세계의  음악은 흑인들의 음악! 더 깊이 들어가면, 아프리카의 음악이 석권을 하고 있다. 그러데, 우리는 아프리카를 죽음의 검음 대륙으로만 생각한다. 그리고 사막과 풍토병, 내전, 질병으로 죽어가는 땅이라는 선입관으로 가망없는 대륙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과연 누가 지금의 아프리카의 절망을 만들어냈는가? 그리고 과연 아프리카의 문명은 인류에게 쓸모없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하는 책이 바로, 흑인 잔혹사이다.

 

예전에 '처음읽는 아프리카의 역사'를 읽은 기억이난다. 철저히 아프리카를 백인들이 짓밟아, 짓이기고, 기아에 허덕이게 했다. 그리고 인류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켜, 사하라 사막의 규모를 늘리고 있다. 백인이 주범이고, 나머지 인류가 공범이 되어 아프리카를 죽이고 있다. 그리고 그들을 무시하고 있다.

 

이 책은 아프리카 흑인들의 고통을 노예무역에서 노예생활, 노예해방, 슬럼가에 남겨진 흑인들의 삶을 통해서, 현실의 암흑을 아프리카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으로  째즈와 블루스로 승화시킨 역사를 잘그려내고 있다.

 

저자는 우리의 '한'을 째즈에 녹여낸다면, 우리도 진정한 수준급의 째즈가 발전하리라는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나는 여기에 한가지를 더하고 싶다. 우리는 '한'의 정서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해학'도 있다. 수탈당하고 짓밟히지만, 강하게 일어서고 양반들과 지배층을 풍자와 '해학'으로 그들을 조롱한다. 우리의 '한'과 '해학'을 째즈에 녹여 낸다면, 진정으로 우리 스타일의 째즈와 블루스를 만들어내지 않알까?

 

몇일전, 도서관에서 째즈 공연을 들었다. 째즈를 들으며, 흑인들의 '쏠'을 느끼려했다. 그리고 우리의 '한'과 '해학'의 정서를 느끼려했다. 아직, 노래하시는 분이 '흑인 잔혹사'를 읽지 않아서 그런지, 아니면 내가 째즈에 초보라서 그런지, 이를 느낄 수 없었다. 그러나, 언젠가는 느끼고 싶다. 왜? 우리는 다 같은 인간이니까!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완용 평전 - 극단의 시대, 합리성에 포획된 근대적 인간 한겨레역사인물평전
김윤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도 평전이라고 썼나? 종이값이 아깝군! 박한용의 라디오백년 전쟁에서 이완용편을 봐라! 평전은 이렇게 써야지.http://www.youtube.com/watch?v=Q2fuzSln16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회영과 젊은 그들 - 아나키스트가 된 조선 명문가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행복

우리역사에서 과연 노빌레스 오빌리쥐를 실천한 사람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있다고 대답할 수 있는 것은 이회영 일가가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모든 부와 명예를 버리고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서 만주로 중국 대륙으로 가신 분! 이러한 분이 있기에 행복한다.

2. 고민

그러나 한편으로는 행복해 할 수만은 없다. 자신의 모든 것을 던져가면서 이루려했던 새로운 대한민국의 모습이 지금의 모습은 아니기 때문이다. 친일파가 권력을 잡고, 친일파가 독립운동가를 무시하고 음해하고 모해하는 현재의 상황을 보면서, 너무도 가슴이 아프고 씁쓸해진다. 친일을 두둔하고, 강자의 편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것을 즐기는, 일베충들을 보면서 과연 어디서부터 바로 잡아야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밀려든다.

3. 아쉬움

이책을 읽기 전에, 이덕일의 '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 전前사'와, '근대를 말하다.'라는 책을 읽었다. 이러한 책과 상당 부분이 '이회영과 젊은 그들'이 겹친다. '왕조의 마지막 두 풍경', '일가 망명', '독립군의 요람 신흥무관학교'는 '근대를 말하다'와 일치하는 부분이 많고, '만주 운동의 새바람'과 '신채호의 순국'은 '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전사'와 일치한다. 한 개인이 쓴 것이기에 책을 읽다가 겹치고, 이전에 읽었던 부분인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고 싶었던 나에게는 조금 아쉽기도 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므로 해서 이전에 읽었던 두책이 다시금 제대로 이해되는 것도 사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회영과 젊은 그들 - 아나키스트가 된 조선 명문가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도 재미있고 감동적인데, 재미없다고 하는 사람은 도대체 왜? 재미가 없을까? 혹시 보수라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학 연구. 2018-09-09 0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은 한민당(한국민주당)입니다. 한민당은 일제하 친일보수 호남지주출신들이 주축이 되어서 창당되어서 광복이후 보수정치를 해 온 집단이며 오늘날에는 진보의 프레임으로 변신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김성수,김연수,조병옥,장택상,송진우,장면 등이 한민당의 주요인물이며 이들이 오늘날 더불어민주당의 창설자들입니다. 다시 말하면 친일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입니다.이러한 사실은 한국현대사를 정독하면은 당연히 아는 사실 아닙니까?
 
호치민 혁명과 애국의 길에서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61
다니엘 에므리 지음, 성기완 옮김 / 시공사 / 1998년 1월
평점 :
품절


1. 호치민에 대한 다이제스트

시공사에서 나온 호치민이라는 책은 호치민에 대한 다이제스트판이다. 호치민의 생애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한다면 권할만하다. 그러나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원한다면, 900페이지 짜리 평전을 추천하고 싶다.

베트남의 역사에 대한 책을 읽고, 호치민에 대해서 보다 잘 알고 싶었다. 그러던차에 '호치민 혁명과 애국의 길에서'라는 책을 만났다. 호치민에 대해서 보다 깊숙히 알 수 없어서 개인적으로는 만이 아쉬었다. 그러나, 이책은 응우옌 아이 꾸옥, 즉 애국으로 자신의 이름을 바꾸고, 자신의 뜻을 드러낸다는 호치민으로 개명을 하면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 일평생을 바친 호치민의 삶에 대해서 잘 요약해 냈다. 더욱이 수많은 사진은 호치민의 삶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었다.

2. 아쉬움

그러나, 뒤에 첨부된 자료를 본문에서 녹여서 썻다면 더욱 좋았다는 생각이들었다. 글을 읽으며 보다 많은 정보를 얻고 싶었지만, 말그대로 다이제스트였기에 아쉬움이 많았다.

베트남 멸망기의 모습은 전형적인 오리엔탈리즘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도 아쉽다. 프랑스인이기에 베트남병합의 정당성을 그 자신도 모르게 표명하고 있다. 가망성이 없는 베트남을 프랑스가 식민화했다는 듯한 분위기와, 강력한 투쟁을 벌였던 근왕운동가를 비롯한 베트남 애국자들에 대한 서술은 빈약하기 짝이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