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내 모든 것 안녕, 내 모든 것
정이현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이현 작가의 <달콤시>는 나에게 어떤 기억으로 남아 있을까. 어느 연상녀와 연하남의 사랑 이야기 정도? 자세한 건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만 내가 그 책을 읽었다는 것밖엔. 그리고 또 시간이 흘러, <안녕, 내 모든 것>을 읽었다. 내 삶에 모든 것의 총합은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내가 그동안 읽어온 것들, 통장에서 줄어드는 숫자들, 집안의 보잘 것 없는 가재도구 정도일까. , 사람들과의 관계가 빠졌구나. 어제 한 학번 아래 후배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의 죽음이 실감나지 않는다, 그리고 그에 대한 기억은 더더욱 나지 않는다.

 

정이현 작가는 자신이 십대시절을 보낸 1990년대를 이 소설 <안녕, 내 모든 것>의 시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공간은 서울. 삼총사를 방불케 할 정도로 사이가 좋았던 세 명의 친구가 있었다. 준모, 세미 그리고 지혜. 준모는 뚜렛 증후군과 틱 장애로 입에 욕을 달고 산다. 보통 사람이어야 하는 사회에서 준모는 부적응자였을까. 중학교 입학식날, 그와 친구가 된 세미, 지혜의 삼각 결정 구조가 완성된다. 중세 이래, 삼위일체(trinity)에서 유래한 삼각형이야말로 완벽한 구조였다고 했던가. 기발한 기억력의 보유자 지혜는 일부러 평범하기 위해, 뛰어난 기억력을 성적 향상에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소설을 이끌어 나가는 화자이자 나는 세미다. 세미가 지혜를 찾으면서 소설은 플래시백으로 과거를 헤집는다.

 

성적도 보통, 외모도 보통의 나 윤세미는 한남동의 유엔빌리지에 사는 유복한 십대 소녀다. 다만 가족 구성이 좀 복잡하다. 국내 굴지의 건설회사를 운영하는 할아버지, 할머니 그리고 고모와 산다. 엄마는 다단계 사기를 치고, 수배령이 떨어지기 직전 아슬아슬하게 미국 LA로 떠났다. 사랑 때문이라면 팔 다리 하나쯤은 없어도 살 수 있다는 결심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 부모의 그늘에서 숨막히는 공간인 한남동의 유엔빌리지로 이전해 온 나. 그녀에게는 모든 것이 시큰둥하다. 과연 이 성적으로 대학에 갈 수 있을까? 이제는 글쓰는 보통 여자가 아닌 작가의 페르소나가 얼핏 보이는 느낌이 들었다.

 

나는 궁금했다, 어떻게 이런 일상의 이야기들에서 맛깔난 소설의 얼개를 잡아냈는지 말이다. 하긴 그러기에 정이현 씨가 작가겠지. 소설이 시전하는 서사 구조보다 곳곳에 담긴 시대의 흔적이 개인적으로 더 반가웠다. 김일성이 죽었을 때, 난 어디에 있었지? 그리고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을 때 또 나는 어디에 있었던가. 소설 속의 지혜처럼 뛰어난 기억력은 아니지만, 삶의 한 귀퉁이 차지하는 대사건의 시절은 오롯하게 기억한다. 전자는 군대에 그리고 후자는 정선 아우라지에서 절친과 캠핑을 하며, 이웃 텐트에서 쏘주를 얻어 마셨다.

 

시절을 좀 빗겨 나가긴 했지만 준모가 애착하던 서태지와 아이들에 대한 추억도 얼추 맞출 수가 있었다. 무엇보다 한 시절을 그렇게 함께 보낼 수 있었던 친구들의 존재가 소설을 읽으면서 그렇게 마음에 와 닿을 수가 없었다. 친구란 정말 아무도 부를 수가 없을 때, 주저 없이 연락할 수 있는 그런 사이가 아닐까. 물론 소설 <안녕, 내 모든 것>에서는 엄청난 비밀을 공유하게 되면서 관계가 부서지는 것을 경험해야 했지만 말이다. 아침에 마지막 부분으로 갈수록 간담이 서늘해지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너무 빨리 어른이 되어 버린 세미를 둘러싼 풍경이 언뜻 상상이 되지 않는다. 엄마를 잃고 또 아빠를 잃은 다음, 들어가 살게 된 적막하고 살벌한 공간에서 고모만이 유일한 위안이었다. 하지만 그녀 역시 잘 나가는 검사 신랑을 얻어 출가하지만, 그녀를 기다리는 것은 해피 엔딩이 아니었다. 물론, 세미가 짝사랑한 준모의 과외 선생님 역시 마찬가지였다. 조금은 신파 같은 설정이긴 하지만 그조차도 지나간 시대의 한 풍경 같아 좋았다. 어쩌면 지나간 시간은 모두 그렇게 보기 좋게 채색되는 건 아닐까 하는 착각마저 들 정도로.

 

아싸라한 결말보다 반쯤 완성된 <안녕, 내 모든 것>의 결말이 마음에 든다. 틱 장애를 고치기 위해 스칸디나비아 반도 어디쯤에 있다는 덴마크로 간 준모의 현재는 끝내 소설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두 친구의 재회로, 그리고 비밀찾기에 나서는 것으로 소설은 끝을 맺는다. 그냥 친구를 만나 너의 근황은 어떠니라고 묻고 싶어졌다. 나도 오늘 친구를 만나러 간다, 그리고 너의 근황은 어떠냐고 물을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