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송태욱 옮김, 차용구 감수 / 문학동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5년 동안 저술했다는 시오노 나나미 여사의 <로마인 이야기>를 완독했다. 가히 작가의 필생의 역작이라고 할 만한 작품이었다. 고대 로마의 개국으로부터 시작해서, 공화정-제정, 동서로마의 분열 그리고 멸망에 이르는 과정을 오롯하게 담아낸 작품이었다. 초심이 끝까지 유지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 일본 출신의 이방인이 방대한 로마사에 대해 이런 도전을 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감탄할 만했다. 사실 시오노 나나미 여사의 글쓰기는 르네상스 시대 베네치아에 대한 사랑으로 시작됐다. 고대 로마와 근대가 태동하던 르네상스 시대를 다뤘는데 뭐가 하나 빠진 것 같지 않나? 시오노 여사는 그 부분을 메우기 위해 <십자군 전쟁>이라는 스펙터클한 테마에 도전장을 던졌다.


"신이 그것을 바라신다(Deus lo vult)"는 교황 우르바누스 2세의 정치 종교적 선동으로 시작된 장장 200년에 걸친 십자군 원정은 느린 속도로 굴러가고 있던 중세 사회에 변화의 단초를 제공했다. 저자는 노르만 공 윌리엄의 잉글랜드 정복, 카노사의 굴욕(1077년), 에스파냐에서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려는 레콘키스타 운동을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대사건으로 꼽는다. 그 중에서도 세속권의 교황권의 승리를 상징하는 <카노사의 굴욕>에 초점을 맞춘다. 시오노 나나미 여사는 비잔틴 제국의 구조요청에 응답한 우르바누스 2세의 막강한 권력행사를 십자군 원정의 시발점으로 삼는다. 그런데 신은 왜 그 순간에 “그것”을 바라셨을까?

시오노 여사는 동방의 아르메니아에서 벌어진 중요한 사건 하나를 간과한다. 1071년 비잔틴 제국의 황제 로마누스 4세가 이끄는 비잔틴군이 아르메니아 만지케르트에서 셀주크 투르크군에게 결정적 패배를 당한다. 그동안 서방을 형해 파도처럼 밀려오던 사라센 세력으로부터 지켜주던 비잔틴 제국은 이 전투를 계기로 제국의 근간이었던 아나톨리아를 상실하고 바람 앞의 등불 같은 신세로 전락하게 됐다. 그래서 동방정교를 신봉하던 비잔틴제국은 서방 가톨릭과의 뿌리 깊은 반목을 뒤로 하고, 교황에게 S.O.S.를 친다. 우르바누스 2세는 이 구조요청을 ‘신의 섭리’로 받아 들였고, 성지 예루살렘 해방전쟁이라는 대의명분 아래 중세를 뒤흔든 대원정을 조직한다.

시오노 여사는 중세 시대에 이미 글로벌 경영자였던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유럽 각지에 있던 생산기지이자 경제기지로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던 수도원의 종교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교묘한 정치, 종교적 선동에 나섰다고 분석한다.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로부터 해방시킨다는 원대한 교황의 전략적 목표는 유럽 각국의 기사 계급은 물론이고 민중까지도 종교적 법열의 상태로 몰아넣는다. 다만, 교황권과 불편한 관계에 있던 신성로마제국(독일)을 비롯한 각국의 왕들 대신 각국을 대표하는 제후, 기사 계급 선수들이 적극적으로 대원정에 참여했다. 



 

우선 독일 대표 선수로 로렌 공작 출신의 고드프루아 드 부용과 보두앵, 프랑스 대표로 툴루즈 백작 레몽 드 생질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탈리아 대표 선수 풀리아 공작 보에몽과 탕크레드를 저자는 세속적 욕망과 종교적 신념의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삼는다. <십자군 이야기> 1편에서는 이들 십자군 1세대의 활약에 초점을 맞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오노 여사는 기존의 서방과 기사계급 위주의 역사 서술에서 탈피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어쩔 수 없이 이들 기사들의 활약에 기초한 영웅주의 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 그녀의 글이 “히스토리아(historia)”가 아닌 “게스타이(gestae)”라는 점을 이미 전작 <로마인 이야기>에서 언급하지 않았던가. 책의 제목에 “이야기”가 들어간 것만 보더라도 불문가지(不問可知)다.

시오노 여사의 <십자군 이야기>는 비슷한 시기에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하고 재출간된 김태권 작가의 <십자군 이야기>와 비교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전자가 정사(正史) 스타일이라면 후자는 퓨전 스타일이다. 김태권 작가가 비교적 상세하게 그리고 있는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민중 십자군 부분이 시오노 여사의 책에서는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보급과 병참을 무시하고 오로지 종교적 신념만으로 무장하고 출발한 민중 십자군의 몰락은 예견된 실패였다. 



 

여기까지가 몸풀기였다면 기사 계급이 주축을 이룬 정규 십자군이 등장할 차례다. 경무장과 기동력을 위주로 구성된 이슬람 전사들 눈에 중무장한 갑옷과 투구를 쓴 프랑크 기사단의 위용은 근대전의 전장에서 탱크를 처음 맞닥뜨린 것과 같았을 거라고 추측해 본다. 술탄 클르츠 아르슬란과 다니슈멘드의 분열을 이용해서 파죽지세로 니케아와 도릴라이움을 거쳐 소아시아를 통과한 십자군은 마침내 성도 예루살렘의 입구라고 할 수 있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 공방전에 나선다.

이에 앞서 로렌군의 보두앵은 우연한 기회에 킬리키아와 에데사를 손에 넣게 되는데, 당시에는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보두앵의 정복이 향후 200년간 지속된 팔레스타인의 십자군 국가 방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에데사의 보두앵은 곧이어 진행된 안티오키아 공방전에서 모술과 이라크 방면에서 안티오키아를 지원하기 위해 달려온 케르보가의 이슬람 지원군을 저지하는데 혁혁한 공훈을 세운다. 시오노 여사는 역사의 자락에서 별 볼 일 없어 보이는 일개 사건이 역사의 큰 흐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예리하게 짚어낸다.


이런 행운과 보에몽의 분전에 힘입어 악전고투 끝에 동방의 대도시 안티오키아를 마침내 함락시킨 십자군의 창끝은 최후의 목적지 예루살렘으로 향한다. 이때만 하더라도 이슬람 지도자들은 십자군 전쟁을 단지 영토 확보를 위한 침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의 눈에 전선에서 악귀 같이 달려드는 프랑크 기사들은 ‘신의 명령’이 아닌 단지 비잔틴제국 황제의 용병에 불과했다. 설상가상으로 프랑크족의 가공할 침공 앞에 분열한 이슬람 세력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예루살렘이 십자군 손에 들어간 이후 1세기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총 3부작으로 구성된 <십자군 이야기>에서 시오노 나나미 여사는 십자군 1세대의 빛나는 성공과 예루살렘 해방 이후 전개된 십자군 내부의 갈등에 방점을 찍는다. 성묘의 수호자로 자처하던 고드프루아가 죽은 이후, 예루살렘 왕국의 왕으로 등장한 보두앵과 십자군 국가의 배후 확보를 위해 얼마 되지 않는 병력으로 눈부신 활약을 보여준 전사 탕크레드가 <십자군 이야기>의 사실상의 주인공이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다. 저자가 베네치아 상인의 관점에서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가치중립적인 저술을 시도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서구 문명에 대한 편향성과 프랑크 기사(보에몽과 탕크레드)에 대한 찬양은 어쩔 수가 없다.

저자가 어떤 사료를 바탕으로 십자군 전쟁을 재구성했는지 참고 문헌에 대한 목록이 전혀 없는 점도 아쉽다. 어디까지가 “인용”한 역사적 사실이고, 어느 부분부터 저자 자신의 “이야기”인지 역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독자로서는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역사에 대한 자신만의 이야기(게스타이)를 풀어내기 위해서는 철저한 역사의 고증이 우선해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 등장인물의 심정에 대한 추측 부분이 특히 마음에 걸린다. 역사적 사실과 천년도 지난 후대의 가정은 그간의 유구한 시간만큼 조화가 쉽지 않은 것 같다. 하긴 시오노 나나미 여사가 ‘이야기꾼’이지 역사학자는 아니니까 너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필요는 없겠지.

사실 시오노 나나미 여사의 <십자군 이야기>에는 경천동지할 새로운 이야기는 없다. 십자군 전쟁이라는 테마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여기저기서 모을 수 있는 정보의 집대성이다. 옛말에 구슬도 꿰어야 보물이라고 했다. 여기저기 흩어진 역사의 단편적 사실을 한데 모을 수 있는 의지를 가진 작가의 실력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십자군의 성공시대가 저물고, 위대한 이슬람 영웅 살라흐 앗 딘의 활약이 시작될 시오노 여사의 <십자군 이야기>의 두 번째 인스톨을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