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생활 풍경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아모스 오즈 지음, 최정수 옮김 / 비채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방의 작가 아모스 오즈의 책을 말로만 듣다가 처음 읽었다. 현대 이스라엘 출신 작가의 글은 처음이지 싶다. 아모스 오즈의 이 책을 술에 비유하면 보드카 정도에 해당하지 않을까. 무색무취의 무미건조하지만, 일단 한 번 들이키고 나면 목울대를 울리게 되는 그런 찡한 맛이라고나 할까.

 

사실 책은 오래 전에 읽었는데 리뷰가 늦어졌다. 보통 책을 읽자마자 리뷰를 쓰곤 하는 편인데 웬일인지 이 책에는 해당이 되지 않았나 보다. 그럴 경우에 보통 좋은 점과 나쁜 점이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는 법이다. 뇌리에 인상적으로 남은 이야기들은 거의 각인의 수준이 되고, 그렇지 않은 부분들은 몽땅 다 휘발되어 버린다는.

 

사실 멀리 떨어진 유대인 국가 이스라엘에 대해 관심을 갖기란 쉽지 않다. 건국 이래 팔레스타인과 주변 아랍국가들과의 끊이지 않는 분쟁으로 폭력이 일상화된 경찰국가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야 할까. 아무리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텔일란이라는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했다고 하지만 너무 현실적이지 않는 공간 배치가 소설의 배경이 되는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를 더욱 비현실적으로 만들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농장에서 허드렛일을 마다하지 않는 아랍청년, 이제는 다 커서 유년의 흔적이 없어진 조카를 기다리는 노처녀 의사 선생님, 불의의 사고로 자식을 잃고 노래모임을 갖는 가운데 비극의 현장을 직접 화자 등 다양한 삶의 속삭임이 들려온다. 아모스 오즈가 꿈꾸는 이상향에 대한 작가적 상상의 산물이라고 해야 할까.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이스라엘 군의 불도저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삶을 터전을 깔아뭉개는 지극히 초현실적인 작금의 사태는 도대체 어떻게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자꾸만 이스라엘 국가 폭력에 대한 분노가 아모스 오즈의 작품에 온전하게 집중하지 못하게 발목을 잡는다.

 

<땅 파기>는 선민의식을 가진 유대인들이 얼마나 그들의 땅에 집착하는지에 대한 은유로 다가온다. 로마시대 디아스포라 이래, 처음으로 자신들의 조국을 가지게 된 유대민족의 땅에 대한 집착은 상상을 초월한다. 우파 정치인 출신 아버지는 유대인 대 반유대주의자의 대결이라는 구도로 세상을 바라본다. 우리편이 아니면 죄다 적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는 아직까지도 팔레스타인에 평화정착을 가로 막는 제일의 장애물이 아닐까. 전쟁과 폭력으로 어렵게 얻은 땅을 포기할 수 없다는 그네들의 정신적 압박이 한밤중의 환청으로 혹은 환상으로 그렇게 다가오는 건 아닌지. 잠재된 두려움의 발현이 얼마나 인간의 의식세계를 지배하는지 살짝 엿볼 수가 있었다.

 

<길을 잃다>에서는 여전히 이스라엘에서는 현재진행형인 홀로코스트와 아슬아슬한 로맨스의 찰나를 짚어낸다. 신자유주의 열풍에서 이스라엘도 예외는 아닌가 보다. 신자유주의의 핵심인 효율과 경제성이라는 미명은 옛것을 보존하고 후대에 물려주어야 한다는 보수적 가치조차 구시대의 유물로 만들어 버린다. 부동산업자는 저명한 홀로코스트에 대한 저자가 유산으로 남긴 집을 매입해서 허물고 새로운 집을 짓고 싶어한다. 이제 반세기 전의 과거는 뒤로 하고 앞으로 나가야 한다는 비유일까. 이런 유물론적 접근은 세계에서 가장 종교적인 삶을 영위한다는 이스라엘 민족이 당면한 문제의 근원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폐허에서 만난 매력적인 고인의 딸에게 화자가 느끼는 욕망과 남매간의 우애가 뒤섞인 감정에 대한 표현은 현대 이스라엘 정치적 갈등의 상징으로 다가온다.

 

그에 비하면 <낯선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연상의 여인에게 느꼈던 소년의 감정을 절절하게 표현해냈다. 열일곱 살 난 소년이 어떻게 해서 삼십대 여자에게 빠진 걸까. 소년이 느끼는 동정심과 사랑 사이의 감정을 달과 웅덩이에 비친 달그림자 만큼이나 거리가 있다고 아모스 오즈는 명징하게 풀어낸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의 꼬마 코비 에즈라는 포기할 줄 모르고, 성숙한 여인에게 당혹스러운 질문과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아모스 오즈가 그리는 <시골 생활 풍경>에는 보통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클라이맥스와 긴장을 수반한 흥분이 없다. 단지 한 폭의 단조로운 수채화를 그리는 듯한 노대가의 익숙한 붓놀림이 있을 뿐이다. 고희를 훌쩍 넘긴 작가가 시전하는 삶의 스펙트럼은 그 깊이를 알 수 정도로 넉넉하다. 어떤 순간에는 그야말로 뜬구름 잡는 소리 같다가도 나중에 다시 한 번 곱씹어 보면 그게 그래서였던가 하는 깨달음에 도달하기도 한다.

 

책의 마지막 장을 넘겼을 때,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냉소나 빈정거림 대신 호의를 품은 작가에게 그만 무장해제되어 버린 느낌이었다. 그게 바로 내 독서 스타일과 대척점에 서 있는 작가의 글을 읽는 재미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