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영웅들 김영사 모던&클래식
윌 듀런트 지음, 안인희 옮김 / 김영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의 저명한 문명사학자 윌 듀런트가 저술한 <역사 속의 영웅들>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은 간단한 명제가 계속해서 떠올랐다. 역사가 영웅을 만드는가? 아니면 영웅이 역사를 만드는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윌 듀런트는 후자에 방점을 찍은 것 같다.

 

세계사에 대한 서양 편향적 사고는 <역사 속의 영웅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세계 4대문명의 발상지가 모두 비유럽 대륙에 걸쳐 있건만, 우리가 아는 세계사는 언제부터인가 서구 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아마도 페르시아 제국과 그리스 도시국가의 대결 이후, 서방(옥시덴트)이 동방(오리엔트)에 승리하면서 비롯된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그 이후에도 몽고와 오스만튀르크가 서방을 위협한 적이 있지만 서방을 아우르는 항구적인 제국 건설에는 실패했다.

 

동서양 문명의 교류에 절대적으로 기여한 인물로는 역시 정복자 알렉산드로스를 빼놓을 수가 없다. 이후 로마제국으로 이어지는 찬란한 문명의 꽃을 피웠던 그리스 제국을 완성했던 약관의 알렉산드로스는 그리스인들이 야만인이라고 부르던 마케도니아 출신으로 부왕 필리포스 2세의 뒤를 이어 도시국가로 나뉘어 패권다툼으로 세월을 보내던 그리스를 제압하고 동방의 거대한 제국 페르시아 정복에 나선다. 정복군주로서 전장에서 동물적인 감각을 자랑하던 알렉산드로스는 엄청난 병력을 동원할 수 있었던 페르시아를 멸망시키고 동서양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한다. 물론 그의 제국은 명민한 군주의 요절과 함께 찰나처럼 사라져 버렸지만 말이다.

 

서양문명의 원류를 이루는 로마제국의 멸망의 원인 중의 하나를 시오노 나나미 여사는 기독교에서 찾고 있다. 제국의 근간을 이루던 관용(클레멘티아)이 로마가 유일신을 신봉하는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면서 실종되었다는 지적이다.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설명이다. 유대 민중에게 나사렛 출신 예수 그리스도는 로마의 핍박에서 그들을 해방시킬 메시야로, 유대의 제사장과 기득권층 그리고 로마 총독에게는 사회혁명가로 인식됐다고 윌 듀런트는 분석한다. 그리고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로마 전역에 전파한 두 명의 전도사 사도 바울과 베드로에게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그들이 없었다면 기독교는 오늘날과 같은 세계 종교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유대의 민족종교로 남았을 것이다.

 

이후 기독교는 중세 시대에 세속의 권력을 뛰어넘는 정치권력 그 자체가 되었다. 교황권의 최전성기에 치러진 십자군 전쟁이 결국 실패로 귀결되면서, 프랑스 남부를 중심으로 한 순결파(카타리파)의 등장은 훗날 종교개혁으로 이어지는 공고한 교권 추락의 시발점이었다. 기존의 질서를 위협하는 새로운 사상의 등장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국가와 교회는 종교재판이라는 이름으로 철퇴를 가했다. 중세 말엽에 유럽 남부에서는 르네상스 운동이 그리고 유럽 북부에서는 마르틴 루터로 대변되는 종교개혁의 불길이 치솟게 되었다.

 

인류 구원이라는 종교 원래의 목적보다 철저하게 세속화된 가톨릭교회의 부정부패는 당대 지식인들의 지탄을 받았다. 어쩌면 인간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자는 르네상스 운동과 종교개혁은 상호 작용을 통해 인간 해방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지 않았나 싶다. 마치 에릭 홉스봄이 <혁명의 시대>에서 영국의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의 연관성을 다뤘던 것처럼 말이다. 초기 종교개혁 지도자들이었던 위클리프, 얀 후스 그리고 에라스무스는 타락한 교회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이 민중과 제후의 열렬한 호응을 얻었던 독일의 시대상에 대한 윌 듀런트의 냉철한 분석은 확실히 <역사 속의 영웅들>에서 가히 최고라고 말하고 싶다. 듀런트는 종교개혁을 하나의 혁명으로 간주하면서, 루터의 반박문 발표 이후 독일에서 벌어진 농민 전쟁의 전개 과정을 소개한다.

 

윌 듀런트의 현대판 영웅전은 기대와 달리 어느 특정한 인물을 영웅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대신 당시의 시대상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런 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마르틴 루터는 종교 지도자라기보다 일종의 사회혁명가로 묘사된다. 참을성 없었던 알렉산드로스의 세계 정복 야욕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도 후대의 카이사르나 아우구스투스와 비교를 통해 냉정한 시선을 유지한다.

 

요즘 한창 인기를 끄는 미시사의 디테일은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서양 역사 개론서로는 제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