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그림자놀이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소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작가는 <천일야화>를 이야기하지만 나는 읽으면서 <데카메론>이 떠올랐다. 오래 전에 읽은 두 책의 내용이 지금은 생각도 나지 않지만 조금은 힘들게, 때로는 즐겁고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솔직히 이 책의 앞부분을 읽으면서 문체와 이야기 구조가 쉽게 다가오지 않았다. 단어의 선택도 나의 생각과 달라 반감이 생겼다. 서울보다 한양이 맞는 표현이 아닐까 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조금 더 읽으면서 이 위화감은 금방 사라졌다. 각 장의 단편 소설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솔직히 말해 구성의 힘이나 주인공을 둘러싼 이야기의 재미는 덜하다. 하지만 각 장의 단편들은 각각 다른 재미를 주면서 강한 흡입력을 발휘했다.

 

때는 정조 시대. 소설이 금지되던 시절이다. 주인공 조인서는 백탑 근처 사는 친구 최린을 찾아가다 신비로운 경험을 한다. 그곳은 폐가고, 그 동네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곳이다.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사대부 양반인 친구 최린이 소설에 빠져 있다. 조인서가 보기에 한심한 모습이다. 그 다음은 쉽게 예상되는 진행이 펼쳐진다. 조인서가 여차저차하여 소설로 빠져드는 것이다. 어느 날 그에게 소설이 한 편씩 한 편씩 전해진다. 이 소설들이 각 장의 단편소설로 나온다. 우리가 알고 있던 이야기를 새롭고 색다르게 재해석하여 풀어내었는데 신선하고 재밌다. 물론 어딘가에서 본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조인서는 교리로 불리는 노인과 내기를 한다. 귀신 나오는 집으로 불리는 곳에 살면서 그것이 거짓이라는 것을 증명하면 100냥을 주겠다는 내기다. 친구는 이것을 말리지만 살 곳도 마련하고 성공하면 돈도 벌 수 있는 기회다 보니 덥석 내기를 한다. 그런데 이 집에 심상치 않은 내력이 있다. 역적으로 몰려 죽은 자의 집이다. 이 역적을 고변한 인물이 바로 친구고, 그가 집을 물려받았다. 친구의 아내까지. 하지만 그 아내에게 경제권을 빼앗기고 결국 집안이 패가망신한다. 유현당은 이제 귀신이 나오는 집이 된다. 마을 사람들이 가길 끄려하는 곳이다. 이런 곳에 사는 그를 주변 사람들이 말리는 것은 당연하다.

 

각 장은 소설에 대한 유학자들의 글을 인용하면서 시작한다. 그 시대에 사대부들이 소설을 어떻게 보고 있었는지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때는 이미 소설 폐인이 양산되던 시기다. 소설을 반대하던 조인서마저 돈이 궁해지면서 중국 소설을 번역한다. 시대 배경만 살짝 바꾸면 현재 소설가의 삶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소설 폐인들은 새로운 소설이 나오길 바라고 세책점 주인들은 신작을 쓸 작가나 번역자를 모은다. 인쇄가 아닌 필사를 해야 하는데 이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문화 혁명 당시 위화의 일화가 잠시 떠올랐다가 사라진다. 소설에 빠진 사람들이 어떻게 되는지 잘 알려주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액자구성 속 소설에는 귀신도, 도깨비도, 이어도도, 온달 장군도 나온다. 현실 속 유현당에서는 알 수 없는 일이 벌어진다. 조인서는 이성적으로 이 기이한 현상을 파악하려고 하지만 쉽지 않다. 유현당을 둘러싼 소문과 진실은 또 하나의 중요한 이야기 축을 이룬다. 과거사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것이다. 교리가 바라는 것은 그 집을 팔아서 목돈을 쥐는 것이다. 하지만 그 집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일들이 이 집을 제값 받고 팔게 내버려두지 않는다. 계심이란 기생의 정체도 궁금해지고, 유현당의 미스터리도 미궁으로 빠져든다. 정말 귀신이 움직인 것일까? 그럼 왜? 역적의 누명은 어떻게 될까? 의문은 더 많아진다.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란 것도 마음에 들었지만 더 눈길을 끈 것은 미스터리 소설이란 부분이다. 이 소설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것은 역시 유현당이다. 굴뚝에서 연기가 나지만 불 땐 흔적이 없고, 철이 아닌데도 매화향이 풍긴다. 판타지라면 그럴 수도 있지 하고 생각하겠지만 현실은 다르다. 액자소설 속에는 이보다 더한 일도 일어나지만 조인서는 상당히 이성적이고 과학적이다. 대표적인 것이 여인네 가죽신이다. 단순한 관찰력만으로 일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귀신을 믿지 않으니 그 원인을 파악하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가 모르는 것이 있다. 건축이다. 여기서 이야기는 새로운 방향으로 흐른다. 솔직히 이 방향이 거슬린다. 마지막 장면은 더욱.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의 다음 이야기나 작가의 다른 소설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