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빌리의 노래 - 위기의 가정과 문화에 대한 회고
J. D. 밴스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힐빌리는 미국의 쇠락한 공업 지대인 러스트벨트 지역에 사는 가난하고 소외된 백인 하층민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저자는 자신의 조상을 대개 남부의 노예 경제 시대에 날품팔이부터 시작하여 소작농과 광부를 거쳐 최근에는 기계공이나 육체노동자로 살았다고 말한다. 이런 부류를 부르는 말이 힐빌리, 레드넥, 화이트 트래시 등이지만 저자는 이웃, 친구, 가족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단어 속에 서로 다른 의미가 감정이 담겨 있다는 것은 이 단어가 가리키는 집단의 해석과도 맞닿아 있다. 외부자와 내부자의 시선은 이렇게 다르다.

 

이 책은 밴스의 자서전이자 힐빌리 사회, 문화, 경제 보고서다. 그가 어떻게 태어나고, 자랐고, 떠났는지 시간 순으로 보여주는데 이 이야기를 읽다 보면 내가 알고 있던 미국의 모습이 상당 부분 깨진다. 영화나 소설 등에 나온 이상한 백인들의 모습이 밴스의 할모와 할보와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마약에 절어 지내는 사람들 속에 자신의 엄마를 본다는 현실을 이렇게 적은 글을 만난 것도 처음이다. 이 낯선 모습은 아주 비현실적이다. 물론 기준은 내가 알고 있는 미국 중산층 백인의 삶이다. 그리고 노골적으로 복지정책에 기대 살고 있는 사람들을 보여준다. 불편한 사실이다. 복지정책을 확대하려고 할 때 가장 많이 인용될 현실이기도 하다.

 

경제적으로 안정된 도시는 가정의 평화도 비교적 안정적이다. 하지만 이 도시들은 퇴락했다. 다른 도시에 비해 이혼과 재혼의 비율이 현저히 높다. 부모가 마약을 하지 않으면 자식들이 마약을 한다. 평균 수명도 낮다. 실제로 밴스의 엄마도 마약을 하고, 몇 번의 결혼을 했다. 이런 환경 속에서도 그는 행복을 느꼈는데 이것은 바로 할모와 할보 덕분이다. 이 두 분이 자식들은 제대로 키우지 못했지만 손자들은 행복을 느낄 수 있게 키운 것이다. ‘스스로 안전하다고 느낀 공간’을 제공 받은 덕분이다. 기회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아주 평범한 가정인데 이곳에서는 흔한 풍경이 아니다.

 

저자가 힐빌리 문화 속에서 살 때 보여준 일상은 도시 하층민이나 저개발국가의 도시 빈민과 상당히 닮아 있다. 꿈은 꾸지만 그 꿈을 이루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없다. “나는 우리 힐빌리들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강하고 지독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면서 아이들 돌보기, 아이들이 세상에 맞서게 하는 일, 자신들이 아이들에게 해를 입히는 행동을 일삼고 있다는 현실을 인정할 만큼 강한가? 하고 물으며 이 강함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지적한다. 솔직히 말해 이 부분은 나에게도 해당되는 부분이다. 강한 허세를 피우는 것은 쉽지만 강한 의지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일은 진짜 강한 사람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놀라운 것 중 하나는 그가 해병대에 입대하지 않았다면 번 돈을 너무 쉽게 낭비하고, 현실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했을 것이란 사실이다. 최선을 다해 산다는 것의 의미도 이때 처음 알았다. 능력 부족과 무능력을 구분한 것도 이곳이다. “자신의 결정이 중요하지 않다고 느끼는 마음”이 백인 노동 계층에서 가장 변화시키고 싶은 부분이라고 할 때 무력하고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아주 잘 표현했다. 한두 번의 시도와 대충의 최선으로 쉽게 말하는 자신의 결정이 아니다. 해병대는 진짜 세계를 그에게 보여줬다.

 

해병대에 입대하지 않았다면 예일의 로스쿨도 당연히 가지 못했다. 예일에서 그는 완전히 다른 세계를 봤다. 인맥의 고마움도 무서움도 같이 배운다. 여자 친구를 통해 분노를 절제해야 하는 것을 배우고, 자신에게 온 기회를 감사해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 그가 어떤 노력을 기우렸는지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적은 잠과 많은 일로 돈을 벌고 그 남은 시간은 열심히 공부했다. 아메리카 드림의 실현이다. 실제로 이런 벽을 돌파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에필로그에서 그가 본 복지정책의 문제점은 더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부정적인 면이 적지 않지만 긍정적인 부분도 같이 놓고 봐야한다. 이 부분은 빠져 있다. 힐빌리의 문화, 그곳을 벗어난 한 청년의 삶은 그의 기록보다 훨씬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냉철하고 현실적으로 사회의 단면을 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도 이런 책이 더 많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