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을 순례하다 - 건축을 넘어 문화와 도시를 잇는 창문 이야기
도쿄공업대 쓰카모토 요시하루 연구실 지음, 이정환 옮김, 이경훈 감수 / 푸른숲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 한 장소에 앉아서 창밖으로 계절이 변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늘 무심코 보던 그 창밖의 풍경이 어느 날 갑자기 변했다. 5월의 햇살 아래 푸른 잎으로 가득한 풍경이 눈에 들어온 것이다. 그 창밖의 풍경은 멋진 경치를 보여주는 곳도 아니었다. 창도 작았다. 단지 조그만 화단에 벽이 있던 곳이었을 뿐이다. 그런데 이 지겨운 창밖 풍경이 외부의 조건에 따라 나의 마음을 뒤흔든 것이다. 그 당시 나의 마음은 늘 그늘이 져 있었는데 말이다. 2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그 창밖의 풍경이 마음 속 어딘가에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때의 인상이 이 책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이 책은 정말 창만 다루고 있다. 크게 3개의 범주로 나눈 후 그 범주 속에서 창의 속성을 구분하다. 이 범주는 빛과 바람, 사람과 함께, 교향시 등이다. 이 범주는 세계를 돌면서 실측하고, 사진을 찍은 후 구분한 것이다. 단순히 실측과 사진 찍기만 한 것이 아니라 창에 집중된 행동을 관찰해 기록했다. 이 기록들이 각 창의 설명에 곁들여져 있고, 창 사진을 선택하는데 기준이 되었을 것이다. 차분하게 그 창의 모습을 보면, 혹은 그 창밖의 풍경을 보게 되면 어느 순간은 깜짝 놀라고 어느 순간은 그 기능성을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물론 어떤 때는 현실적인 문제를 생각하기도 한다. 청소 같은 것 말이다.

 

책의 구성은 3개의 범주로 나눈 것을 각 장으로 세분화하는 목차로 되어있다. 그런데 각 창의 설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끝까지 진행된다. 실측한 그림을 좌측에 놓고, 간단한 지역 및 기능 설명이 같이 실려 있다. 오른쪽에는 창의 사진이 실려 있다. 이 실측 그림이 왜 중요하냐면 사진으로 결코 알려줄 수 없는 깊이와 자료를 전달해주기 때문이다. 특히 창이 벽 깊숙이 놓여 있을 때는 이 실측 자료가 현장의 사진만으로 알 수 없던 것을 깨닫게 한다. 물론 가장 많이 나를 사로잡는 것은 역시 멋진 창밖의 풍경이다. 이 풍경을 단순히 설계한 곳도 있겠지만 거장들은 계산과 계획에 의해 창을 내고 건물의 효용을 높인다. 이것은 또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문화와도 연결된다. 빛과 바람과 풍경 등이 잘 어우러져야만 그 공간이 새롭게 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도시들의 무수한 창을 보면서 감탄한 것이 한둘이 아니다. 풍경 때문에 그런 적도 있고, 그 기능성 때문에 놀란 적도 많다. 종교적 문제로 창의 모양이 결정된 곳도 적지 않다. 이런 다양한 창은 그 시대의 과학적 한계에 의해 결정된 경우도 적지 않다. 큰 유리를 만들 수 없어 작은 유리를 이어붙이거나 건물의 구조 상 불가능한 창이라 크기를 줄여야 한 경우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무심코 본 그 창이 어떤 배경을 가지게 되었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그 창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스타일을 그대로 보여준다. 많은 사진 때문에 단숨에 읽을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은 바로 이런 문화와 도시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생각하게 되면서 산산조각났다.

 

창은 단순히 창밖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어쩌면 창 안쪽이 더 중요할지 모른다. 빛을 모으고, 시원한 바람을 끌어들이고, 사람들의 시선을 차단하고, 혹은 몰래 훔쳐보는 역할까지 다양한 역할을 한다. 이런 점에서 창은 집의 안팎을 구분하는 경계이기도 하다. 하지만 단순히 구분짓기에는 창의 기능과 활용이 너무 다양하다. 창 안쪽에서 찍은 사진이 많은 것도 바로 사람들이 그곳에 머물면서 창밖을 보기 때문일 것이다. 창 안쪽에서 쉬거나 머무는 방식도 기능에 따라 제각각이다. 어느 곳은 꼭 가서 누워보고 싶은 곳도 있다. 열대지방의 한 곳은 그곳에서 쉬면서 열기를 식힌 바람을 맞으며 잠깐 졸음 속으로 빠져들고 싶다. 한국의 창이 단 두 곳밖에 나오지 않은 것은 조금 아쉬운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